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명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안중근
- 데라우치암살미수사건
- 안악사건
연구성과물(28)
사전(21)
- 안명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밀고하여 이 해 12월평양에서 붙잡혔다. 뒤이어 군자금을 보관해두었던 배경진과 박만준‧한순직‧원행섭(元行燮) 등이 붙잡혀 모두 서울로 압송되었다. 이것이 안명근사건, 즉 안악사건의 발단이었다. 안명근의 자금 공작은 당시 활발히 진행되던 황해도에서의 애국계몽운동[...
- 이승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월 안명근(安明根)의 독립운동을 위한 군자금모집사건이 일어나자 일제가 이를 기화로 황해도의 신민회회원들과 독립군기지창건사업의 추진자들을 체포할 때, 1911년 1월 다른 동지들과 함께 체포되어 징역 15년형을 언도받고 7년간 복역하였다. 1919년 3ㆍ1운동 후...
- 105인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신문화운동을 통한 민족독립운동이 뿌리 깊게 전파되고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이 지역의 배일적 신문화운동을 뿌리 뽑기 위해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잡힌 안명근 사건(安明根事件)을 확대‧날조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이 사건에 관여했다 하여 서북 지방의 배일 기독교인과...이칭별칭신민회사건
- 데라우치암살미수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0년 12월 안명근(安明根)이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寺內正毅)를 사살하려던 항일투쟁. [개설] 1910년 10월 1일부터 위압을 떨치기 시작한 조선총독부는 이 의거를 계기로 105인 사건을 일으켜 민족지도...
- 안악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0년 11월 안명근(安明根)이 서간도(西間島)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자금을 모집하다가 황해도 신천지방에서 관련 인사 160명과 함께 검거된 사건. [경과] 안명근은 한일합방이 강제로 체결되자 서간도로 이주하였다.
신문·잡지(1)
- 郵便漏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신쳔군두라 쳥계동 안명근씨와 두라원기거 강하영씨가 본사에와셔 말 강씨에게 작년팔월일일노 십일월 이십삼일지 신문루락이 십구장이오한씨에계 작년칠월 이십일이후로 십일월 이십일지 여쟝이 루락이라 우편국에셔 쥬의일이더라게재일1907년 1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6)
- 안명근;安明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643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62-1면 안명근;安明根 제14회 1939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명근;安明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876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50면 안명근;安明根 조치원읍 조치원리 제14회 1939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38. 안명근과 양기탁 재판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8. 안명근과 양기탁 재판 n°48. Procès An Myöng-keun et Yang Ki-taik C, E, N 정치 법제, 사회, 국제 문헌, 인물 근대 한국 고서/고문서 안명근과 양기탁 재판에 대한 보고 총독 암살, 기소장, 종...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7월 25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 27. 한국인 양기탁 체포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양기택, 트레물레, 이토, 안명근 양기택 체포 지난 2월 25일자 보고서에서 트레물레 씨 인쇄소 직원 일부가 체포당했다는 소식을 각하께 전해드렸습니다. 그때 저는 이 엄한 조치의 동기는 알...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3월 05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38-1. 별첨 1―「서울 프레스」의 양기탁에 대한 기소장 요약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서울 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안명근과 양기탁 재판 탈초본 참조. Annexe à la Dépêche Politique de Seoul du 19 Juillet 1911 (S. D. d’Asie n° 47...집필자서울 프레스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7월 13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주제어사전(3)
-
안명근 / 安明根 [정치·법제/정치]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중근의 사촌 동생. 안중근의 감화를 받고 항일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심, 이승훈·김구 등 신민회 계통의 인사들과 교유하였다. 북간도에 양병학교 설립 계획을 세웠다. 민모가 재령헌병대에 밀고하여 이해 12월 평양에서 붙잡혔다. 그는 10년
-
안악사건 / 安岳事件 [역사/근대사]
1910년 11월 안명근이 서간도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자금을 모집하다가 황해도 신천지방에서 관련 인사 160명과 함께 검거된 사건. 안명근은 한일합방이 강제로 체결되자 서간도로 이주하여, 그 곳에서 국권회복을 위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무관학교를 설립하고자 19
-
데라우치암살미수사건 / 寺內正毅暗殺未遂事件 [역사/근대사]
1910년 12월 안명근이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를 사살하려던 항일투쟁. 1910년 10월 1일부터 위압을 떨치기 시작한 조선총독부는 이 의거를 계기로 105인 사건을 일으켜 민족지도자 윤치호, 양기탁, 이승훈 등을 전국에 수배, 일제히 검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