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응조”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4(순조 4)∼1899.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유안(幼安), 호는 계전(桂田)‧구암(苟菴).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상현(常顯)의 아들이다. 대유학자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이다. ...
    이칭별칭 유안(幼安)| 계전(桂田), 구암(苟菴)| 문경(文敬)
  • 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개설] 원집 13권 속집 7권, 재속집 8권으로 모두 28권 14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원래 『구암집』 127권이 필사본으로 가장(家藏)되어 오다가 6‧25 때 없어...
  • 후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주(喪主)에게 보내는 위문 편지. 謹拜候疏, (), 31-81 (봉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묵은해를 보냄. 記下 只是病劣無可言 而客館餞歲 了去.緖耳, (), 25-4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강목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8년 ()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명을 받아 편찬한 책. [내용] 강목집요(綱目集要)라고도 한다. 7권 3책. 전사자본(全史字本). 전7권을 천(天)‧지(地)‧인(人)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으며, 천에 1∼3권,
    이칭별칭강목집요(綱目集要)

고서·고문서(28)

  • 210959 B210959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哲宗 13年 10月 29日_009 ○有政。 吏批, 行判書李謙在牌招不進, 參判李興敏進。 參議式暇, 承旨缺進。 吏批啓曰, 行判書李謙在牌招不進, 參議式暇,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爲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2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24262016202426_003 李太王實錄資料 21 자료제60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3 0001 39 1882년 6월 10일(음력) 하교하기를 上護軍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538 B014538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宗實錄 三年(1866) 九月 고종실록_10309027_001 ○二十七日。 同知疏略:○伏以。 荐被謬恩, 而未有絲毫謀劃, 可裨末議, 不勝悸恐之至。 今朝家有事, 聖心憂勞, 不可謂身無言責而終於含默。 臣請以目下數事, 爲殿下略...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180 B013180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3年 9月 27日_036 ○同知疏曰, 伏以, 臣荐被謬恩, 惶隕靡措, 而義分是懼, 冒昧出膺, 間嘗隨群彦之後, 赴政府之坐, 而未有絲毫謀劃, 可裨末議, 實不勝兢惕悸恐之至。 今朝家有事, 聖心憂勞, 苟有一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985 B049985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3年 8月 10日_016 靑山島僉使,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之乏少, 同道守令及他道守令竝擬, 何如? 傳曰, 允。 以爲同知, 元世U+242FA爲內禁將, 梁柱華爲羽林將, 李豐永·李炳哲·洪鍾善·李容一·孫瀅銖·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成현 二十錢 二十錢 李相德 二十錢 朴應春 二十錢 金興燁 二十錢 崔仁汝 二十뎐 鄭慶順 二十뎐 李慶化 二十錢 全又鉉 二十뎐 羅聖鉉 二十錢 元景洙 二十錢 리千甫 二十뎐 合六圓三十뎐 南門倉內米廛市民會同 孫完默新貨三圜 宋宅洙 三圓 孫完用 一圓 孫相五 一圓 孫相殷 一圓 孫...
    게재일1907년 2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4∼1899). 홍직필의 문인이다. 1852년 문과에 급제해 이조참판·대사헌·강원도관찰사·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수교 및 통상을 제한하려는 척사론을 정책적 측면에서 주장했다. 연로하여 퇴임한 뒤에는 기로소에

  • 박규희 철산부사 해유문서 / 朴珪熙 鐵山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에서 박규희에게 조흘하였다. 1874년 10월 13일에 평양감사 ()가 올린 장계에 따라 파출되었으나 이듬해 2월 9일에 '영불서용인(永不敍用人)'의 죄를 탕척받았다.

  • 도곡집 / 道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종운(1792∼1825)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91년(고종 28) 자형 송기용(宋琦用)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송기용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 교정청 / 校正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내정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1894년(고종 31) 6월 11일 동학도들의 폐정개혁 요구와 일본의 내정간섭 압력 속에서 그 타개책의 한 방편으로 응급설치된 것이다. 당시 영의정 심순택, 영중추부사 , 판중추부사 김홍집 등 재상들이 총

  • 강목집요 / 綱目輯要 [역사/근대사]

    조선후기 문신 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명을 받아 편찬한 역사서. 7권 3책. 전사자본(全史字本). 전7권을 천(天)·지(地)·인(人)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으며, 천에 1∼3권, 지에 4·5권, 인에 6·7권이 들어 있다.의 서문에 흥선대원군의 명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