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6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672)
사전(44,689)
- 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람의 생각을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 [내용] 사람의 한뉘(한평생)에서 목숨을 지키는 데 필요한 공기와 음식을 빼놓고, 말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그리고 말만큼 삶과 밀착된 것도 없다. 사람은 낮에 깨어 있을 때 말을...
- 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말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개설] 가축의 하나이며 학명은 Equus caballus L.이다. 말의 조상이라고 생각되는 동물의 화석은 유럽‧아시아‧아프리카 지방에서 볼 수 있는데 지금으로부터 약 300만년 전으로 추정되는 신생대 제3기층...
- 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석(石)으로서, 1석은 15말[斗]로 되어 있어 석은 십진법을 사용하여 정해진 단위는 아니다. 그러나 곡물을 계량할 때는 언제나 말을 사용하였으며, 또는 말로써 계량할 수 없는 적은 분량일 경우에는 되가 쓰였다. 상고 때부터 고려 문종 때까지는 단일량제도(單...이칭별칭두(斗)
- 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버선. 조선 시대 대전 법복인 면복 및 강사포에는 적색 단(緞)으로 겉을 하고 비색(緋色) 초(綃)로 안을 댄 말을 착용하고, 중궁전 내전 법복에는 대홍광적 적말을 착용한다. 대한제국 시기 고종 황제 12장복의 말은 주단(朱緞)으로 하였고, 황후의 적의(翟衣)에는 청...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늙은 쥐의 도둑질에 공범자로 연루된 억울함을 창고신 앞에서 하소연한다. 자신은 병들어 지칠 때까지 사람을 위해 일할 뿐 늙은 쥐와는 아무런 연관도 없다고 이야기하며 억울함을 항변한다. 도둑질에 관한 조사가 끝난 후 풀려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50)
- 우리말 문법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강용택 ... | 출판사 : 민족출판사 | 출판일 : 201308유형단행본
- 옛편지 낱말사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저자 : 김만일(한림대학교), 하영휘, 전송열, 이대형, 임재완, 제송희, 윤성훈, 박형우...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2.12분야언어 | 유형단행본이 책은 7년의 연구와 집필로 완성된 최초의 간찰 용어사전이다.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의 간찰부터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옥중 서한까지가 이 사전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책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한국의 옛 자료를 읽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
- 한국어 발음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 국립정치대학교]저자 : 진경지, 나제임 ... | 출판사 : 瑞蘭國際有限公司 | 출판일 : 20220901유형단행본《深入韓國:韓國語發音》全書共分為五章:第一章為〈韓語的背景介紹〉,針對韓國語言及文字之演變脈絡,以及韓國文字之創制背景進行說明;第二章為〈韓語的母音〉,在充分介紹母音之概念、種類後,就個別母音進行發音訓練;第三章為〈韓語的子音〉,在充分介紹子音之概念、種類後,再依序與單母音結合進行發音練習;第四...
-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문명 교류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저자 : 김형종 ... | 출판사 : 폴리테이아 | 출판일 : 201504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한국-말레이시아 교육‧문화 교류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저자 : 류승완 ... | 출판사 : 폴리테이아 | 출판일 : 2015012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논문(22)
- 중국 내 대학 한국어과 말하기 교재 분석 - '아름다운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중국 화남지역 한국학 교육연구 특성화 및 플랫폼 구축 | 吉林大学珠海学院]저자 : 양동훈 | 게재정보 : 중국조선어문
- 京都大学附属图书馆藏正中元年(1324)跋刊本〈诗人玉屑〉考论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卞东波 | 게재정보 : 中山大学学报 56권 262호, 게재일 : 2016.05유형논문
- 연해주지역 발해의 지방지배 방식 연구 [9세기대 발해의 지방 지배 방식 사례 연구 -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 충북대학교]저자 : 양시은(서울대학교) | 게재정보 : 호서고고학 33권, 게재일 : 2015.10도성이나 5경 소재지와 같은 발해의 중심부가 아닌 외곽의 자료가 당시의 지방지배 방식을 훨씬 더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 판 단했기 때문이다. 검토 결과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첫째, 발해는 평지성을 중심으로 지방지배를 시행하였다. 실제로 말갈...유형논문
-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유지웅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4_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유지웅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고서·고문서(52,775)
- 말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402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말 〈ad〉全南全州大町四丁目三一〈/ad〉 〈in〉李一相君報〈/in〉 〈#95〉 에― 불알애다 말 달고 가네 〈ad〉말 탄 사람 놀닐제〈/ad〉 〈d〉1930.07.19.〈/d〉구분창가
- 말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430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말 〈ad〉成南安邊郡新茅泉內里〈/ad〉 〈in〉朴珣玉君報〈/in〉 〈#123〉 말아 말아 배곱처라 래일 모레 콩낙가줄라 〈e〉숫말을 보고 하는 노래〈/e〉 〈d〉1930.07.30.〈/...구분창가
- 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말 김 남자 경상북도 군위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영안현(宁安县) 발해전영원 4 3 말, 음향, 얼버무려, 똑똑한축...대표표제어말 | 성씨김
- 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말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녕안현(宁安县) 발해진 발해공사 2 2 말, 기억, 어머니, 다시...대표표제어말 | 성씨김
- 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말 김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왕청현(汪清县) 춘양공사 금광대대 3 3 말, 글, 그리운, 마...대표표제어말 | 성씨김
구술자료(2,939)
- 점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서곡대사 이야기에 이어서 쉬지 않고 곧바로 구연을 시작했다.조사일시2010. 01. 13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도관3리 467-1번지 노인 회관 | 제보자박경주
- 옛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요청하자 구연하였다. 제보자 윤월선 웃길려고 하는 말이라고 하면서 말잇기노래처럼 하였다.조사일시2011. 3. 30 (수)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1리 경로당 | 제보자윤복선
- 덕석말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임봉진
- 군웅 말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무가의 전사가 끝나니까 자정이 넘었다. 그래서 내일 아침에 조사자의 여관에 오기로 약속을 하였는데, 오전 10시경에 왔다. 조사자가 제보자에게 다른 무당이 잘 부르지 못하는 무가가 있느냐고 하였더니 자랑스러운 듯이 있다고 하면서 이것을 불렀다. 제보자에 의하면...조사일시1984-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산시 달동 | 제보자유필종
- 정말효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 가게집에서 채록했다. 오전 10시경이었는데 주막집에는 4~5명의 노인들이 술을 마시고 있었다. 그 자리에 들어가서 인사를 하고 술을 대접한 뒤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김복남씨가 들려준 이야기다. 김복남씨는 술이 약간 취해 있었으나 구연에는 아무 이상이 없었고 ...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 제보자김복남
기초학문(1,468)
- 기호와 거짓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운찬, 게재일 : 200205263 김운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2 기호와 거짓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2
- 淸末詞學理論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석형, 게재일 : 199210012 이석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大學校 大學院: 中語中文學科 1992 淸末詞學理論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1992
- 우리말 인사화행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미령, 게재일 : 201240122 김미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 인사화행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淸末 四大家 詞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148190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회 2001 淸末 四大家 詞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기, 게재일 : 200836530 박종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사학회 2008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38,192)
- 말 고 지 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하우씨 룡문산턴 독긔를엇어 경향완고당의 실긔구멍을 고 평양바다물노 구셕구셕씨셔 공긔를 가득히넛코 썩고썩은 고집을 다시 말고지고 진이 공부던 송굿을엇어 공립학도의 넙젹다리를 시시로너 이십셰긔 신학문을 부즈러니 련습고 우유도일을 다시 말고지고 ...게재일1907년 8월 11일 | 기사분류기타
- 말 모 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상고 어려온 모듬이라 문뎨를고 우리나라에셔 흔히 쓰 담 두가지를 혼합야 썻스되 귀졀은 십팔오 귀졀은 십일이니 두말을 합면 이십구인 이십일만 긔록고 글가 두번쓰이것 여은 식만 두고 다 여버렷스니 엇더들을 두번식쓰던지 이...게재일1907년 10월 19일 | 기사분류기타
- 말 모 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상고 어려온 모듬이라 문뎨를고 우리나라에셔 흔히 쓰 담 두가지를 혼합야 썻스되 귀졀은 십팔오 귀졀은 십일이니 두말을 합면 이십구인 이십일만 긔록고 글가 두번쓰이 것 여은 식만 두고 다 여버렷스니 엇더들을 두번식쓰던지...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기타
- 말 모 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상고 어려온 모듬이라 문뎨를고 우리나라에셔 흔히 쓰 담 두가지를 혼합야 썻스되 귀졀은 십팔오 귀졀은 십일이니 두말을 합면 이십구인 이십일만 긔록고 글가 두번쓰이 것 여은 식만 두고 다 여버렷스니 엇더들을 두번식쓰던지...게재일1907년 10월 22일 | 기사분류기타
- 말 모 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안에쓴것을득시거든득을자셰긔록야봉투에 긴봉고셩명거쥬를긔록야 월요일로본샤로보시 난 도 리 팔 밤 팟 난 먹 져 짓 작 이 가 ○ 한 치 나 마 팔 엇 기 콩 못 다 로 콩 작 낫 져 다 알 기 만 하 시 면 상 등 이 지 본샤에셔 신문 ...게재일1907년 10월 12일 | 기사분류기타
멀티미디어(1,602)
- 16세기 초반 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702_16세기_초반_말 경제_757_16세기_초반_말.jp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말[馬]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503_18세기_중반_말[馬] 경제_1503_18세기_중반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말린홍합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78_토공_15세기_중반_말린홍합 경제_233_토공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말[馬]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080_17세기_중반_말[馬] 경제_1080_17세기_중반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수산업의 실태 3주차. 한말(韓末)의 수산업과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 4주차.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과 전통적 질서의 변화 5주차.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과 어업권의 소유변동 6주차. 수산업의 발전과 한국경제 송경은 교수 1. 소속: 한국원산지정보원 2. 학력: 성강좌제목한국 수산업 발전사 | 강의자송경은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0)
- 옛 편지 낱말사전 결과보고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결과보고서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정부의 역량과 지도력 변화가 국가 발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말레이시아 비교 분석 결과보고서 [정부의 역량과 지도력 변화가 국가 발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말레이시아 비교 분석 | University of Malaya, Kuala Lumpur]자료유형연구보고서
-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응용 연구(1단계) 결과보고서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응용 연구(1단계) | 인하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4,925)
- 박말련;朴末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45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49면 박말련;朴末連 1924년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말찬;申末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62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1면 신말찬;申末贊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말련;朴末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915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0면 박말련;朴末連 제2회 1925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말찬;新末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08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1면 신말찬;新末贊 제3회 1928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말호;宋末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48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0면 송말호;宋末鎬 제1회 1943-07-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45)
-
옛 편지 낱말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만일 | 한림대학교 | 2007 | 국내 | 강원
-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한영규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허성관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 2013 | 국내 | 서울
-
교육에 기반한 인도네시아 말랑의 한국학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Gonda Yumitro | Universitas Muhammadiyah Malang | 2023 | 국외 | 해외
-
동말레이지아 사바대학에 한국학 연구 플랫폼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Rasid Mail | universiti malaysia sabah | 2015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3,801)
-
말 / [언어/언어/문자]
사람의 생각을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 사람의 한뉘(한평생)에서 목숨을 지키는 데 필요한 공기와 음식을 빼놓고, 말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그리고 말만큼 삶과 밀착된 것도 없다. 사람은 낮에 깨어 있을 때 말을 할 뿐 아니라 밤에 잠을 자면서도 꿈을
-
말군 / 襪裙 [생활/의생활]
말군이 있다. 이것은 두 가랑이의 바지에, 허리끈이 달리고 뒤가 열려 있으며, 무릎에 화양장식(花樣裝飾)이 있는 형태이다. 이 처용관복에는 말(襪), 곧 버선까지 달려 있는 것이 있어서, 원래는 버선이 달려서 ‘말(襪)+군(裙)’으로 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
석말 / 舃襪 [정치·법제]
영조정순후가례도감>에 명복함과 석말함의 기록이 있어 동뢰 시물목으로 옷과 별도로 보관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적말 / 赤襪 [생활/의생활]
대전의 법복과 중궁전의 법복에 신는 붉은색의 버선. 적석에 갖추어 신던 붉은색의 버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 때 적석과 함께 신는 왕의 버선이다. 중궁전 법복에도 대홍당직 적의를 입을 때 적석과 함께 신는다. 대홍광직 또는 대홍향
-
제말 / 諸沫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제씨의 시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김해·정암 등지에서 대승하였다.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그 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