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비변사” 에 대한 검색결과 4,4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14)

사전(1,593)

  • 영남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표시된 것으로 미루어 1767년(영조 43) 이전에 작성된 것 같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리(里) 방안을 써서 모든 군현이 같은 축척으로 그려져 있으며 축척은 약 5,000분의 1이다. 인(印)이 곳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에서 사용하던 군사용...
  • 구관당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관직. [내용] 는 군국(軍國)의 중대사를 논의하기 위하여 1517년(중종 12)에 최초로 설치되었으나, 그 뒤 몇 차례 치폐를 거듭하다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상설기관이 되었으며, 도제조ㆍ제조ㆍ부...
  • 빈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롯한 당상관, 즉 정2품 이상의 주요 고위관직자들이 정기적으로 회의를 하거나, 변란‧국상(國喪) 기타 긴급한 일이 있을 때 관계자들이 모여 대책을 의논하던 회의실로 사용되었다. 의 정기회합은 이 곳에서 매월 3회씩 있었으나 1698년(숙종 24)부터는 6회...
  • 무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3년(선조 26) 윤11월 임진왜란 때 있었던 왕세자의 행영(行營). [내용] 본래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 해 분(分)로 설치되었던 기관으로, 이해 12월공주에서 무군사로 개칭해 개설되었다. 무군사의 설치는...
  • TD_E2_S_0043 관직 大事, 議定政府, 虛設, 中興, 功臣, 都堂, 大權, 人臣, 失言, 三公, 無權, 國體, 卑職, 行軍, 大將, 君, 中軍, 軍事, 偏裨, 宰相, 國家, 陛九級, 廉遠地, 擅權, 太學士, 入閣, 執國 癸亥 我朝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1권 1장 5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820)

기초학문(1)

  • 謄錄蔚』 所載 蔚山 자료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강식, 게재일 : 2003
    01778 김강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謄錄蔚』 所載 蔚山 자료의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연구과제(1)

  • 고조선 유물·유적 D/B화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연성 | 인하대학교 | 2013 | 국내 | 인천

주제어사전(3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후기 의정부를 대신하여 국정 전반을 총괄한 실질적인 최고의 관청. 1555년 상설관아로 정제된 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을 계기로 기능이 확대 강화되었다. 이후 1864년(고종 1) 국가 기구의 재정비를 단행, 의정부와 의 사무 한계를

  • 공사색 / 公事色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가 의정부에 병합된 뒤 의정부 내의 업무를 담당한 관서. 그 실무 낭청들을 공사관이라 하였는데, 1865년 가 폐지되어 의정부에 통합된 뒤에도 그 조직과 인원 및 기능은 의정부 내에 그대로 존속되어 공사색으로 칭하였다. 공사색에서는

  • 공사관 / 公事官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의정부에 신설된 종6품 관직. 1865년 를 의정부에 통합하면서 의 낭청 12인을 1인 감하여 의정부의 관직으로 개편한 것이다. 이들 가운데 문관 2인은 시종신 중에서 임명하였으며, 무관 9인 중 5인은 참상관으로, 4인은 참하관으로 임명하였다.

  • 구관당상 / 勾管堂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관직. 는 군국의 중대사를 논의하기 위하여 1517년(중종 12)에 최초로 설치되었으나, 그 뒤 몇 차례 치폐를 거듭하다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상설기관이 되었으며, 도제조·제조·부제조·낭청 등으로 조직되었다.

  • 낭청 / 郎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선혜청·준천사·오군영 등의 실무담당 종6품 관직. 관서에 따라 정규직으로 직제화되기도 하고 겸직으로 충원되기도 하였다. 본래 낭관(郎官)과 같은 뜻으로 각 관서의 당하관을 지칭했으나, 1555년(명종 10) 가 상설기구로 되어 12인의 낭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