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심순택” 에 대한 검색결과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2)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4(순조 24)∼?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자는 치화(穉華). 본관은 청송(靑松). 1862년(철종 13) 예방승지(禮房承旨), 1874년(고종 11)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1878년 예조‧형조‧이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1881...
    이칭별칭 치화(穉華)| 문충(文忠)
  • 광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 사민(士民)과 독립협회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8월 13일 고종은 건원연호(建元年號)를 널리 참고하여 의정(議定)하라고 명하였다. 이에 의정부대신 ()이 ‘광무’와 ‘경덕(慶德)’의 두 안을 올려 광무로 결정을 보고, 15일에 국왕의 조칙으로 개국...
  • 김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간의 책임을 겸하게 되었다. 1883년 8월 17일 신문발간의 담당부서로서 박문국(博文局)을 신설하고, 신문발간을 추진, 10월 30일 『한성순보(漢城旬報)』창간호를 발행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후 개화파 인사가 대거 몰락하였을 때 ()을 영의정...
    이칭별칭 기경(器卿)| 취당(翠堂)
  • 공주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5월 16일 읍내에 모여 삼정(三政)의 폐해를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다. 시위가 끝나고 돌아가는 길에 부호가에 방화할 뿐만 아니라 참판 ()의 5대조 사우에도 방화하였다. 그러자 조정에서는 난의 수습을 위하여 충청도관찰사 유장환(柳章煥)을 급히 파...
  • 손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보내주신. 손(損)은 필자의 겸사, 혜(惠)는 상대방에 대한 경어. 損惠諸品 荷此綺存, (), 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64)

  • 이 올리는 주본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陰曆八月十七日 摠護使謹奏, 山陵都監監造官成樂遠, 李志用, 李昌植, 沈完澤, 姜永周, 尹元燮, 俱有身病, 呈狀乞 遞矣, 改差其代, 前參奉趙琓九, 前都事 申觀休, 九品金炳瑋, 九品沈元燮, 九品李能器, 九品鄭雲哲, 差下, 使之察任何如, 謹上奏, 奉旨依奏, 遷陵都監監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78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78년 5월 24일 한양 죽동에 사는 이 임실현 구고면 암포리에 사는 박인환에게 보낸 서찰이다. 서찰의 내용은 안부를 묻고 있으며, 자신의 동생이 곧 전라도관찰사로 내려가니 산송문제는 잘 해결될 것이라 하였다. 또한 보내준 편지지는 잘 사용하겠다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 1869년 () 서간(書簡)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9년 3월 22일에 한양 죽동에 사는 이 임실현 구고면 암포리에 사는 박인환에게 보낸 서찰이다. 서찰의 내용은 서로간의 안부를 묻고 있으며, 부탁한 일에 대한 물건을 잘 받았고 새로 부임한 성주에게 힘을 써보겠다고 답변하는 것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 1869년 () 서간(書簡)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9년 8월 한양 죽동에 사는 이 임실현 구고면 암포리에 사는 박인환에게 보낸 서찰이다. 서찰의 내용은 서로 안부를 묻고 있으며, 편지지와 함께 부탁받은 산송건에 대한 처리 문제를 관찰사에게 기회가 되면 부탁하겠다는 것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 1872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72년 4월 13일 한양 죽동에 사는 이 임실현 구고면 암포리에 사는 박인환에게 보낸 서찰이다. 서찰의 내용은 박인환의 아들을 통해 서찰과 물건을 잘 받았다는 것과 언제 한양에 한번 올라올 것을 부탁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구술자료(1)

  • 충북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F-272A.mp3 F-272B.mp3 mp3 이보형 1925-11-17 남자 강원도 원주시 한국학분야 토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심순택

신문·잡지(2)

  • 령돈령원심슌은대훈을승셔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령돈령원심슌은대훈을승셔야 리화쟝을 고 궁부특진관 죠병셰趙秉世 훈일등을셔야 태극쟝을 고 궁부 대신 리완李載完 탁지부대신 심샹훈沈相薰 젼권공 리범진李範晉은 훈일등을 승셔야 태극쟝을 고 군부대신 신긔션申箕善은 훈이등을셔야 태극쟝을 ...
    게재일1902년 3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 륙품 리이경李以璟 김국金在國 구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륙품 리이경李以璟 김국金在國 구품 리범쥰李範俊으로 혜민원 참셔관을 임다 五月三十一日 즁츄원 의관 츈권 최익쥰 장겸슈 리현의 권병례 갈닌에 구품 리명호李命鎬 쳔영쥰千永俊 김영년金永年 오령슈吳靈秀 권용權四用으로 임다 以上六月一日 뎡일품 심슌으로 궁부
    게재일1902년 6월 5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2)

  • 5-1. 별첨 1―의정 과 다른 관료들이 국왕에게 보낸 상소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5-1. 별첨 1―의정 과 다른 관료들이 국왕에게 보낸 상소문 Supplique adressée au Roi par le premier ministre Sim Soun-htaik et autres fonctionnaires C, K, N 정치 법제, 언론...
    집필자의정 심순택 외 관료들 | 작성연도1897년 | 작성월일10월 14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5. 조선 국왕이 황제의 칭호를 얻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하 프랑스어 7_CFD05.pdf (탈초)7_CFD05.pdf pdf 5-1. 별첨 1―의정 과 다른 관료들이 국왕에게 보낸 상소문 5-2. 별첨 2―황제 폐하의 칙령 5-3. 별첨 3―황제로부터 초대를 받음 5-4. 별첨 4―황제 칭호 수락...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7년 | 작성월일10월 14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4∼?). 예방승지·예조판서·형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개항 이후 율례사의 당상경리사와 기계군물함선당상을 거치고, 임오군란 시 파면되었다가 우의정·좌의정·영의정에 올랐다. 대한제국 수립 후 의정으로 임명되었다가, 독립협회의 탄핵을 받기

  • 선함사 / 船艦司 [역사/근대사]

    1880년 12월 각종 선박을 제조하고 이를 총괄하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통리기무아문에 산하 관서. 설립 당시 선함당상에는 과 신정희가 임명되었으며,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개편과 더불어 폐지되었다.

  • 교정청 / 校正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내정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1894년(고종 31) 6월 11일 동학도들의 폐정개혁 요구와 일본의 내정간섭 압력 속에서 그 타개책의 한 방편으로 응급설치된 것이다. 당시 영의정 , 영중추부사 신응조, 판중추부사 김홍집 등 재상들이 총

  • 학암집 / 鶴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최신의 시문집. 6권 3책. 신연활자본. 1884년(고종 21) 9대손 최병진이 편집간행하였다. 송근수의 서문, 권돈인의 구서, 권말에 홍직필의 구발과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3수, 소 3편, 공사 1편, 서 28편, 권2∼5에 송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