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사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
사전(45)
- 수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세에 들어서면서 수사법은 문법‧논리학과 함께 교육과정에서의 필수교과과목이 될 정도로 중시되었다. 이 수사법에서의 전달의 실용성은 시학(詩學) 내지 시의 어법(語法, diction)에서 독자나 청중에게 특정한 영향을 행사하기 위한 예술적 수단으로 이어졌다. 근대...
- 정수사법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 초기의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4칸의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보물 제161호. 1957년 보수공사 때 발견된 1689년(숙종 15) 수리 당시에 만든 상량문에 의하면 14...연계항목정수사법당(淨水寺法堂)
- 문답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내용] 묻고 대답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수사법이다. 서술과 대화로 구성되는 소설에서 대화 부분은 넓게는 문답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작자(혹은 서술자)가 제3자의 위치에서 서술해도 좋은 것을 두
- 역설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내용] 표면적으로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이다. “찬란한 슬픔의 봄”, “소리없는 아우성” 등의 예에서처럼 앞뒤 진술이 논리적으로 모순된
- 제유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내용] 대유법의 하위 범주이다. 흔히 전체를 그 전체의 일부분으로, 혹은 일부분을 그 전체로 표현하는 것으로 어떤 사물의 부분 또는 특수성을 나타내는 단어로써 그 사물의 전체 또는 일반성을 대신하는 비유법이다...
고서·고문서(35)
- 수사법(修辭法)소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수사법(修辭法)소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수사법(修辭法)소사전 장하늘 지음 문장연구사 안양 2008 언어사전; 한국...대표표제어수사법(修辭法)소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수사법사전 : 문장의 달인을 위한 우리말 수사법의 모든 것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수사법사전 : 문장의 달인을 위한 우리말 수사법의 모든 것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수사법사전 : 문장의 달인을 위한 우리말 수사법의 모든...대표표제어수사법사전 : 문장의 달인을 위한 우리말 수사법의 모든 것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한국 대표시 감상과 평설 : 수사법소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한국 대표시 감상과 평설 : 수사법소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한국 대표시 감상과 평설 : 수사법소사전 진창선 지음 대우서적 ...대표표제어한국 대표시 감상과 평설 : 수사법소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實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實用作文法 卷一 實用作文法_卷一 第二章 修辭法 이각종 1912 박문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文章은 吾人의 意思를 完全히 發表ᄒᆞ면 足ᄒᆞᆯ지라 然이ᄂᆞ 同一ᄒᆞᆫ 思想을 發表...서명實用作文法 | 자료명第二章 修辭法
- 中等朝鮮語作文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中等朝鮮語作文 卷四 中等朝鮮語作文_卷四 第七課 感想表現의方法(七) 조한문교원회 1928 창문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 사찬독본 한국어 十九,感想表現方法應用의뒤푸리 仝上 以上六課에亙 한感想表現의方法즉 修辭法은 그 槪畧을 說述함에不過하고 ᄯᅩ는 그서명中等朝鮮語作文 | 자료명第七課 感想表現의方法(七)
기초학문(2)
- 〈麗人行〉수사법연구(修辭格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9068 한국연구재단 한국수사학회 2011 〈麗人行〉수사법연구(修辭格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제2의 수사법에서 시법으로: 펠르티에의 『시법 art poétique』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환, 게재일 : 200506151 김재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5 제2의 수사법에서 시법으로: 펠르티에의 『시법 art poétique』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
- 함남로동신문_1949_0622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국장외 다수사법관제자들 참가밑에 치안관계관 회의를 소집하여 파업에 대처할 방책들을 강구했다하며 또한 이것만으로는 도저이 「근본대책을 해결하기 곤난」하다하여 「비일위원회」의 일부와 같은 강력한 탄압방법을 취할 필요성에 대하여 력설하고 있다한다. 한편 맥아더사령부에서는...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22_04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1)
- (교육논단) 수사법을 위한 문장논고-새로운 전개방법을 중심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수사법을 위한 문장논고-새로운 전개방법을 중심한- (교육논단) 수사법을 위한 문장논고-새로운 전개방법을 중심한-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철석 | 사료철명부산교육
연구과제(1)
-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강명관 | 부산대학교 | 2017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6)
-
수사법 / 修辭法 [언어/언어/문자]
어떠한 생각을 특별한 방식으로 전달하는 기술로 표현이나 설득에 필요한 다양한 언어표현기법. 수사법은 중세에 문법·논리학과 함께 교육과정에서의 필수교과과목이 될 정도로 중시되었다. 이 수사법에서의 전달의 실용성은 시학(詩學) 내지 시의 어법(語法, diction)에서
-
강화 정수사 법당 / 江華淨水寺法堂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중창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161호. 정면 3칸, 측면 4칸의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1957년 보수공사 때 발견된 1689년(숙종 15) 수리 당시에 만든 상량문에 의하면 1423년(세종 5)에 중창하였음을
-
작문법 / 作文法 [언어/언어/문자]
글을 짓는 방법. 작문법이란 글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지금까지 수사법(修辭法)이라는 말로 사용해왔다. 수사법이라고 할 경우에는 이미 되어 있는 글을 보다 좋은 글로 닦고 꾸민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앞에서 이미 말한 것처럼 글을 쓴다는 것
-
문답법 / 問答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묻고 대답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수사법이다. 서술과 대화로 구성되는 소설에서 대화 부분은 넓게는 문답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작자(혹은 서술자)가 제3자의 위치에서 서술해도 좋은 것을 두 사람 이상의 인물을 등장시켜 묻고 대답하게 하는
-
도치법 / 倒置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도치법에는 “보고 싶어요, 그녀가……”, “꽃이 지네, 한 잎, 한 잎” 에서처럼 문장 성분을 바꿔 놓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립구나, 헤어지고 나니……” 에서처럼 절 내지는 문장을 바꿔 놓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