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서효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3)
- 서효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6(숙종 42)∼1753(영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여원(汝源). 문준(文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종적(宗積)이고, 아버지는 승지 명형(命珩)이며, 어머니는 한선명(韓善鳴)의 딸이다. 대...이칭별칭 여원(汝源)
- 서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70(영조 46)∼1856(철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치수(穉秀), 호는 죽파(竹坡). 관찰사 명구(命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부승지 효수(孝修)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유방(有防)이며, ...이칭별칭 치수(穉秀)| 죽파(竹坡)| 문정(文貞)
- 서유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1(영조 17)∼1798(정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원례(元禮), 호는 봉헌(奉軒). 한성부서윤 종적(宗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승지 명형(命珩)이고, 아버지는 수찬 효수(...이칭별칭 원례(元禮)| 봉헌(奉軒)| 효간(孝簡)
고서·고문서(4)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653 B07465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3年 4月 9日_022 以通信使所用禮單紋緞問議事, 徐孝修, 旣已承命矣。 先爲進達。 徐孝修曰, 臣承命往問于判府事兪拓基所住處。 則以爲, 今此下詢信使禮單, 欲勿用紋緞之敎, 固知聖意有在, 曷勝欽歎。 第臣曾叨嶺藩,...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本朝內閣臣請就綸綍中事係賢關儒林者一一裒輯,仍令國子長該載太學成典,以示朝家崇儒衛道之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益勵披丹, 無替建白。 贊襄文化,縱難需世而佐治。 出入邇班,庶效隨事而進說。 乙巳二月廿七日 泮製十天三中 試考 春塘親食堂試圓點生 榜 金復仁三上 李基慶ㆍ洪樂安ㆍ姜顯永 三中 50 ~ 52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本朝抄啓文臣等謝於試講之夜,特宣美醞珍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工,縱難卒業。 體禹饋十起之念,庶效酬恩。 庚戌内閣課試 試題 一天 尚衣院讀書時 御考三中春塘臺親臨 467 ~ 469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풍서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에 살던 李厚源 역시 그의 높은 학문을 칭송했음을 강조했다. 貞敬夫人李氏墓誌銘 (36) 어린 시절의 친구 徐孝修(1716∼1753)의 부인이자 자신과는 10촌의 형제지간인 延安李氏(1717∼1790)의 묘지명이다. 부친은 이민보의 再再從叔으로 縣令을 지낸 李彦臣,...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서효수 / 徐孝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1753). 1744년 춘당대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세자시강원설서·사서·지평·정언·부수찬·지제교·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세자시강원문학·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연구에 열중하였고, 특히 주자학에 밝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