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명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국조오례의
- 순장
- 김흠조부부묘출토유물
- 토기
- 무덤
연구성과물(4,788)
사전(1,056)
- 명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화랑. [내용] 822년(헌덕왕 14) 8월 웅주도독 김헌창(金憲昌)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일길찬 장웅(張雄) 등을 파견할 때 종군을 청하여 그 낭도를 거느리고?황산(黃山 : 지금의?충청남도 연산)으로 출전...
- 명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죽은 사람의 내세의 생활을 위하여 무덤에 함께 부장하는 기물(器物). [내용]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만들어졌는데, 삼국시대의 토기 중에는 생활용 그릇으로서 굽다리접시‧목항아리‧인형(人形)‧마형(馬形) 등 각종 형태의 명기가 조그맣...
- 명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죽은 이를 위하여 일부러 만들어 무덤에 넣는 그릇이나 악기, 생활 용구 따위의 기물. 무덤에 함께 묻어야 하기 때문에 실물보다 작게 만든다. 귀기(鬼器)라고도 한다. 本房次知服玩明器各樣樻函到山陵後八穀及醓醢淸醴酒等入盛於各其樻函內器皿中是如乎, (국장1776/291ㄱ0...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명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죽은 사람의 내세의 생활을 위하여 무덤에 함께 부장하는 기물(器物).정의죽은 사람의 내세의 생활을 위하여 무덤에 함께 부장하는 기물(器物).[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yeonggi | MR표기myŏng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명기(明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명기 명기 明器 상례(喪禮) 광중(壙中), 목공인(木工人), 목노비(木奴婢) 생활 풍속가례/상례|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임민혁 [정의] 무덤에 시신과 함께 묻는 신명한상위어상례(喪禮) | 관련어광중(壙中), 목공인(木工人), 목노비(木奴婢)
단행본(1)
- 역사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 경북대학교]저자 : 이성주, 심재훈,윤재석,오강원,홍형우,김창석,... | 출판사 : 진인진 | 출판일 : 20180915
논문(1)
-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러시아지역 한인디아스포라연구 -역사와 문화, 삶과 정체성의 재조명- | 동국대학교]저자 : 윤상원(가천대학교) | 게재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 67집, 게재일 : 2013.12유형논문
고서·고문서(2,622)
- 明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830 喪禮四箋 卷七 ITKC_MP_0597A_0830_020_0100 明器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喪禮四箋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명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명기 이 남자 충청남도 공주시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清县) 서위자향 서위자촌 2 2 명기, 감사이, 편지, 선...대표표제어명기 | 성씨이
- 명기명창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938 잡가 S―8―A 시요지구(쇼지꾸) 명기명창 韓成基 [1] 명기명창 풍유량과 악수가건호사식계교군 와 압우고 일등 오입장이 화렵도 잇고 형세도 잇고 아름아리 먹도 알고 간거러진 오입장이 수명 모도 모와 팔도강산을 구경갈 경상도 ...구분잡가
- 名妓名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133 잡가 C268―A, C268―B 12894 ―‧제―핸드포―드 株式會社日本蓄音器商會 ―‧제―핸드포―드 西尾四良 名妓名唱 朴素春 鼓 韓成俊 [2] 名妓名唱風流郞(명긔명창풍류랑)과 가진 호사 식혀 轎軍(교군) 태워 압세우고 一...구분잡가 | 편저자―‧제―핸드포―드
- 명기편년(明紀編年)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17)
- 명기가 빠진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와 청중의 교류가 활발하여 즐거운 분위기에서 설화구연이 이루어 졌다. 특히 김기열 제보자는 교훈을 강조하는 이야기를 주로 구연 하였다. 구연을 시작할 때도 적극적이어서 민요구연이 끝난 후에 설화 구연 유도를 위해 노랑 병든 며느리의 이야기를 해달라고 요청하였는...조사일시2011. 2. 18 (금) | 조사장소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 3리 경로당 | 제보자김기열
- 생강장수와 평양 명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전에 조사를 한 곳이라 자연스럽게 응해 주었다. 얼마나 자료를 모았느냐고 묻기도 했는데, 이야기를 마치면서 돈은 잘 쓰야 된다고 강조했다. *조사일시1984-07-31 | 조사장소경상북도 구미시 원평1동 | 제보자이동현
- 동생에게 지관명기를 뺏긴 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고담을 하나 부탁하니 처음에는 무식해서 못한다고 하더니 술을 권하고 부탁을 자꾸하니까 술값으로 하나 하겠다고 하면서 시작했다.*조사일시1980-10-06 | 조사장소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 | 제보자이병우
- 전라북도 고창군_얼싸 절싸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25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얼싸 절싸 얼싸 절싸 장원질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 발룡 1989.5.24 素89-5-24②A 강태주 강태주(192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얼싸 절싸 류 멕받형 (선후창) 얼싸 절싸 노래 대신 기명기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 발룡 | 녹음날짜1989.5.24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충청남도 논산시_쌈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이소라 입말형 논매기 멕받형식(선후창) “아 - 아 헤아” 또는 “아 - 아 아 - 아 에 - 아 - 아” 계룡산 [명]기를 듬뿍 받어서허, 국사봉 - 명기가 뚝 떨어 졌네 주요구성음: 솔(라)도레미솔‘(라’) 솔,도. 레를 퇴성(t1,4. t5g). 솔도미녹음지역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 | 녹음날짜2002.9.23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68)
- 생명기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도, 게재일 : 200004264 김성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호학회 2000 생명기호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da01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신명기 역사에 나타난 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택현, 게재일 : 200348998 오택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구약학회 2003 신명기 역사에 나타난 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러시아 혁명기 유대인 사회주의 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가영, 게재일 : 201253647 고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문화사학회 2012 러시아 혁명기 유대인 사회주의 운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혁명기 러시아 문학과 네오리얼리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홍중, 게재일 : 201147234 김홍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어노문학회/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혁명기 러시아 문학과 네오리얼리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文化大革命期 중국 연극의 정치권력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양회석, 게재일 : 200622278 양회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6 文化大革命期 중국 연극의 정치권력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411)
- 마명기(馬鳴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마명기(馬鳴記) 馬鳴記 마명기 형태서지 [朝鮮] [韓國] 筆寫本 朝鮮末-近代 2冊 19.2x20.0 上卷 墨書刊記: 丙辰四月 下卷 墨書刊記: 丙辰二月二...대표표제어마명기(馬鳴記) | 대표서명馬鳴記 | 한글서명마명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姜明基(-)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姜明基(-) 원산 姜明基 - 上洞 - - 사탕,밀가루,과자상 판매 11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姜明基(-)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사탕,밀가루,과자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유식증명기(唯識增明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유식증명기(唯識增明記) 唯識增明記 유식증명기 유통서지 唯識增明記 4 善珠 盡燈第一 注進法相宗章疏 T55, p. 1143a...대표표제어유식증명기(唯識增明記) | 대표서명唯識增明記 | 한글서명유식증명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郵書開閱과皮封明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우리가 양 우톄로 편지붓치 쟈에 야 피봉에 뎌사의 거쥬셩명도 분명이 쓰려니와 편지 부치쟈의 거쥬 통호도 분명이 붓칠것이라고 루루이 바이오 우리가 소경도 잇거니와 우편국 함을거즉 편지볼사이 낫던지 신고얏던지 한 거쥬셩명이 미분명야 찻지못고...게재일1907년 6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咸命基(仁昌精米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咸命基(仁昌精米所) 서울 咸命基 仁昌精米所 龍頭町 136 식료품 - 정미(精米) 정미 30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咸命基(仁昌精米所)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정미(精米)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93)
-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19세기 중후반 제국주의의 외부 충격으로 동아시아가 서구적근대를 조우하며 소용돌이 치기 전, 18세기 중후반 일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기타자료(419)
- 백명기;白命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888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52면 백명기;白命基 경기 제20회 1941년 12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손명기;孫命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210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9면 - 손명기;孫命基 1925년 3월 1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명기;趙明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229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1면 - 조명기;趙明基 1926년 3월 1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명기;白命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433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55면 - 백명기;白命基 소화11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명기;白命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346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97면 1. 제12. 졸업생;42) 법과 제7회 졸업생 (1929년 3월 (19일) 33인 백명기;白命基 개성부;(원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1)
-
신문 잡보를 통해 본 근대여명기 한국 사회의 파노라마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현조 | 연세대학교 | 국내
-
조선후기 야담집(野談集)의 교감 및 정본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환국 | 동국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운용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문화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Dong Bae Lee |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 2014 | 국외 | 해외
-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성주 | 경북대학교 | 2013 | 국내 | 대구
주제어사전(64)
-
명기 / 明器 [종교·철학/유학]
무덤에 넣는 생활도구, 죽은 이를 위하여 일부러 만들어 무덤에 넣는 그릇이나 악기, 생활 용구따위의 기물이다. 무덤에 함께 묻어야 하기때문에 실물보다 작게 만든다.
-
도기 배모양 명기 / 陶器舟形明器 [예술·체육/공예]
가야시대의 토기. 보물 제555호. 높이 9.1㎝, 길이 27.9㎝.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점토판(粘土板)을 잘라내어 좌우 대칭이 되게 배모양[舟形]을 만들고, 그 아랫면은 판(板)으로 부착시켰다. 긴 선실(船室)을 3개소의 칸막이로 나타냈다.뱃전[舷]의 높이는 비교
-
도기 서수형 명기 / 陶器瑞獸形明器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미추왕릉 지구 중 C지구 제3호분에서 발견된 토기. 보물 제636호. 높이 14㎝, 길이 13.5㎝, 밑지름 5.5㎝.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밑에 고배(高杯)에서 흔히 보는 바와 같은 받침에 몸은 거북형이고 머리는 용(龍)머리의 이형 토기
-
도기 신발모양 명기 / 陶器履形明器 [예술·체육/공예]
가야시대의 신. 보물 제556호. 길이 23.5㎝, 너비 6.8∼7.2㎝.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회갈색(灰褐色)의 경질토기(硬質土器)로, 모양은 근대의 여자 고무신과 비슷하다.앞부리는 코가 높게 나와 있어서 버선발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고, 양 옆에는 각각 4, 5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 陶器騎馬人物形明器 [예술·체육/공예]
신라시대의 토기 1쌍. 국보 제91호. 1924년에 경상북도 경주시 금령총(金鈴塚)에서 출토되었다. 주인과 시종으로 보이는 인물이 각각 말 위에 앉아 있는데, 기본적인 형태는 같으나 사람과 말의 장식에 나타난 세부적 표현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두 점 모두 두꺼운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