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서활인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3)
- 동서활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빈민의 질병구료사업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일명 동서활인서라고도 한다. 1401년(태종 1) 고려시대의 제도를 본받아 동서대비원을 설치하였던 것을 1414년 동활인서와 서활인서로 개칭하였다. 그 뒤 1466년...이칭별칭동서활인서
- 활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민 대상의 의료기관. [내용] 고려시대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의 후신이다. 1392년(태조 1) 관제개혁 때는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따랐으나, 1414년(태종 14) 동‧서활인원으로 개칭하였고, 다시 1466년(세조 12) 관...
- 한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세종 4년(1422) 8월 한증욕이 병을 고치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예조에서 조사하라고 지시하였다. 또 세종 10년조에 “동서활인원(東西活人院) 및 서울에 있는 한증소의 승인(僧人)들이 병증(病症)을 가리지 않고 땀을 냄으로써 간간이 사망하는 일이 있다. ...
- 태백당(太白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버려진 소는 3일 뒤 태백당 주변의 사람들이 잡아먹기도 했지만, 삼척부에서 수거하여 관아의 경비에 보탰는데, 이를 퇴우(退牛)라 했다. 또 태백당에 바친 물건들 역시 거두어서 동서활인원(東西活人院)과 귀후서(歸厚署)의 경비로 사용하게 했다. ...동의어태백산사(太白山祠), 태백천왕당(太白天王堂) | 관련어백두옹(白頭翁)
- 매골승(埋骨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매골승 매골승 埋骨僧 선심승(善心僧), 자비승(慈悲僧), 매장(埋葬), 동서활인원(東西活人院), 유직승(有職僧), 승역(僧役), 귀후소(歸厚所) 문화종교/불교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관련어선심승(善心僧), 자비승(慈悲僧), 매장(埋葬), 동서활인원(東西活人院), 유직승(有職僧), 승역(僧役), 귀후소(歸厚所)
고서·고문서(6)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614 B030614 귀후소 歸厚所 정치행정 太宗實錄 十四年(1414) 九月 태종실록_11409006_001 ○丙子 / 改施惠所爲歸厚所, 東西大悲院爲東西活人院。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595 B030595 귀후소 歸厚所 정치행정 世宗實錄 七年(1425) 六月 세종실록_10706002_006 ○吏曹啓: “生藥鋪、昭格殿、迎接都監、威儀色、忠扈衛、惠民局、濟生院、東西活人院、歸厚所、東西窰、沈藏庫, 凡有錢穀各處兼帶官, 請依祿官例, 竝令解由傳掌。”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596 B030596 귀후소 歸厚所 정치행정 世宗實錄 五年(1423) 三月 세종실록_10503003_003 ○禮曹啓: “金海帝釋堂、羅州錦城堂、三陟太白堂及其他外方各官神堂, 竝令推刷, 分屬東西活人院、歸厚所, 其祀神退物, 令所在官收之, 納于所屬處。”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院、昭格殿、圖畫院、東西活人院、歸厚所、典廐署諸學、提擧、別坐, 東西窰判官、五部學堂敎授官、訓導官、律學訓導官等口傳官吏, 本曹幷皆檢察, 以示勸懲。”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先春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日中原女子多服左衽之衣,見聞者皆以爲非吉兆,今女着男服,亦豈嘉祥也哉?況後世唯女服上衣下裳,最爲近古,若如此從心爲之,則男女衣服,可以自相制度,無所不至矣,何至今不變乎?乞命攸司定限禁止,其如前穿着者,收其衣分置東西活人院,以爲貧病者之服.一,祭前代君相.臣竊觀大明諸司職掌,遣官祭歷代君相,用以大牢...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1)
-
동서활인원 / 東西活人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빈민의 질병구료사업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401년(태종 1)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동서대비원을 설치하였던 것을 1414년 동활인서와 서활인서로 개칭하였다. 그 뒤 1466년(세조 12)의 관제개혁 때 활인서로 통합, 관습적으로 동·서로 나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