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지중추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2,0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5)

사전(49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그 뒤 정원이 9인까지 되었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용관(冗官) 감축의 방침에 의하여 그 정원이 7인으로 감축되고, 1466년에 중추원이 중추부로 개칭되면서 동지원사도 로 바뀌어 ≪경국대전≫의 규정으로 정하여졌다. ≪속대전≫에서 정원이 8...
  • 동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 同知旣未及付 若不付 則追榮亦不爲之 渠必不知招見嚴矣, 이수일(李秀逸), 35-5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L14_D_2542 金克儉 인물 登第, 重試, 壯元, 廉介, 產業, 冰蘖, 金海 士廉, 我光廟 D_12_07_09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양진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4(명종 19)∼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백경(伯卿). 일찍이 좌수였다가 1593년(선조 26)에 무과에 급제하여 ()에 이르렀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
    이칭별칭 백경(伯卿)
  • 이시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7(효종 8)∼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의관.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성몽(聖夢). 1678년(숙종 4) 무오식년에 의과등제하고, 1711년 동지사(冬至使)를 따라 명나라에 갔다. 내의(內醫), (...
    이칭별칭 성몽(聖夢)

고서·고문서(1,511)

  • 화수헌채공행장(花樹軒蔡公行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二月。 許曄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二月。 許曄卒 30_189_078.jpg 二月。 許曄卒。 曄自少以學問自許, 而議論顚錯。 至於文義, 亦不通曉, 嘗與李滉論學, 所見差誤。 滉笑曰: “太輝若不學問, 則眞是善人也。” 蓋譏學識之差也。 雖自以爲好善,...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林公)墓碣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六 【拾遺】墓碣銘 19 (林公)墓碣銘 44_111_101.jpg (林公)墓碣銘 嘉靖乙丑秋, 珥以禮曹佐郞, 奉命賜祭卒林公于龍仁, 頗聞鄕人稱其淳原壽考。 翌年丙寅, 其孤子某, 因參判尹公毅中, 求碣銘于珥, 示以墓誌, 乃今...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李宜權을 嘉善大夫 로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852 0424_01 李宜權을 嘉善大夫 로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JL112.JPG 李宜權을 嘉善大夫 로 임명하는 敎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代(白仁傑)謝賜食物, 仍辭疏【庚午】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疏箚 52 代(白仁傑)謝賜食物, 仍辭疏【庚午】 40_065_017.jpg 代(白仁傑)謝賜食物, 仍辭疏【庚午】 伏以犬馬殘生, 已迫桑楡, 白首有歸, 待盡丘壑。 恭惟聖明天覆、日臨, 無遠不屆, 無微不燭, 鴻恩普被, 臣實偏...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46)

  • / [정치·법제/법제·행정]

    하여 그 정원이 7인으로 감축되고, 1466년에 중추원이 중추부로 개칭되면서 동지원사도 로 바뀌어 ≪경국대전≫의 규정으로 정하여졌다.

  • 권감 / 權瑊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우참찬 권성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뒤 장릉참봉이 되었다. 남원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 박종유 / 朴宗儒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75∼1755). 1728년(영조 4) 문과별시에 급제한 뒤 관직에 진출하여 요직을 두루 거쳐 에 이르렀다. 시·서·화에 능했으며 저서로는《사변》1책이 있다.

  • 유덕장 / 柳德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묵죽화가(1675∼1756). 를 지냈다. 이정의 묵죽화풍을 이어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정·신위와 함께 조선의 3대 묵죽화가로 이름을 날렸다. 유작으로〈설죽〉·〈설죽도〉·〈황강노절〉과 팔폭병풍 등이 있다.

  • 윤명렬 / 尹命烈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2∼1832). 40년 동안 내외 요직을 두루 거쳐 병조참판·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고 가의대부에 올랐다. 동래부안핵사 때 왜어역관 등이 왜인과 모의하여 서계와 도서를 위조한 사건의 진상을 밝혀 엄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