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승정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6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승정원일기
연구성과물(58,558)
사전(3,923)
- 은대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소관 사무에 대한 사례ㆍ규식(規式) 등을 정리해 편찬한 책. [내용] 편자는 미상이다. 조선 전 시기에 걸쳐 있으나 특히 영조에서 순조대의 것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체재는 각 방고(房攷) 11권 8책과 통고(...
- 우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6승지 중의 하나로 예방승지라고도 불렀다. 예조와 그 부속아문에 관련된 왕명의 출납과 보고업무를 담당하였다. 고려 성종 때 중추원에 우승선(右承宣)이라는 직명으로 처음...이칭별칭예방승지
- 우부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승정원에 소속된 정3품 관직. [내용] 1401년(태종 1)에 승원에 소속된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개칭한 것이지만 뒤에 다시 우부승지로 개칭되었다. 『태종실록(太宗實錄)』
- 도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298년(충렬왕 24) 1월 충선왕이 즉위해 관제를 개혁할 때 밀직사를 광정원(光政院)으로 고치고 지주사(知奏事)를 도승지로 개칭, 종5품으로 격...이칭별칭지신사(知申事)
- 승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정권을 장악하자, 먼저 사병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1400년(정종 2) 4월 중추원의 기능을 축소, 분할하였다. 군기의 사무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관하고, 왕명 출납을 위하여 승지방을 승정원으로 독립시켰으며, 1401년(태종 1) 의흥삼군부...이칭별칭은대|정원
고서·고문서(54,564)
- 承政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040 承政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분승정원(分承政院) 초기(草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승정원(承政院) 계사(啓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승정원(承政院) 계사(啓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서산 대교 경주김씨
기초학문(8)
- 〈승정원일기〉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70091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승정원일기〉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6
-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성득, 게재일 : 200923567 강성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09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9
- ??承政院日記??에 나타난 조선 후기 智異山의 다양한 含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8791 한국연구재단 東方漢文學會 2009 ??承政院日記??에 나타난 조선 후기 智異山의 다양한 含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 '승정원일기'를 토대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준호, 게재일 : 201615599 이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 '승정원일기'를 토대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6
- 仁祖 전반기의 舊闕(昌慶宮)의 중건과 궁궐 경영 : 󰡔承政院日記󰡕 인조 임어 기사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정, 게재일 : 201147443 윤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仁祖 전반기의 舊闕(昌慶宮)의 중건과 궁궐 경영 : 󰡔承政院日記󰡕 인조 임어 기사의 분석 https://www.k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3)
- 조선_1911_04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疾病 森安連吉 15 미완. 朝鮮と意匠 中村經太郞 17 承政院日記に就て 和田雄治 19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1
- 조선급만주_1911_04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성생 12 健康と疾病 森安連吉 15 朝鮮人と意匠 中村經太郞 17 承政院日記に就て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1
- 해방일보_1951_0212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집하여놓은 악부와 무복 등 백여점을 탈취하여갔다. 그리고 원쑤놈들은 창덕궁 내에 있던 구 리왕가 소장의 유물과 가재도구들 혹은 략탈하고 혹은 반출파괴하여 황폐화시켰다. 원쑤놈들은 또한 리조실록의 태백산본과 오대산본의 투벌과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규장각 도서 중 귀...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1_0212_03
멀티미디어(60)
-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승정원일기》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승정원일기》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승정원일기》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승정원일기》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의 근대 서학서, 조선과 세계의 가교 5주차. 경성제대 도서관 : 식민지에 대학도서관이 만들어진 이유 6주차. 조선의 인쇄 기술과 서책의 특징 7주차. 조선의 국정 운영과 기록 - 실록과 《승정원일기》 8주차. 조선 시대의 지리지와 고지도 9주차. 과거(科擧) 수험서의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연구과제(12)
-
<<사법품보(司法稟報)>> 번역 및 역주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한상권 | 덕성여자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조선 후기 王陵 擇地의 과정과 風水: 17-18세기를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박권수 | 충북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
영조(英祖) 시문(詩文)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안장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19)
-
승정원 / 承政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1405년에 육조 강화책의 하나로 승추부가 병조에 흡수되면서 대언사는 승정원으로 다시 개편되어 독립된 기구로 부활하였다. 그 뒤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이후 승선원으로 개칭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
승정원일기 / 承政院日記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승정원의 내용을 매일 기록한 일기. 주로 승정원의 주서 또는 가주서가 작성하였다. 특히 영조 20년(1744)과 고종 25년(1888)의 화재로 후반부도 영조 23년(1747)과 고종 26년(1889)에 각각 개수되었다 현전하는 승
-
외방장계(승정원개탁) / 外方狀啓(承政院開坼) [정치·법제]
1868년(고종 5) 2월 11일. 어느 외방의 도신이 국왕인 고종에게 교서의 반포와 관련하여 올린 장계. 내용은 '북부의 도사 조병업이 가지고 온 교서 1통을 도내의 각 고을에 다 반포한 뒤, 원교서를 감봉하여 올려보낸다.'고 하였다. 이 문서는 승정원을 거쳐서 국
-
송병선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참찬관고신 / 宋秉璿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9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참찬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관이다. 승정원은 왕 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동부승지는 승정원 6승지 가운데 6번째 승지이다. 본 고신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
-
송병선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참찬관고신 / 宋秉璿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參贊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9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참찬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관이다. 승정원은 왕 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우부승지는 승정원 6승지 가운데 3번째 승지이다. 본 고신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