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망예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1)
- 망예위(望瘞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망예위 망예위 望瘞位 망료위(望燎位) 예감(瘞坎) 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정종수 [정의] 제사를 마치고 예감(瘞坎)에서 축문이나 폐백을 불사르거나 묻는 것을 감독하기 위해...동의어망료위(望燎位) | 관련어예감(瘞坎)
- 개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臘染付朴只殿門鎖鑰具開金一介望瘞位盖板乬沙一部排目具, (빈전1680/305ㄴ11~1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예감(瘞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을 허락해 주기를 조종에게 청하는 의식을 거행할 때는 예감을 파고 묻는 것을 망예위(望瘞位)에서 영의정(領議政)이 이를 감독한다.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 따르면, 예감에 축문과 혼백을 묻을 때 집례(執禮)가 ‘사배(四拜)’ 하면 영의정 이하 및 종친과 문무백...관련어축문(祝文), 혼백(魂帛)
- 해신제(海神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다. 집사와 알자의 예가 끝나면, 전폐례(典幣禮)를 행하고, 향(香)을 올리며, 대축(大祝)이 종헌관의 왼편에서 축문을 읽는다. 초헌관이 내려오면 아헌(亞獻)과 종헌(終獻)을 한 뒤 음복례(飮福禮)를 행하고 대축이 서쪽 계단을 올라가 철상(撤床)한다. 헌관이 망예위(望...유형분류행사
- 개판(蓋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덮는 데 사용된다. 그 외에 『빈전(혼전)도감의궤(殯殿(魂殿)都監儀軌)』에서 나타나는 망예위개판(望瘞位蓋板)·어정개판(御井蓋板)·당가개판(唐家蓋板) 등이 있다. [용례] 梓宮蓋板有罅隙 命拿推長生殿提調判書李尙吉參判尹昕[『인조실록』 13년 12월 13일] ...상위어지붕 | 동의어개판널 | 관련어부연(附椽), 산자(橵子), 서까래
고서·고문서(3)
- 건어(乾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者代之 本司掌醴者以學院吏贊禮贊唱者以禮院吏亦閑習禮文者爲之 設望瘞位於堂之東北當瘞坎西向贊唱者位於瘞坎東北南向東上 祭器之數先聖神座前簠簋各二簠實稻粱在左粱在稻前簋實黍稷在右稷在黍前竝居前籩八在左爲二行右上 第一行石鹽乾魚乾棗栗黃第二行榛仁菱仁芡仁鹿脯豆八在右爲二行左上 第一行韭葅醓醢菁葅鹿醢第二...출처전거高麗史 권6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問 焚祝之始?【男學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kr/inLink?DCI=ITKC_MP_0597A_1000_020_0160_2015_022_XML 022 答 在經無文,何不於《通典》考之?今公祭焚祝之地,謂之望瘞位,【或稱望燎位】 或其始瘞之,轉而焚之耳。 283쪽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건어(乾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461 B018461 건어 乾魚 수산물 世宗實錄 七年(1425) 春正月 세종실록_10701014_005 設監察位於薦俎官之西, 俱南向,【監察位稍却】開瘞坎於殿之北壬地, 方深取足容物南出陛, 設望瘞位於瘞坎之南, 獻官在南北向, 執禮、大祝、贊者在東, 俱重行西向北上。 享日未行...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망예위 / 望瘞位 [정치·법제]
망예는 제향에서 헌작, 음복례, 철변두의 의식을 끝내고 행하는 마지막 의식이다. 초헌관 또는 아헌관이 망예위에서 북향하여 서면 집사자들이제물을 구덩이에 두고 흙으로 반쯤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