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마미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9)
- 마미립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말총으로 만든 흑립. 조선 초기에는 당상관 이상이 착용하였으나 후에는 구분 없이 사족(士族)들의 대표적 쓰개가 되면서 양태의 크기와 모옥의 높이 등에 변화가 있었다. 연산군 4년 6월에는 입자(笠子) 착용에 대한 구분이 지켜지지 않자 말총으로 만든 마미립 착용을 금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입모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세자 가례 시에 사용되는 갓. 갓의 모자와 양태 부분을 비단으로 싼 것을 말한다. 그런데 1627년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昭顯世子嘉禮都監儀軌에는 마미립을 사용하였고, 현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后嘉禮都監儀軌에는 마미두면을 사용하였다. 그 후 숙종인 경후가례도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백양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정(精)을 만들 때 사용된 흰색 양털 모직물. 왕의 흑궤자피화(黑麂子皮靴), 흑사피화(黑斜皮靴)와 함께 신는 목이 긴 버선 형태의 족의(足衣)인 정(精)을 만들 때 사용되었다. 黑熊皮毛精壹依前減付標啓下涼精壹白羊毛精壹衣襨匣壹依前減付標啓下黑漆馬尾笠家壹, (가례172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승립(繩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經國大典)』 「예전(禮典)」에 조선시대 선비 집안의 사람들은 50죽 초립(草笠)과 말총으로 짠 마미립(馬尾笠), 대나무 가지로 짠 부죽립(付竹笠)을 쓰며, 평인은 30죽 초립과 부죽립·승결립(繩結笠)을 쓴다고 하였다. 1491년(성종 22) 2월 왕이 영안북...상위어입(笠) | 동의어승결립(繩結笠) | 관련어당승립(唐繩笠), 승립장(繩笠匠)
- 소오건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보이고, 현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后嘉禮都監儀軌에 의하면 소오건은 검은색 비단인 조라(鳥羅) 1척 1촌으로 만들었다. 翼善冠壹笠毛羅代馬尾笠壹小烏巾壹網巾貳內壹玉貫子具團領壹袞龍袍次鴉靑雲紋匹段諸具, (가례1727/011ㄱ05~0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
- 宮室ㆍ車乘ㆍ衣服ㆍ器用,其僭侈踰制者,悉宜嚴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用本律。土人至今稱之。【本律杖一百。吏胥與有官者同】 《經國大典》曰:“庶人衣服九升。士族草笠五十竹,又馬尾笠ㆍ付竹笠。庶人草笠三十竹,又竹織笠ㆍ繩結笠。” ○案 草笠,古俗也。然當時士族ㆍ庶民,其首ㆍ服有等級明矣。今也上自大臣,下至小吏,皆著耽羅細帽簷三百回以上,噫!且奈何? 《經國大典》曰:“堂...권차명牧民心書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추안급국안 : 역적 이괄(李适) 범죄사건 문서(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來天變乎矣身曰在鄕不見朝報何 以知有天變乎佑曰汝庸劣何知此等事乎矣身曰本以 禍家之人沉伏鄕曲何爲發此可惧之言乎汝身尙負前 罪方見侵於時云何爲一向悖戾如此所謂前罪者與渠 四寸朴咸元參証賣母得罪人倫事是白齊佑答曰我豈 死於渠等之手乎汝徐觀我作京畿水使着茜色馬尾笠 可也仍取矣身大狼皮而去不以鷹相換但約夕...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2)
-
마미립 / 馬尾笠 [생활]
말총으로 만든 흑립. 조선 초기에는 당상관 이상이 착용하였으나 후에는 구분 없이 사족들의 대표적 쓰개가 되면서 양태의 크기와 모옥의 높이 등에 변화가 있었다. 연산군 4년 6월에는 입자 착용에 대한 구분이지켜지지 않자 말총으로 만든 마미립 착용을 금지하기도 하였다.
-
전고종갓 / 傳高宗갓 [생활/의생활]
면’ 또는 ‘마미립(馬尾笠)’이라 표기되기도 하였다.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45호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갓 형태의 모자는 세계에서 유일한 것으로 예술적, 실용적 가치가 인정되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모자로 세계적으로 인정받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