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명선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8)
- 명선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종친계(宗親階) 정3품 상계(上階)의 위호(位號). →종친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양반연구(朝鮮初期兩班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
- 신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3품 당상 작호(爵號). [내용] 종친(宗親)인 명선대부(明善大夫)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작호(爵號)로 당상관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이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예가 있는 자를 모아 문ㆍ무의 시험을 보았는데, 그가 양쪽에 모두 뽑혀 총애를 받으니, 열무(閱武 : 무인들의 사열)가 있을 때에는 반드시 장수로 임명하였다. 1463년 평안도 국경지대인 방산진(方山鎭)에 야인이 침입하자 세조가 명선대부(明善大夫)...이칭별칭 유안(幼安)| 양경(襄頃)|율원군(栗元君)
- 전주이씨고림군파종중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통으로 되어 있다. 허여문기는 직계존속 또는 인척이 재산을 내려주는 문서이다. [내용] 이 종중의 허여문기는 1502년 6월 4일에 재주(財主) 명선대부(明善大夫) 고림정(高林正)이 아들 칠산정(漆山正)에게 노비 5구를 별급(別給)하는 문서이고, 별...연계항목전주이씨고림군파종중문서(全州李氏高林君派宗中文書)
- 종친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않도록 하였다. 그 뒤 1484년에 종친만을 대상으로 하는 과거를 따로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관리의 임용에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학문권장을 위하여 특별히 실시한 것이었다. 식년시(式年試) 다음해에 시행된 이 시험에서는 정3품 명선대부(明善大夫)...
고서·고문서(5)
- 5 第五統統首李邦佶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1765년 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第三江亭里 5 第五統統首李邦佶 第一戶 幼學李昌秀改名邦佶年二十五辛酉本全州父學生弘建祖及第瞻漢曾祖明善大夫 行漢平副守演外祖學生姜有望本晋州妻黃氏年二十七己未籍昌原父學生處彬祖 學生時薄曾祖學...연도_면이름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면이름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마을이름第三江亭里
- 5 第五統統首李鳳枝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捌丁巳本濟州父海命祖成民曾祖仁華外祖李得本慶州率人女召史年貳拾參壬申辛卯戶口相准 第五戶 幼學李昌壽年參拾肆辛酉本全州父學生弘建祖及第瞻漢曾祖明善大夫漢平副守演外祖學生姜有望本晉陽妻黃氏年 參拾陸己未本昌原父學生處彬祖學生時慱曾祖學生斗星外祖學生李漢杞本星州侍母姜氏年陸拾柒戊子率一女年玖丙戌辛卯戶...연도_면이름177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一長生里
- 3 第三統統首朴天郁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本全州父學生弘建祖及第瞻漢曾祖明善大夫行漢平副守演外祖學生姜有 望本晋陽妻黃氏年參拾參己未籍昌原父學生處彬祖學生時博曾祖學生斗星外祖學生李漢杞本星州侍母姜氏年陸拾肆戊子戶口准연도_면이름1771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三江亭里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적힌 물목(物目)을 보여주고는 먼저 소금 1섬을 보냈다. ○류무회로부터 정목(政目)조선시대 벼슬아치의 임면(任免)을 적은 기록이 기재된 기별(奇別)조보(朝報)을 보니, 송중각(宋仲覺)이 과연 당상(堂上) 당상(堂上) : 문관은 정3품 明善大夫ㆍ奉順大夫ㆍ通政大夫 이상,...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복위추상시호등록(復位追上諡號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우대하는 도리가 마땅히 있어야 하며 근래 듣기로 7대손 忠武 信武 형제가 淸州 땅에 살고 있고 그밖에도 그 족속이 있을 것이니 본도로 하여금 조사할 것을 청함. 5월 16일: 明善大夫 東兼都正 炳이 소장을 올려 단종대왕 정순왕후 지석에 闕이 있어 사체...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2)
-
명선대부 / 明善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계 정3품 상계의 위호. 종친문산계(宗親文散階) 정3품 상계의 품계명으로서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을 당상관이라 한다.
-
당상관 / 堂上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조의를 행할 때 당상에 있는 교의에 앉을 수 있는 관계 또는 그 관원. 동반은 정3품의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 서반은 절충장군(折衝將軍) 이상, 종친은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 의빈(儀賓)은 봉순대부(奉順大夫) 이상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다. 이러한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