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풍” 에 대한 검색결과 1,8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41)

사전(85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그림이나 글씨를 8, 10, 12폭 등의 나무틀에 비단과 함께 발라 장황한 것. 궁중에서는 일월오봉병(日月五峰屛)을 왕의 자리 뒤에 항상 펼쳐두었고 왕비는 모란(牡丹), 십장생(十長生)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가례나 책례, 국장 등에 사용된 의 종류...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바람을 막거나 공간을 가리는 가리기 위하여, 또는 장식용으로 방안에 치는 물건. [내용] 실용적인 면뿐 아니라 벽면을 장식하는 장식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주술적인 염원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은 중국 주나라의 천자가
  • TD_P1_I_0022 일상도구 天子, 宁[扆], 幌, 屛 禮記, 周禮 I_01_23_11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23장 11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3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목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목단을 그려 넣은 . 은 그림이나 글씨를 8, 10, 12폭 등의 나무틀에 비단과 함께 발라 장황한 것으로 가례나 책례, 국장 등의 행사 시 의례용으로 쓰였다. 목단은 부귀를 의미하는 꽃으로 여겨져 가례 때 목단이 주로 사용되었다. 興化正門及殿內排設遮日...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을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가례나 책례, 국장 등의 행사 시의례용 각종 을 만드는 일을 맡았다. 朴排匠李次光等二名匠林世萬等三名玉匠金旕山, (국장1730/129ㄴ09~1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883)

  •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17권, 순조 13년 4월 5일 임인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순조 13년 4월 5일 임인(1813) 1813 坡 三水府 咸鏡 厚州 自作 魚面 江口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17권, 순조 14년 7월 30일 무오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순조 14년 7월 30일 무오(1814) 1814 坡 咸鏡 咸興 坡 長津 赴戰 咸興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題藏上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30_0140 題藏上人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신사년 발기(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동궁고 발기(東宮庫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구술자료(18)

  • 천냥짜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바다에서 잡은 이무기를 중국사람에게 팔았다는 이야기 [채록하지 않음]를 한 <page id="1020"></page> 편 더 구연한 뒤, 제보자는 ?좀더 옛날 고풍이야기를 하겠다?면서 다음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어떻게 생각하면 그럴 듯도 하지만 모두 거짓말 ...
    조사일시1981-12-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화서면 신봉1리 | 제보자최숭락
  • 서산대사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시 앞선 서산대사 이야기에 이어서 제보자가 곧바로 또 다른 서산대사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나주시 반남면 대영리 구영마을 산 8번지 나종삼 씨 댁 | 제보자나종삼
  • 에 피는 꽃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금순 할머니가 부른 노래에 이어서 윤정남 할머니가 “내가 고놈을 다시 해보까?” 하시면서 바로 노래를 들려주었다.
    조사일시2010. 7. 16(금) | 조사장소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도래마을 241번지 홍정숙댁 | 제보자윤정남
  • 에 피는 꽃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윤정남 할머니에게, 동네에 결혼식 등이 있어서 축하할 때 무슨 노래를 불러주냐고 하자, 제보자가 잠시 쉬었다가 노래를 들려주었다.
    조사일시2010. 7. 16(금) | 조사장소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도래마을 241번지 홍정숙댁 | 제보자윤정남
  • 에 그린 닭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베틀노래를 부르고 난 후 노래가 생각난 듯이 가사 몇 소절을 읊었다. 조사자가 선율을 넣어 불러달라고 하자 잊어버렸다고 하였다. 청중들이 계속 권유하자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2009.02.10 | 조사장소구례군 용방면 용정리 하용마을 323번지 하용마을회관 | 제보자김판례(여, 78세)

기초학문(2)

  • 『源氏物語』표현론-가의 제작 태도와 그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3840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학회 2005 『源氏物語』표현론-가의 제작 태도와 그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후반기의 統制營 水軍操鍊圖 연구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통제영 수군조련도》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미나, 게재일 : 2014
    51016 유미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학회 2014 조선후반기의 統制營 水軍操鍊圖 연구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통제영 수군조련도》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54)

  • 兩陛下 金 (양폐하 금)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兩陛下 金屛風 | 기사명_한글양폐하 금병풍 | 부제_원문久邇宮家より獻上 | 부제_한글구이궁가에서 헌상 | 게재일19230623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1
  • 百雙會 (금병품백쌍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시모노세키의 표구상들이 조직한 審美會 주최
    기사명_원문金屛風百雙會 | 기사명_한글금병품백쌍회 | 게재일19230426 | 게재판 | 게재면01 | 게재단9
  • 総督府高等官より献上の (총독부 고등관으로부터 헌상된 )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작품명_원문総督府高等官より献上の屏風 | 게재일19220506 | 게재판 | 게재면04 | 게재단1-2
  • 朝鮮美展を前にして六枚折のに淡紅の躑躅の花を描いて土居彩畝夫人 (조선미전을 앞두고 6폭의 에 담홍의 철쭉 꽃을 그려도이 사이호 부인)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朝鮮美展を前にして六枚折の屏風に淡紅の躑躅の花を描いて土居彩畝夫人 | 기사명_한글조선미전을 앞두고 6폭의 병풍에 담홍의 철쭉 꽃을 그려도이 사이호 부인 | 부제_원문出品準備に忙しい閨秀画家 | 부제_한글출품 준비에 바쁜 규수화가 | 게재일19220513 | 게재판 | 게재면04 | 게재단4-5
  • 奉審摘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홍릉릉상 셕이 퇴락얏지라 의졍 리근명씨와 학부대신 리완용씨와 농상공부대신 권즁현씨가 동젼왕야 봉심뎍간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3)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전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어 새서(璽書)와 그림 등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전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어 새서(璽書)와 그림 등을 내리다 교역물품 621년(辛巳/신라 진평...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전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어 새서(璽書)와 그림 병풍 등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21년(辛巳/신라 진평왕 43 建福 38/고구려 영류왕 4/백제 무왕 22/唐 武德 4/倭 推古 29)
  • 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上) 가종진이미길(家從秦伊美吉) (下貼 第五扇(14) ; 口繪 6) 【원문】 念物黃金 價糸壹伯斤 綿 天平勝寶四年六月卄六日 正八位上 行少書吏丹比連 正六位上 家令大 田臣廣人 正六位下行 家從秦伊美吉 (下貼 第五扇(14) ; 口繪 6)
    대표표제어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바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 새서(璽書) 등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및 채색 비단 3백단을 주었다. (󰡔三國史記󰡕 4 新羅本紀 4 眞平王 43年) 【번역】 무덕 4년 왕 진평이 사신을 보내어 입조하였다. 고조가 통직산기시랑(通直散騎侍郞) 유문소(庾文素)에게 조서를 내려 부절(符節)을 갖고 가서 답을 전하게 하였다. (󰡔新唐...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바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 새서(璽書) 등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1년(辛巳/신라 진평왕 43 建福 38/고구려 영류왕 4/백제 무왕 22/唐 武德 4/倭 推古 29)
  • 신라가 보낸 진조를 일본이 공상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健勳(健勳) 등은 따로 물건을 바쳤는데, 금·은, 하금·능라, 금 그릇, , 안피(鞍皮), 비단과 포, 약 등 각 60여 종이었다. 따로 황후·황태자와 여러 왕자들에게 바친 물건도 각각 많았다.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원문】 (夏四月庚午朔)戊子 新羅進調...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진조를 일본이 공상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6년(丙戌/신라 신문왕 6/唐 垂拱 2/倭 天武 15, 朱鳥 1)
  • 일본의 이세연노인(伊勢連老人)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11/日本 天平勝寶 4) 신라 일본→신라 【번역】 합이 106종(種)이다. () 1(具) 경(鏡) 2면(面) 금완(金鋺) 2(具) 사향(麝香) 1제(齊) (추필(追筆)) 하나는 7촌(寸) 이상 하나는 5촌 이하 ...
    대표표제어일본의 이세연노인(伊勢連老人)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주제어사전(51)

  • / [생활]

    바람을 막거나 공간을 가리는 가리기 위하여, 또는 장식용으로 방안에 치는 물건. 실용적인 면뿐 아니라 벽면을 장식하는 장식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주술적인 염원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은 중국 주나라의 천자가 높이 8척의 판에 자루가 없는 여러 개의

  • 목단 / 牧丹 [정치·법제]

    목단을 그려 넣은 . 은 그림이나 글씨를 8, 10, 12폭 등의 나무틀에 비단과 함께 발라 장황한 것으로가례나 책례, 국장 등의 행사 시 의례용으로 쓰였다. 목단은 부귀를 의미하는 꽃으로 여겨져 가례 때 목단이 주로 사용되었다.

  • 도 /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리에 있는 섬. 동경 126°13′, 북위 34°58′에 위치하며, 증도의 동쪽으로 마산도와의 사이에 있다.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약 24㎞, 지도읍에서는 남쪽으로 약 10㎞ 지점에 있다. 면적은 2.50㎢이고, 해안선 길이는 11.2㎞이다.

  • 산 /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영흥군 횡천면·요덕면과 평안남도 맹산군 애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53m. 낭림산맥의 남쪽 한 지맥이 북쪽으로부터 사수산(泗水山, 1,747m)·모도봉(毛都峯, 1,833m)·산으로 이어져 함경남도와 평안남도의 도계를 이룬다. 산정부는 사람이 살

  • 김홍도필 군선도 / 金弘道筆群仙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국보 제139호. 종이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세로 132.8㎝, 가로 575.8㎝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품으로 원래 8폭의 연결 그림이었으나 현재 3개의 족자로 분리되어 있다. 화면의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