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승정원일기” 에 대한 검색결과 56,4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460)

사전(2,6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부터 기록되었으나, 인조대 이전의 것은 임진왜란과 이괄(李适)의 난 등으로 모두 소실되어 남아 있지 않다. 1623년부터 승정원이 폐지되는 1894년 갑오경장 때까지의 ≪≫ 3,045책과 갑오경장 이후의 ≪승선원일기 承宣院日記≫ 4책, ≪궁내부일기 宮...
    연계항목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처리한 왕명 출납과 제반 행정 사무, 의례적 사항 등을 기록한 일기. 3,245책. 필사본. 현재 1623년(인조 1) 3월부터 1910년(융희 4) 8월까지의 기록이 남아있다. 본래의 ≪≫는 1623년부터 1894년(고종 31)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3년부터 1910년까지 승정원에서 처리한 왕명 출납, 제반 행정사무, 의례적 사항을 기록한 일기.
    정의1623년부터 1910년까지 승정원에서 처리한 왕명 출납, 제반 행정사무, 의례적 사항을 기록한 일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ungjeongwon ilgi | MR표기Sŭngjŏngwŏn il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헌 한문 한국 조선 성낙수 박종국 2015 승정원 1623년(인조 1)∼1910년(융희 4) 3,045책 규장각 [...
  • 궁내부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내부에 속하게 되었으므로 종래의 『』 및 『승선원일기』를 이어서 쓴 것이다. 따라서 1894년 11월 21일까지의 좌목(座目)은 『승선원일기』와 같으나 내용의 분량이 훨씬 적다. 우선 연월일을 명시하고 궁내부의 대신과 기주관(記注官)의 동정을 기록한...

고서·고문서(53,762)

  • ()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서산 대교 경주김씨
  • 초(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종(哲宗, 1831∼1863)이 승하한 1863년(癸亥) 12월 8일부터 28일까지 『』의 주요내용을 뽑아 쓴 일기초(日記抄)이다. 철종이 승하한 날을 시작으로 신정왕후(神貞王后;趙大妃)의 주도하에 거행되었던 장례절차 및 왕실과 신료들의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초(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1865년(고종 2) 1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의 주요 기사를 초록한 일기이다. 일기 가운데 4월과 5월 경복궁 중건과 관련한 왕실의 전교와 각 부서의 문건, 윤5월과 6월에 오랜 가뭄으로 인해 종묘에서 기우제를 지낸 일에 대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1년(哲宗 2) 1월부터 1910년(隆熙 4) 8월까지의 『』를 1920년대 후반 이왕직(李王職)에서 전사(轉寫)한 정서본(正書本)으로 총 737책 중 일부인 559책이다. 1920년대 말 이왕직에서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을 편찬하기 위하여 수집 정...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숙종 연간 ()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서산 대교 경주김씨

기초학문(7)

  • 〉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70091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에 나타난 조선 후기 智異山의 다양한 含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8791 한국연구재단 東方漢文學會 2009 ????에 나타난 조선 후기 智異山의 다양한 含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 ''를 토대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준호, 게재일 : 2016
    15599 이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 ''를 토대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仁祖 전반기의 舊闕(昌慶宮)의 중건과 궁궐 경영 : 󰡔󰡕 인조 임어 기사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정, 게재일 : 2011
    47443 윤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仁祖 전반기의 舊闕(昌慶宮)의 중건과 궁궐 경영 : 󰡔󰡕 인조 임어 기사의 분석 https://www.k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조선조 관료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3)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정길, 게재일 : 2016
    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6334&local_id=10057348 조선조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 [조선왕조실록]과 []의 ‘양명학 관련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

멀티미디어(60)

  •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_7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_7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_7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_7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_7주차_5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연구과제(12)

주제어사전(24)

  • / [언론·출판/출판]

    는 인조 원년(1623)에서부터 고종 31년(1894)까지의 약 270년간 분이다.

  • 소령원원상사초고손처봉심도형 / 昭寧園園上莎草枯損處奉審圖形 [정치·법제/법제·행정]

    소령원을 봉심한 뒤 떼가 말랐거나 훼손된 곳을 표시하여 보고한 봉심도형. 모두 봉심한 일시가 적혀있지는 않지만,《()》에 원상(園上)의 사초고손처 봉심결과를 보고한 기록이 자주 나온다.

  • 왕자봉호사부차출전교 / 王子封號師傅差出傳敎 [정치·법제]

    1724년(영조 즉위년) 11월 3일. 영조가 왕자의 봉호를 내리고 사부를 차출하는 일을 이전 차대 때의 하교에 의거하여 거행하라는 전교. 《》에 이 기사가 실려 있어 서지사항을 알 수 있다. 당시 영조는 우승지 김동필에게 명을 내린 것으로 되어 있다.

  • 주서 / 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7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고려시대 중추원의 당후관(堂後官)이 1400년(정종 2)에 승정원 당후관으로 되었다가 뒤에 주서로 개칭된 것이다. 승정원의 기록, 특히 ≪≫의 기록을 담당하여 청요직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 특파변용위호사은표수미 / 特派弁勇衛護謝恩表首尾 [정치·법제]

    1882년 청이 1882년 6월 발생한 임오군변(壬午軍變)때 원병을 특파해준 것에 대해 고종이 청 황제에게 사은한 표문의 수미. 표문은 제술관 홍우일(洪祐逸)이 지었다.《》고종 19년 임오(1882) 8월 19일 조에 관련 기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