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7,9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7,588)
사전(43,341)
- 賜田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740 賜田 관직 三百結, 射鴈 申崇謙, 王太祖 D_19_05_05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獻氈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N4_D_0010 獻氈 방직·직물 王太祖五年春 契丹 本史 D_05_01_62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6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6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祀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D_0029 祀典 왕조례 四海, 四瀆, 東海, 阿等邊, 南海, 兄邊, 西海, 末陵邊, 北海, 非禮山 宣德王 羅史註 D_10_04_14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1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祀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D_0069 祀典 왕조례 參證, 古禮 朴尙衷 行蹟 D_17_03_18 대동운부군옥 17권 3장 1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3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祀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360 祀典 정책-제도 大祀, 中祀, 小祀, 禮儀正郞, 參訂古禮, 序次條貫, 社稷, 耤田, 忠臣, 烈士, 孝子, 順孫, 義夫, 節婦 大明 大明 宣德王, 朴尙衷, 周倬 羅史, 勝覽, 麗史 D_11_04_07 대동운부군옥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56)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 옛편지 낱말사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저자 : 김만일(한림대학교), 하영휘, 전송열, 이대형, 임재완, 제송희, 윤성훈, 박형우...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2.12분야언어 | 유형단행본이 책은 7년의 연구와 집필로 완성된 최초의 간찰 용어사전이다.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의 간찰부터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옥중 서한까지가 이 사전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책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한국의 옛 자료를 읽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
- 한국토지용어사전 [한국토지용어용례사전 | 연세대학교]저자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출판사 : 도서출판 혜안 | 출판일 : 20160929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한국 한자어 학습사전 [중국인을 위한 한국 한자어 학습사전 편찬 및 관련 교육 지도안의 확립과 교과목의 개설 | 濰坊學院 (Weifang University)]저자 : 왕방 ... | 출판사 : 상무인서관 | 출판일 : 201711유형단행본
- 한국근대외교사전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저자 :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이항준(서울여자대학... | 출판사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0.12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이 책은 1876~1910년 시기 한국 외교사의 주요 사건, 조약, 인물, 조직과 기구 등에 관한 239개 항목을 다루었다.
논문(13)
- 唐의 祀典 체계와 신라의 祀典 정비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박남수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 국내 불한 사전류의 변천사 고찰 -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이현주 | 게재정보 : 불어불문학연구
- 국내 출간 사전의 동향 분석-연도별 주제별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도원영 | 게재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 편찬의 방향성 연구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 편찬 사업 | 서울대학교]저자 : 박소영 | 게재정보 : 한국언어문화학
- 한국의 지명사전 편찬 동향과 지향점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김기혁 | 게재정보 : 민족문화연구
고서·고문서(30,304)
- 사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전 김 남자 평안남도 평원군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서란진(舒兰镇) 잔전촉 3위 36조 5 5 사전...대표표제어사전 | 성씨김
- 사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전 봉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2 2 사전, 등기, 우편, 감사, 김씨...대표표제어사전 | 성씨봉
- 사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전 김 여자 베이징시(北京市) 3 2 사전, 급히, 필요, 소설책, 급하지않으니, 부탁, 체육교류, 활발, 문화교류, 과학기술...대표표제어사전 | 성씨김
- 사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전 남 남자 경상북도 예천군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조양구(朝阳区) 홍기가 1 1 사전, 잘받았음니...대표표제어사전 | 성씨남
- 사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전 남 남자 전라북도 익산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연수현(延寿县) 평안향 성광촌 4반 14 ...대표표제어사전 | 성씨남
구술자료(91)
- 백사전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 20181211_002_006_중국A_03_조림_F_백사전 민담 백사전 2018. 12. 11(화) 오후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조림 [중국,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4인 신동흔, 오정미, 박현숙, 엄희수 〈태양을 쏜 후예〉 이야기 이후 나타국가중국 | 제보자조림 [중국,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사전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70119_002_001_중국B_03_김설화_F_백사전 민담 백사전 2017. 01. 19(목) 오후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9년차] 조사자 2인 박현숙, 김현희 조사자와 제보자는 2차 조사가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사전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70319_051_005_중국B_01_권경숙_L_백사전 전설 백사전 2017. 03. 19(일) 오후 부산시 진구 서면 권경숙 [중국(한국계), 여, 1981년생, 결혼이주 10년차] 조사자 포함 6인 조홍윤, 황승업, 김자혜 〈산을 옮긴 우공〉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권경숙 [중국(한국계), 여, 1981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사전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81109_031_004_중국B_01_인춘매_L_백사전 전설 백사전 2018. 11. 09(금) 오전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인춘매 [중국(한국계),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0년차] 조사자 포함 5인 김정은, 강새미 〈엄마 마음을 아는 지모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인춘매 [중국(한국계),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라북도 무주군_1. 방아요 2. 우야 헤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99 전북 전라북도 무주군 전라북도 무주군_1. 방아요 2. 우야 헤헤 1. 방아요 2. 우야 헤헤 1. 방애요 2. 쌈싸는 소리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1987.8.3 素87-8-3①B. (메): 박진하 (받): 김용진,박진하 등 박진녹음지역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 녹음날짜1987.8.3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기초학문(357)
- 지명 어원 사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43988 한국연구재단 지명 어원 사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1010&local_id=1000유형논문
- 번역과 백과사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운찬, 게재일 : 200502635 김운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05 번역과 백과사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4c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독한사전 모델 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양도원, 게재일 : 199900931 양도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어교육학회 1999 독한사전 모델 개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1999
- 『陳錄巳傳』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철호, 게재일 : 199905771 임철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1999 『陳錄巳傳』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3275d유형논문 | 게재일1999
- 동서독 언어사전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72422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2016 동서독 언어사전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2,318)
- 回謝餞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샹공부 기 한영셕씨가 남포군슈 례로 일젼에 한탁하엿다 하더니 작일에난 농샹공부에셔 회샤로 한군슈를 쳥하야 쥬안을 졉하엿다더라게재일1901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私錢難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각쳐에 젼이 태과이 류하는고로 탁지부에셔 각항구로 뎐보하야 류하는 젼을 금집하라 하엿더니 어느 항구에셔는 보고하기를 통젼에 현져 젼은 상민들이 연쓰지 아니하거니와 여간 젼은 외국인이다 통용하는터인데졸디에 젼을 금단하면 시상물가가 별안간에 고등것...게재일1902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耆社傳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기로소에셔 아현에 젼령기를 굴네방다리 삿갓과 삿자리와 되롱이 셰납은 즉 기로소의 졍공이라 근 상민들이 장을보지 아니고 타쳐로 상매니 장을 셜시 본의가 업지라 젼령후에 이러 폐단이 잇스면 그상민의 셩명을 보라 엿더라게재일1902년 8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私錢還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인이 쥬돈 오만여원을 슈입다가 탄로가되여 뎐환국으로 슈입지라 일본령와 뎐환국 관리가 일간 회동야 그 젼을 다 녹인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調査電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산에습의를 셜면 대도상 뎡간목을 그져두고는 길이 협착 고로 도감에셔 뎐간목을 됴샤야 길에 상관되는것은 바옴긴다더라게재일1902년 11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69)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세계 10주차. 17-19세기의 경세서(經世書), 새로운 국가를 기획하다 11주차. 족보(族譜)의 유래와 형식 12주차. 유서(類書), 전근대의 백과사전 황재문 (대표)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석사) 서울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연구결과보고서(22)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근대 한국의 ‘세계지명’ 정보 사전 [근대 한국의 ‘세계지명’ 정보 사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근대 한국의 세계인명 표기·용례 사전 [근대 한국의 ‘세계인명’ 표기·용례 사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옛 편지 낱말사전 결과보고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결과보고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717)
- 사전호;寺田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667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68면 16. 제29회 졸업생 사전호;寺田浩 1942년 12월 22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전타합급사전계획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사전타합급사전계획 사전타합급사전계획 事前打合及事前計劃 교육 문헌 국제협력 국제교류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 사전학천;寺田鶴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645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3면 1. A, B조 생도 명부 사전학천;寺田鶴天 浜田市 石見後野 245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강사전;松岡司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112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昭和15年~昭和16年 1941―02―15 158면 송강사전;松岡司典 조선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강사전;松岡司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124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昭和16年~昭和17年 1942―03―20 91면 송강사전;松岡司典 조선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94)
-
옛 편지 낱말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만일 | 한림대학교 | 2007 | 국내 | 강원
-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도공 | 원광대학교 | 2013 | 국내 | 전북
-
통합 디지털 한한대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윤승준 | 단국대학교 | 2010 | 국내 | 경기
-
한국전통연희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전경욱 | 고려대학교 | 2010 | 국내 | 서울
-
한국어 교육학 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윤여탁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23)
-
사전 / 賜田 [경제·산업/경제]
왕실에 복무한 특수한 공로가 있거나, 특수한 왕의 친시(親試)에 등과(登科)한 경우에 상으로 주어지는 수조지(收租地). 규모는 세종(世宗) 23년(1440) 현재로 3,000여 결(結)이었다. 사패(賜牌)를 받은 것은 자손상전(子孫相傳)이 허용되고, 사패(賜牌)가 없
-
사전 / 祀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시대에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행하는 각종 제사에 관한 규범이나 규정. 고려의 사전은 크게 유교적 제사인 정사와 기타의 잡사로 구분된다. 정사는 다시 대사·중사·소사로 나누어졌는데, 대사에는 원구·방택·사직·종묘·별묘·경령전·제릉이, 중사에는 선농·선잠과
-
고어사전 / 古語辭典 [언어/언어/문자]
남광우(南廣祐)가 엮은 고어사전. 본격적인 사전형태를 갖춘 고어사전으로서는 처음이라 할 수 있다. 광복 전에는 고어사전류가 출판된 일이 없었고, 광복 뒤 방종현(方鍾鉉)의 ≪고어재료사전≫ 등이 나온 일이 있으나, 유인본(油印本)일 뿐만 아니라 사전의 형태를 갖추지 못
-
궁사전 / 宮司田 [경제·산업/경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왕실 재정을 위해 지급된 토지. 고려 말에는 내고가 발달해 소위 창고궁사가 설치되었다. 당시 사전의 겸병 추세에 편승, 스스로 공전과 사전을 점탈해 창고궁사전은 급증하였다. 이와 같은 창고궁사전이 지급된 곳을 이른바 오고칠궁(五庫七宮)이
-
내수사전 / 內需司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왕실 재정을 담당한 내수사에 소속된 토지. 내수사에서 관할하는 토지는 본래 본궁에 속한 토지 이외에도 내수사의 공해전(公廨田)이 있었다. 1449년에 가속군자전(假屬軍資田)에서 2,000결을 떼어 내수소에서 수세하도록 했던 것이나, 1472년(성종 3)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