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모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5)
사전(376)
- 모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口腔通路)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는 음. [내용] 자음(子音)과 대립되는 말로서 ‘홀소리’라고도 한다. 음소로서의 모음과 구별하여 ‘모성(母聲, vocoid)’이...이칭별칭홀소리
- 모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그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거나 하는 따위의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정의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그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거나 하는 따위의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 문광부표기moeum | MR표기moŭ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모음조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어떤 언어의 다음절어(多音節語) 안에서, 또는 어간형태소와 접사형태소들과의 결합에서 그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일정한 자질을 공유하는 일종의 모음동화규칙. [내용] 예컨대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만 이어지고,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만 이어지는...
- 모음충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한 단어의 내부나 혹은 두 단어 사이에서 각기 별개의 음절에 속한 두 모음이 나란히 이웃하여 나타나는 현상. [내용] 히아투스(hiatus)라고도 한다. 충돌을 일으킨 두 모음 사이에는 음절 경계가 놓여야 하는데, 자음이 낀 음절연결의...
- 매개모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 형태소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자음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자음들 사이에 삽입되는 모음. [내용] 고름소리 또는 조음소‧연결모음‧조성모음‧조모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어의 대표적인 매개모음은 ‘으’로서 그것이 나타나는 위치는 체언과...
단행본(2)
- 韓國學研究論文集(三)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4.12.유형단행본의 과제-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대조분석 교수법 - 정윤도 “바꿔 쓰기” 활동을 통한 한국어 문법교육의 한 방법 - 팜티튀린 朝鮮末期教科書之綴字現象-以國民小學讀本為中心 - 오충신 대만 학습자를
- Elementary Korean for Foreign Students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글로벌한국학센터 센타장), 엄경흠(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인균...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Lesson 01. 한글(Hangeul) Lesson 02. 단모음(Single Vowels) Lesson 03. 이중 모음(Double Vowels) Lesson 04. 자음(Consonants)
논문(2)
- 슬로베니아인을 위한 한국어 모음 발음 교육 방안 [류블랴나 한국학의 구축 | University of Ljubljana (University of Ljubljana)]저자 : 이용 | 게재정보 : 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 14권, 게재일 : 2013.08유형논문
-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 국립정치대학교]저자 : 정성훈 | 게재정보 : 한국어교육유형논문
고서·고문서(450)
- 허여문기 모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후기 재산증여에 관련된 허여문기를 비롯하여 토지소유관계를 증명하는 명문까지 총 23건 24면로 구성되어 있다.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신수안 노래모음집 Ⅰ‧Ⅱ 목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070 창가 신수안 노래모음집 Ⅰ‧Ⅱ 22148 신수안 노래모음집 Ⅰ‧Ⅱ 목차 노래목차 1. 주일학교 교가 2. 금주가 3. 사향곡Ⅰ 4. 사향곡Ⅱ 5. 클레멘타인 6. 탕자가 7. 효순가 8. 리별가 9. 가련한 아이 10. 작은 갈매기 11....구분창가
- 김요섭 목사가 가르쳐 준 노래 모음 목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119 창가 김요섭 목사가 가르쳐 준 노래 모음 22149 김요섭 목사가 가르쳐 준 노래 모음 목차 노래목차 ○ 1. 설날 ○ 2. 회포가 ○ 3. 희망가 ○ 4. 봄 날 ○ 5. 한국의 봄 ○ 6. 조선의 꽃 ○ 7. 해님은 아버지 ○ 8. 새...구분창가
- 소리모음 한영중일한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소리모음 한영중일한사전 인문학 언어학 음성학(언어학) 소리모음 한영중일한사전 김창만 지음 가톨릭출판사 서울 2007 다언어...대표표제어소리모음 한영중일한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음성학(언어학)
- 사랑어사전 : 사랑의 글모음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사랑어사전 : 사랑의 글모음 인문학 문학 문학일반 사랑어사전 : 사랑의 글모음 정규상 엮음 명문당 서울 1993 문학; 사...대표표제어사랑어사전 : 사랑의 글모음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문학 | 소분류문학일반
구술자료(16)
- 눈물이 진주라면-인간문화재 성금연 선생 추모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획/지구레코드사에서 제작된 눈물이 진주라면-인간문화재 성금연 선생 추모음반(음반번호: NCM-96062)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성금연 창작곡 눈물이 진주라면 춘몽 향수 살풀이 기악기타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지성자
- 전라북도 고창군_어기야하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영순(1959년생.남.토민.라성리 이장) 이소라 이소라 어로요 류 멕받형(선후창) 어기 야하 밥잘 먹기는 하나님 덕이고 솔라도레미 솔(t1). 도 (메): 내재4박 1마디 (받): 내재2박 1마디 ♪ = 150 이소라, [어로요 모음집]수협중앙회, 1990.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라성리 | 녹음날짜2015.7.2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양산시_술이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이 어 , 술이 히히여 (받): 도미솔 미를 퇴성. v1. (받)이 내재 4박 1마디. ♪=150 이소라,[양산의 민요]양산군,1992.pp.109~165. 이소라,[한국 어로요 모음]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1990.24쪽. (양산 18) 술이 소리.j녹음지역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 녹음날짜1991.9.12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통영시_술기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나, 암 - , 수 - , 울 기여 - , 아암 오날, 하 - 할 같이 - 이 좋흔 날에 - 에, 행[복], 찾아서, 어일로 - 하세 - D3(도미솔)+M3(미라도) D:미 M:라 v1,3. 비고정장단 곡. ♪ = 150. 이소라,[어로요모음집]수협중녹음지역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노산리 | 녹음날짜1989.2.24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부산광역시 수영구_김매기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 이소라, [한국 어로요 모음]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1990.24쪽 (부산 01) 김매기.jpg (부산 01) 김매기.mp3 * 입말형인 “에 - 헤이, 아 - 아 ”로 논을 매 나가다가 ‘쌈을 싸소’라는 지시적인 메김구에 이어 ‘술기여’를 반복하며녹음지역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 녹음날짜1985.10.3.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16)
- 영어의 모음 체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재영, 게재일 : 199908774 이재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음성학회 1999 영어의 모음 체계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유형논문 | 게재일1999
- 한국어 이중모음 /의/의 단모음화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선우, 게재일 : 201657677 박선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운론학회 2016 한국어 이중모음 /의/의 단모음화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현대 프랑스어 모음체계 고찰 - 중간모음의 변이와 구조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은미, 게재일 : 201141724 박은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1 현대 프랑스어 모음체계 고찰 - 중간모음의 변이와 구조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어 모음의 음운정보를 이용한 한국인의 영어모음 학습의 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영도, 게재일 : 201247227 윤영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영미어문학회 2012 한국어 모음의 음운정보를 이용한 한국인의 영어모음 학습의 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지각 모음공간과 발화 모음공간의 연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양병곤, 게재일 : 201458378 양병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성학회 2014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지각 모음공간과 발화 모음공간의 연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62)
- 햇살_2007_0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 유치부의 글 모음 8 1학년의 글 모음 16 2학년의 글 모음 52 ...발행국가인도 | 발행연도2007
- 유럽레포트_2002_03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짧은 뉴스 모음-Schweres Koreanisch 15 짧은 뉴스 모음-Korea in der Rangliste 15 ...발행국가독일 | 발행연도2002
- 포도송이_2006_0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특별 반 선생님 글 박수연 21 학생 글 모음 22 대회 수상작 모음 120 ...발행국가이탈리아 | 발행연도2006
- 캐나다과기협회보_1998_1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0 관련 site 모음 10 목차에는 11쪽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관련 사이트 모음이 시작하는 쪽은 10쪽이고, 파일에는 11쪽이 없습니다.발행국가캐나다 | 발행연도1998
- 청년_1940_2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한 잡기 홍이섭 5 모음의 인공적 합성 장문원 9 익수록 (1) 초우당주인 11 13쪽 기사있음. 파일분절요망....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0
멀티미디어(138)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자음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자음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자음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발음 본강의는한국어발음에대한음성학적,음운론적이해를목표로한다.한국어자음과모음의구체적인실현양상을살피고,그들이이루고있는체계를고찰하는한편,공시적및통시적음운과정의기강좌제목한국어의 발음 | 강의자김현 교수
-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1: 자음과 모음 3주차.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2: 음절과 음운 변동 4주차.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장 구조 5주차. 한국어와 중국어 단어의 갈래 1: 체언, 용언, 수식언 6주차. 한국어와 중국어 단어의 갈래 2: 조사 7주차. 한국어와 중국강좌제목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분석 | 강의자장미정 교수, 진환상 교수
기타자료(53)
- 새벌 시 모음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새벌 시 모음집 새벌 시 모음집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 중등교육 교사문화 교지범주1중등교육 | 형식교지 | 한글저자대성중학교
- 새벌 시 모음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새벌 시 모음집 새벌 시 모음집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 중등교육 교사문화 교지범주1중등교육 | 형식교지 | 한글저자대성중학교
- (수필) 법항의 영혼의 모음을 읽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필) 법항의 영혼의 모음을 읽고 (수필) 법항의 영혼의 모음을 읽고 (수필) 法項의 영혼의 母音을 읽고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하영란 | 사료철명부산교육
- (교육정보) 94 컴퓨터 정보모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정보) 94 컴퓨터 정보모음 (교육정보) 94 컴퓨터 정보모음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육매체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철수 | 사료철명교육제주
- (교육내용연구) TPA국제음성학회 제정 모음 분류에 의한 우리나라 모음의 비교시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내용연구) TPA국제음성학회 제정 모음 분류에 의한 우리나라 모음의 비교시찰 (교육내용연구) TPA국제음성학회 제정 모음 분류에 의한 우리나라 모음의 비교시찰 교육 문헌 현대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희백 | 사료철명부산교육
연구과제(5)
-
한국어, 동북아 언어의 중심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John Whitman | Cornell University | 2016 | 국외 | 해외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최연식 | 연세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진석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본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와 한국어 교수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Karimov Rivojiddin | Republican research Centre for development of innovative method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under the Uzbekistan State world Languages University | 2021 | 국외
-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강진호 | 성신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77)
-
모음 / 母音 [언어/언어/문자]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口腔通路)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는 음. 모음을 조음(調音)하는 데는 성대·혀·입술·연구개(軟口蓋) 등의 발음기관이 중요한 구실을 하는데 그 중에서 혀의 구실이 가장 중요하다. 혀의 높이와 혀
-
매개모음 / 媒介母音 [언어/언어/문자]
두 형태소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자음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자음들 사이에 삽입되는 모음. 국어의 대표적인 매개모음은 ‘으’로서 그것이 나타나는 위치는 체언과 조사 사이, 그리고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이다. 즉,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고, 그뒤에 자음
-
모음조화 / 母音調和 [언어/언어/문자]
어떤 언어의 다음절어(多音節語) 안에서, 또는 어간형태소와 접사형태소들과의 결합에서 그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일정한 자질을 공유하는 일종의 모음동화규칙. 모음조화는 모음체계와 관련하여 볼 때에 대립되는 두 모음군의 대립양상에 따라 그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첫째, 수직
-
이중모음 / 二重母音 [언어/언어/문자]
발음할 때 혀나 입술이 일정한 상태에 있지 않고 움직여서, 모음으로서의 음색(音色)이 한 번 변하는 모음. 이중모음은 편의상 한 음절(音節) 속의 모음의 연속, 또는 모음과 반모음(半母音)의 결합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때 음절의 핵심으로 기능하는 부분을 음절주음(音
-
원순모음화 / 圓脣母音化 [언어/언어/문자]
양순음(兩脣音) ‘ㅂ, ㅃ, ㅍ, ㅁ’ 다음에서 비원순모음(非圓脣母音) ‘○(·)’가 원순모음 ‘ㅜ(ㅗ)’로 바뀐 음운현상. 중세국어의 ‘믈[水], 블[火], 플[草], [角]’ 등이 근대국어, 특히 17세기 말엽 이후로 ‘물, 불, 풀, (뿔)’ 등으로 원순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