[전체] “영중추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2)
사전(168)
- 영중추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영중추부사‧판중추부사‧지중추부사 등의 관직도 맡은 일이 없는 명목상의 직위에 지나지 않았다. 보통은 의정부나 육조의 고위직에서 물러난 문관들을 예우하여 계속 녹봉을 주기 위한 일종의 명예직으로 활용되었다. 영중추부사는 의정(議政)을 역임한 원로 대신으로 임...이칭별칭영중추|영부사
- 영중추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추부의 최고 관직정의중추부의 최고 관직 | 문광부표기Yeong Jungchubusa | MR표기Yŏng Chungch’ub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朴安性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956 朴安性 인물 領議政, 登第, 領中樞府事 竹山 元亨, 安靖 D_17_02_28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鄭文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322 鄭文炯 인물 溫雅, 恭愨, 登第, 歷敭, 中外, 歷事, 六朝, 領中樞府事 奉化 野叟, 三峯, 我英廟, 良敬 D_12_03_03 대동운부군옥 12권 3장 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3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季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587 李季甸 인물 登第, 集賢屢, 封章, 靖難, 佐翼功官, 領中樞府事, 文衡 韓山 屛父, 牧隱, 我英廟, 世宗, 光廟, 文烈 D_16_01_16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34)
- (지방제도) 영중추부사 이극배는…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제도조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29_207_010.jpg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浚慶字元吉。 自少磊磈不羣, 儀貌雄偉, 有名多士閒。 立朝淸嚴自持, 與兄潤慶同有時望。 但潤慶外和而內立, 浚慶外毅而內怯。 仁廟末, 潤慶之子中悅與李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五月。 領議政李浚慶以疾遞爲領中樞府事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五月。 領議政李浚慶以疾遞爲領中樞府事 28_119_112.jpg ○五月。 領議政李浚慶以疾遞爲領中樞府事。 浚慶爲相, 務欲鎭物, 不能有爲, 士林多短之。 然有淸德, 門無賄賂, 或稱賢相云。 ○以吳謙爲右議政。 權轍、洪暹以次陞職。 謙尋免...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136 B027136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景宗 1年 10月 7日_033 ○李喬岳, 以兵曹言啓曰, 領中樞府事李頤命, 方在廣津, 此雖楊州地, 而便同京江, 故本職下批後, 使本曹郞官持傳祿牌, 則以爲郞官之來傳鄕村, 有違規例, 不得領受云。 在外大臣祿牌, 待入京持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240 B027240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7年 9月 29日_010 ○李聖龍, 以中樞府錄事言啓曰, 領中樞府事李光佐, 以陵幸秪及次, 二十五日夕, 自廣津來到城外, 當日以省墓求山事, 發向沃川地云。 係是大臣去就,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2)
-
영중추부사 / 領中樞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사무가 없는 유명무실한 기구였다. 따라서, 영중추부사·판중추부사·지중추부사 등의 관직도 맡은 일이 없는 명목상의 직위에 지나지 않았다.
-
노공필 / 盧公弼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16(중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물재, 아버지는 사신, 어머니는 경유근의 딸이다. 1466년 춘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 성균관직강, 공조판서, 경기도관찰사, 의정부우참찬, 영돈녕부사,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14년
-
교정청 / 校正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내정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1894년(고종 31) 6월 11일 동학도들의 폐정개혁 요구와 일본의 내정간섭 압력 속에서 그 타개책의 한 방편으로 응급설치된 것이다. 당시 영의정 심순택, 영중추부사 신응조, 판중추부사 김홍집 등 재상들이 총
-
신전자초방언해 / 新傳煮硝方諺解 [언론·출판/출판]
《신전자초방》을 언해한 과학기술서. 조선 숙종 때 역관 김지남이 지은 과학기술서인《신전자초방》을 1698년(숙종 24)에 영중추부사 남구만의 건의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현존하지 않고, 1796년(정조 20)에 염초 만드는 방법을 쓴 중국 책을 한글로 해석하여 중간본
-
영사 / 領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서 영의정부사·영중추부사·영돈녕부사·판중추부사 등으로 호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