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교정청” 에 대한 검색결과 1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8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崔恒) 등이 임명되었다. 이들에 의해 면밀한 교정이 행하여진 뒤 이듬해 『경국대전』 초간본이 반포되었다. 그러나 곧 미진한 점이 발견되어 에서 다시 130개조를 수정, 보완하여 1474년에 재판본을 간행하였다. 뒤에 재판본에도 추가하고 보완할 내용이 생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내정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내용] 1894년(고종 31) 6월 11일 동학도들의 폐정개혁 요구와 일본의 내정간섭 압력 속에서 그 타개책의 한 방편으로 응급설치된 것이다. 6월 13일 담당관원들을 임명...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 내정 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 관서
    정의조선 말기 내정 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 관서 | 문광부표기Gyojeongcheong | MR표기Kyojŏng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설아문(權設衙門)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종 왕현종 1894년(고종 31) 1894년(고종 31) [정의] 1894년...
    상위어권설아문(權設衙門) | 관련어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
  • 경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성균관 안에 설치한 관서. [내용] 경서(經書)의 자획(字劃)과 음의(音義)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일을 담당하였다. 그당시 이단하(李端夏)‧김만중(金萬重)‧박신(朴紳)‧김학배(金學培)‧홍기(洪0x996B)‧홍석구(洪錫龜...

고서·고문서(35)

  • 선원록등록(璿源錄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종 7년인 1681년 10월 21일 선원록(璿源錄)이 설치된 후 다음해 8월 3일 선원록 교정이 완료되었다. 이어서 같은 날 선원록의궤청(璿源錄儀軌廳)이 설치되어 같은 해 12월 선원록이 종부시(宗簿寺) 및 사고에 봉안되었다. 이 등록은 선원록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선원보략의궤(璿源譜略儀軌, 1700)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00년(숙종26) 정월부터 8월까지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약칭 『선원보략(璿源譜略)』)의 교정(校正)에 관한 절차와 내용을 기록한 의궤로 종부시(宗簿寺)에서 편찬하였다. 『선원보략』은 조선후기 작성된 왕실 족보(族譜)의 한 종류로, 1679년(숙종5)낭...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선원록의궤(璿源錄儀軌, 1681)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80년(숙종6) 10월부터 이듬해인 1681년 8월까지 행해졌던 『선원록(璿源錄)』 교정(校正)의 절차와 과정에 관한 기록으로, ()에서 편찬하였다. 『선원록』은 조선시대 왕실관련 족보(族譜)의 하나로, 왕실족보는 국왕의 친‧인척에 관한 인적사항을 조...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선원보략의궤(璿源譜略儀軌, 1702)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00년(숙종26) 정월부터 1702년까지 행해졌던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약칭 『선원보략(璿源譜略)』)의 수정(修正)에 관한 절차와 내용을 기록한 의궤로 종부시(宗簿寺)에서 편찬하였다. 『선원보략』은 조선후기 작성된 왕실 족보(族譜)의 한 종류로, 1679...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선원보략의궤(璿源譜略儀軌, 1721)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18년(숙종44) 9월부터 1721년(경종1) 정월까지 행해졌던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약칭 『선원보략(璿源譜略)』)의 수정(修正)에 관한 절차와 내용을 기록한 의궤로 종부시(宗簿寺)에서 편찬하였다. 이때 이루어진 『선원보략』의 수정은 왕세자(王世子, 이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2)

  • /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서적편찬시 교정·보완을 위해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1470년(성종 1)에 ≪경국대전≫을 최종검토하기 위하여 처음 설치되었다. 교정관으로는 정창손·신숙주·한명회·구치관·최항 등이 임명되었다.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내정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1894년(고종 31) 6월 11일 동학도들의 폐정개혁 요구와 일본의 내정간섭 압력 속에서 그 타개책의 한 방편으로 응급설치된 것이다. 당시 영의정 심순택, 영중추부사 신응조, 판중추부사 김홍집 등 재상들이 총재

  • 섭호장 / 攝戶長 [정치·법제/법제·행정]

    471년(성종 2)에 ()의 준행조건 중의 하나로 규정되었다.

  • 신석희 / 申錫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73). 헌종 때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철종 때 대사성·홍문관부제학·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와 도총관·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고종 때 실록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제학, 대

  • 주역대문 / 周易大文 [언어/언어/문자]

    간행으로 추정되는 목판본이다. 구결은 선조 때 ()에서 편찬된 『주역언해』보다 세조 때 간행된 『주역전의구결(周易傳義口訣)』에 가깝다. 이로써 16세기 중엽의 문헌으로 생각된다. 구결표기의 차자는, 같은 체재의 『서전대문(書傳大文)』·『시전대문(詩傳大文)』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