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호” 에 대한 검색결과 10,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77)

사전(2,79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상인이나 회사가 영업활동상 자기를 표시하는 데 쓰는 명칭. [내용] 우리나라에서 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인데,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의미의 상업이 등장한 것이 극히 최근의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뜻하고 있어서 는 주로 대전의 궁시(弓矢)를 관리하는 직책이 되었다. 환관은 대내의 감선(監膳)‧전명(傳命)‧수문(守門)‧소제(掃除) 등의 주임무 외 실록에 제시감분감(諸寺監分監 : 교서관‧군기감‧내자시‧내섬시‧상의원‧사재감‧예빈시‧사옹방 등의 분감)‧내...
  • 양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유학자 이(李)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석인본. 1968년 아들 원영(源榮)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배동환(裵東煥)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264수, 권2에 서...
  • 괴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배(裵)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859년 도천서원(道川書院)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주목(柳疇睦)의 서문과 권말에 유치명(柳致明)‧이수용(李秀容)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
  • 증산천사공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증산교 최초의 경전. [내용] 1926년 이(李)가 엮은 증산교 최초의 경전으로 국한문혼용의 편년체로 되어있다. 증산교의 창시자인 강일순(姜一淳)의 생애와 가르침, 이적(異蹟) 등을 기록한 책이다. 1909년 강일순이 사망...
    이칭별칭대순전경(大巡典經)

단행본(12)

  • 隔绝到战略合作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
    저자 : 何喜有 ... | 출판사 : 复旦大学出版社 | 출판일 : 20141024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신문 잡보를 통해 본 근대 초기 한국 사회의 파노라마 [신문 잡보를 통해 본 근대여명기 한국 사회의 파노라마 | 연세대학교]
    저자 : 강현조 ... | 출판사 : 소명출판 | 출판일 : 20231101
    우리가 흔히 개화기, 근대여명기, 근대계몽기 등으로 호명해 온 1876~1910년까지의 기간은 그 이전의 시기, 즉 전근대와 확연하게 다른 시대로 진입하게 만드는 여러 가지 제도와 사상, 그리고 운동이 혼재하면서도 공존한 시기이자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이었다는 점은 분명...
  • 한국시민사회사: 산업화기 1961~1986 [한국 시민사회사 (1945-2014) : 제도, 조직, 이념, 생활사 | 한양대학교]
    저자 : 정상호 ... | 출판사 : 학민사 | 출판일 : 20170515
    유형단행본
    『한국시민사회사_산업화기 1961~1986』은 다소 도발적인 문제의식과 역동적인 서사를 담고 있다. 적지 않은 사람들, 심지어는 전문 연구자들조차 한국의 시민사회는 1987년 민주화와 더불어 생겨났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완전한 오류이자 편견이다. 198...
  • 저자 : 권진호, 이상호, 김명균, 정의우, 김우동, 남재주... | 출판사 : 한국국학진흥원 | 출판일 : 2013.12.31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해제(解題) 이학집변서(異學集辯序) 이학집변 제1권 총론(總論) 노자(老子)‧장자(莊子)‧열자(列子) 양주(楊朱)‧묵적(墨翟) 관자(管子)
  • 저자 : 권진호, 이상호, 김명균, 정의우, 김우동, 남재주... | 출판사 : 한국국학진흥원 | 출판일 : 2013.12.31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이학집변 제2권 선불(禪佛) 이학집변 제3권 선불(禪佛) 이학집변 제4권 육학(陸學) 원문(原文) 색인(索引)

논문(5)

고서·고문서(2,995)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020_001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서 남자 요녕성(辽宁省) 개원현(开原县) 조선족중학 2 2 , 만남, 잊지마시기, 바라며, 기쁜새해, 맞이, 귀...
    대표표제어상호 | 성씨
  • 之什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2:7:1:1 “之翰”亦萬邦之翰也. HCBO_2:7:1:2 兕角爲觥, 存其觓曲, 使不得安置. 奉持少忽, 則傾倒而溢矣. 寓戒之意深矣. 互見《綠衣》. HCBO_2:7:1:3 凡酒飮久, 則益思氣烈, 所以昏醉. 按, 《禮運》: “醴醆在戶, 粢醍 醍: 국중본(나)ㆍ...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간 김 남자 하북성(河北省) 천진시(天津市) 동교구 개체노협 3 3 간, 의합상, 진도, 있으면, 내용, 수시로,...
    대표표제어상호간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간 윤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내몽고자치구(内蒙古自治区) 흑룡강성 내몽고자치구 4 1 간, 련계, 3년, 편지,...
    대표표제어상호간 | 성씨

구술자료(23)

  • 전라북도 완주군_1. 흥어, 오호라 2. 3. 우야 어허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07_209 전북 전라북도 완주군 전라북도 완주군_1. 흥어, 오호라 2. 3. 우야 어허 1. 흥어, 오호라 2. 3. 우야 어허 1. 흥어소리 2. 소리 3. 우야소리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용흥리 부평 1989.5.15 素89-5-1
    녹음지역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용흥리 부평 | 녹음날짜1989.5.15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김옥선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작멘트 : 일시 및 연구진 소개 구술자의 최근 근황 육이오(6.25) 이후 사회사업과 남장의 시작 가족 배경과 원산도 원의중학교 설립 오(5)대 총선거를 통한 정치 입문과 선거 과정 통합야당의 참여 제7대 총선 사팔(4.8) 항명파동 3선 개헌안 통과와 국회 농성 3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김상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근 근황 출생 및 성장과정, 정치입문 1965년 보궐선거 서대문구 출마와 당선 1967년 전국구 의원 당선 1960년대 전국구 공천방식과 계파정치 유진산 등 보스정치인의 면모 및 당시 정치 행태 당시 5.16세력에 대한 정보 1963년 대선과 67년 6.8선거 3선개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김용성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작 멘트 및 최근근황 : 밀알회 및 삼백인300회 활동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시절 좌우대립 상황 및 신조회 결성과 활동 부산정치파동 시‘호헌구국선언대회’활동으로 인한 모함과 고초 자유당 시절 언론계 입문 배경 및 조병옥 박사 테러사건 조병옥 의원 비서관으로 정치 입문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김윤덕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작멘트 여성인력개발센터 활동 및 헌혈운동 사랑의 장기기증운동 활동 및 초대이사장 역임 한일국교정상화 현장시위와 국회입성 과정 박순천 여사와의 인연 및 평가 여성정치인으로 겪은 에피소드 중도파 정치인으로 살아온 이유에 대하여 대북 입장 변화의 필요성과 사회갈등 봉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기초학문(1,481)

  • 주관성과 주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재진, 게재일 : 2000
    08317 임재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철학연구회 2000 주관성과 주관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3c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정치사회와 승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미라, 게재일 : 2003
    01568 정미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철학연구회 2003 정치사회와 승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3f54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주관성의 현상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인, 게재일 : 2002
    01840 이남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상학회 2002 주관성의 현상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16b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주의와 국제협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현, 게재일 : 2002
    00392 김태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세종연구소 2002 주의와 국제협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4a03f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고려와 일본의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기학, 게재일 : 2000
    03374 남기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사학회 2000 고려와 일본의 인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1,372)

  • 詔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궁부로 야곰 품쳐케고 도감은 존봉도감과 합셜케라 셧더라
    게재일1907년 7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定望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뎨 망은 슈강 (壽康)이쟈로 택뎡라신 죠칙이 나리압셧더라
    게재일1907년 8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陳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황뎨 상죤호 압시 공고에 관진하 즁화뎐에셔 거얏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동군법뎐일인금관에 의병이돌입야 일인을착치야 즉시포살 금광은연 폐지가된지라 통감부에셔 졍부와교셥야 일인피살건은 상을 쥬기로고 군를파송야 금광은 도로셜시기로 상의즁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金商店) 서울 金商店 松峴町 44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57.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相鎬(金相鎬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463)

  • 베스트셀러-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_9주차_1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몸: 금욕, 키치-해학, 텍스트성, SF 등 한국 현대 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키워드를 설정하고 작가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주차. 전통: 김동리 [무녀도] 2주차. 가족-모성: 박완서[엄마의 말뚝] 3주차. 가족-소통: 오정희[저녁의 게임]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베스트셀러-상호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기억법]_9주차
  • 베스트셀러-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_9주차_2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몸: 금욕, 키치-해학, 텍스트성, SF 등 한국 현대 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키워드를 설정하고 작가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주차. 전통: 김동리 [무녀도] 2주차. 가족-모성: 박완서[엄마의 말뚝] 3주차. 가족-소통: 오정희[저녁의 게임]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베스트셀러-상호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기억법]_9주차
  • 베스트셀러-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_9주차_3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몸: 금욕, 키치-해학, 텍스트성, SF 등 한국 현대 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키워드를 설정하고 작가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주차. 전통: 김동리 [무녀도] 2주차. 가족-모성: 박완서[엄마의 말뚝] 3주차. 가족-소통: 오정희[저녁의 게임]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베스트셀러-상호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기억법]_9주차
  • 베스트셀러-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_9주차_4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몸: 금욕, 키치-해학, 텍스트성, SF 등 한국 현대 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키워드를 설정하고 작가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주차. 전통: 김동리 [무녀도] 2주차. 가족-모성: 박완서[엄마의 말뚝] 3주차. 가족-소통: 오정희[저녁의 게임]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베스트셀러-상호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기억법]_9주차
  • 베스트셀러-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_9주차_5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몸: 금욕, 키치-해학, 텍스트성, SF 등 한국 현대 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키워드를 설정하고 작가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주차. 전통: 김동리 [무녀도] 2주차. 가족-모성: 박완서[엄마의 말뚝] 3주차. 가족-소통: 오정희[저녁의 게임]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베스트셀러-상호텍스트성_김영하 [살인자의기억법]_9주차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73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183 일본 東京 第一高等學校 第一高等學校一覽 明治33年-明治34年 n.r. 123면 ; 한국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第一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184 일본 東京 第一高等學校 第一高等學校一覽 明治35年-明治36年 n.r. 123면 ; 한국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第一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185 일본 東京 第一高等學校 第一高等學校一覽 明治35年-明治36年 n.r. 237면 ; 한국 1903년 7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第一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2905 일본 東京 학교(집합) 朝鮮大高同窓會會員名簿 제1호(1923년 12월 30일 현재) 1924 1면 1. 제1 특별회원(졸업연도 순) ; 경남도청 1906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997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2年 1927―12―03 380면 정;鄭 조선 1927년 3월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28)

주제어사전(10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부의 정5품 관직. 정원은 4인이다. 대전의 응방·궁방, 왕비전의 주방, 문소전의 설리(薛里), 세자궁의 장번으로 배정되었으며 체아직이었다. 원래 호(弧)는 목궁을 뜻하고 있어서 는 주로 대전의 궁시를 관리하는 직책이 되었다.

  • / 姜 [역사/근대사]

    1919-1945.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이다. 일본으로 유학하여 요코하마[橫濱] 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1941년 도쿄에서 유학 중이던 배종윤(裵宗潤)·원용학(元容鶴) 등과 함께 일제가 강행한 창씨 개명 및 조선어 폐지 등의 식민정

  • / 閔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문신·친일정객(1870∼1933). 대한제국 외부협판. 일본 유학생 시찰. 민는 예조참의·외부교섭국장·학부협판·농상공부협판 등을 역임한 후, 영국·독일·러시아 등의 주재공사관 참서관을 지냈다. 1910년 경술국치 후 일본으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고, 조선총

  • 군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3품 관직. 고려 때의 상장군이 조선 초기에 도위사(都尉使)로 개칭되었다가 태종대에 군으로 변개, 1467년(세조 13) 정3품관으로 오위의 고급지휘관이 되었다. ≪경국대전≫ 당시는 정원 9인으로 무장이 임명,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 사회 1인

  • 도감 / 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존호를 올리기 위해 수시로 설치한 임시기구. 왕·왕후·대비 또는 선왕·선왕후 등에게 시호·휘호 등의 호를 높이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의례 담당기구였다. 도감의 주요 행사는 존호의 수여장격인 옥책, 증표인 옥보 또는 금보의 제작과 그 증정식 및 이에 따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