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4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136)
사전(6,483)
- 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도 불린다. 신선과 같은 종류와는 구분하여 이른바 성립도교(成立道敎)에 의한 도사는 고구려말인 643년(보장왕 2) 연개소문(淵蓋蘇文)이 당나라 태종(太宗)에게 청하여 건너오게 한 숙달(叔達) 등의 8인이 그 시초이다. 그들은 ≪노자도덕경 老子道德經≫...
- 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당지역의 원래의 토착세력을 이용하였는데, 도사(道使)는 중앙으로부터 파견된 지방관 중의 하나였다. [내용] 지방관으로서의 도사의 명칭은 고구려‧백제‧신라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삼국시대 도사가 지방관으로 파견되기 시작한 시기는 확실히 알 수 없다. 다만...이칭별칭처려근지(處閭近支)|성주(城主)
- 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상서도성(尙書都省)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었다. 문종 때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이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병합되어 첨의부(僉議府)로 되면서 다른 상서성 관속들과 함께 혁파되었다. 12...
- 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충렬왕 6)이지만, 낭중 이하의 속관을 둔 것은 1288년 안향(安珦)이 원외랑에 임명되면서부터이므로 도사 역시 이 무렵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원나라의 관직임에도 불구하고 정동행성의 다른 속관들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으로만 충원되었으며, 특히 고려의 고위관리로써...
- 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중앙의 충훈부(忠勳府)‧의빈부(儀賓府)‧충익부(忠翊府)‧의금부(義禁府)‧개성부(開城府) 등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5품이다. 중앙의 각 관서의 제반 서무를 주관하거나 지방의 관찰사를 보좌하던 관원이다. 도사 가...
단행본(6)
- 한국시민사회사: 민주화기 1987~2017 [한국 시민사회사 (1945-2014) : 제도, 조직, 이념, 생활사 | 한양대학교]저자 : 주성수 ... | 출판사 : 학민사 | 출판일 : 20170515유형단행본민주주의에도 봄은 왔는가? 겨울 내내 얼어붙은 광장에서 절규했던 시민들이 민주주의의 봄을 찾고 있다. 주권자 시민들의 ‘대통령 탄핵’ 명령을 국회의원들과 헌법재판관들도 받들지 않을 수 없었기에 ‘시민혁명’이 되었다. 촛불의 직접민주주의 행동이 위기에 처한 대의민주주의를...
- 한국시민사회사: 산업화기 1961~1986 [한국 시민사회사 (1945-2014) : 제도, 조직, 이념, 생활사 | 한양대학교]저자 : 정상호 ... | 출판사 : 학민사 | 출판일 : 20170515유형단행본『한국시민사회사_산업화기 1961~1986』은 다소 도발적인 문제의식과 역동적인 서사를 담고 있다. 적지 않은 사람들, 심지어는 전문 연구자들조차 한국의 시민사회는 1987년 민주화와 더불어 생겨났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완전한 오류이자 편견이다. 198...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 한성대학교]저자 : 강관식 ... | 출판사 : 미정 | 출판일 : 202001본 연구는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조선후기 성리학 문화와 초상화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尤庵 宋時烈(1607-1689)의 ...
- 한국시민사회사:국가형성기 1945~1960 [한국 시민사회사 (1945-2014) : 제도, 조직, 이념, 생활사 | 한양대학교]저자 : 이나미 ... | 출판사 : 학민사 | 출판일 : 20171230유형단행본이 책은 해방 후 찾아온 혼란에 시민사회가 대응해나간 국가형성기를 다루고 있다. 시기는 1945년부터 1961년 5.16 쿠데타 이전으로, 16년 정도 되는 길지 않은 기간이지만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큰 사건들이 일어났던 시기이다. 해방, 미군의 진주, 분단, 헌법제...
-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자료수집과 역사편찬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연원과 기반에 관한 연구-朝鮮·支那·滿蒙·동남아 통합지배를 향한 ‘東洋史’와 식민사학 비판 | 서울대학교]저자 : 서영희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202일제시기 조선총독부는 방대한 조선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식민지의 역사편찬사업을 추진했다. 총독부가 조선의 역사편찬사업을 추진한 까닭은 무엇일까? 이 책은 조선총독부의 식민사학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진행된 역사편찬사업의 추진 배경뿐 아니라 식민지 기초조사사업으로 시행된...
고서·고문서(8,636)
- 도사(島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141 B063141 도사 島司 정치행정 高宗實錄 三十年(1878) 九月 고종실록_13009008_002 ... 移屬臣營之後, 姑無管轄之官, 防守極爲疎忽, 民情亦甚拂鬱。 故新設兵丁一百名、武士一百名, 姑使臣營領官操鍊, 而尙無官制之稱, 終欠彈壓之方矣。 特設水師別將一窠...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司䆃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090 司䆃寺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典堵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110 典堵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孝道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孝道事典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孝道事典 裵鉀齊 편저 한국효도회 서울 2002 효도; [국중]서고자료신청대(1...대표표제어孝道事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도사내도(島沙乃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142 B063142 도사내도 島沙乃島 도서 황해남도 大東地誌 권9 황해도 長淵 鎭堡 ... 阿郞浦鎭西四十五里距金沙寺十三里舊有水軍萬戶移于助泥浦○追捕防所舞睡龍浦南六十五里東令浦西北五十五里快岩浦西五十里 吾叉浦 助泥浦 白翎浦右六處進捕武士○吾叉浦 白翎島 島沙乃島俱有瞭望將...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황해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43)
- 철관도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7을 하고 난 뒤 쉬면서 안정을 한 제보자는 대중들 앞에서 마이크를 잡고 이야기 해 본 적이 없어서 당황했다면서 이제는 “이야기를 해도 괜찮겠지.” 하면서 이야기를 해 주었는데 처음과는 달리 땀을 흘리지 않고 이야기를 해 주었다.*조사일시1980-12-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 제보자남석규
- 도사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중들에게 둘러쌓여서 이야기를 구연하기 시작했다. 이장님인 것도 있지만, 입담이 워낙 좋은 편이어서인지 이야기를 모두 재미있게 경청하였 다.조사일시2009.02.21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 우동마을 | 제보자임채길(남,69세)
- 도사와 여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41]이 끝나자 최순금씨가 자기가 하겠다며 계속하려 하자, 제보자가 동시에 “내 하나 하지.”하면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7-29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 제보자신을출
- 곰발이와 도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만수씨의 이야기가 끝이 나자 부락 구판장에서 준비한 국수가 들어와서 점심을 먹느라고 녹음을 중단했다. 점심을 먹고 난 뒤 제보자가 점심값을 해야겠다며 이야기하기를 자청했다. 조사자가 마이크를 넘겨 주니까 제보자는 자기 평생에 마이크를 잡아 보기는 처음이라면서 자...조사일시1980-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김쌍근
- 박문수와 도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7-3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 제보자양또순
기초학문(40)
- 1713年(肅宗 39) 御眞 圖寫와《御容圖寫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영, 게재일 : 200402336 김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13年(肅宗 39) 御眞 圖寫와《御容圖寫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독일어 추도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국현, 게재일 : 200641929 조국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회 2006 독일어 추도사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신춘문예의 문학제도사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재복, 게재일 : 200638562 이재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화학회 2006 신춘문예의 문학제도사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6
- 南冥的有ㆍ道思想比較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이환, 게재일 : 199902063 오이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명학연구원 1999 南冥的有ㆍ道思想比較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37유형논문 | 게재일1999
- 渤海灣 砣磯島사람들의 喪葬儀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동환, 게재일 : 200514268 안동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05 渤海灣 砣磯島사람들의 喪葬儀禮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497)
- 糊塗査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후창 젼군슈 리식씨의 탐쟉일로 도관찰가 부훈령을 인야 셩군슈 윤동한씨로 샤관을뎡야 사보라 얏더니 샤관이 보고기 원피고와 각동두민을 솔야 아모리 심문야도 그소공이 각각달으여 샤슈업기로 원피고 관찰부로 긔송노라 지라 도관찰가 ...게재일1906년 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倒死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아참에 경무남셔내쳥직 오인영의녀식 십일셰된아희가 물을먹으려고 물박을들고 독에업여 물을다가 물독속으로들어가 당장에 쥭엇다더라게재일1906년 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道師歸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텬도교션 손병희씨가 외국유람이 지우금 십유여년이라 월십일로 환국예뎡이라더라게재일1906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間島査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무산건너 간도시찰 리범윤씨의 공보를 거즉 간도거민의 호젹을 밧은즉 합 일만삼쳔호오 남은 호슈도 됴샤는즁 호젹지 경비가 만여량인 판츌 무로야 셩이 원 뎡얏스며 쳥국비도를 금즙기 위야 관원을 셜치야 달나고 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圖寫仰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샹폐하 어진본을 임의도 △신지라 작일에 쳐분이 나리시기를 금일에 도를 우러러볼터이니 시원임대신 각신 죵친 참졍 찬졍 각부부△신의장 승 츈계방옥당이 입시라신고로 작일에 다 입시야 쳠앙엿다더라게재일1902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16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17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18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19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20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결과보고서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270)
- 반공교육의 지도사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반공교육의 지도사례 반공교육의 지도사례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교육론 교육과정 생활지도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심석보 | 사료철명부산교육
- 학생생활지도사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생생활지도사례 학생생활지도사례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생활지도 잡지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태규 | 사료철명교육제주
- (지도사례) 관찰기록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지도사례) 관찰기록지도 (지도사례) 관찰기록지도 (指導事例) 觀察記錄指導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학습지도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덕구 | 사료철명문교경북
- (지도사례) 관찰기록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지도사례) 관찰기록지도 (지도사례) 관찰기록지도 (指導事例) 觀察記錄指導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학습지도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현규 | 사료철명문교경북
- (지도사례) 신이 나서 가르쳤지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지도사례) 신이 나서 가르쳤지만 (지도사례) 신이 나서 가르쳤지만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교육과정 학습지도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원수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15)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조남호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인터넷 한국’의 사회문화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광석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긍식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쇄미록 영역, 주석 및 해제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조원희 | 연세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44)
-
도사 / 都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앙의 충훈부·의빈부·충익부·의금부·개성부 등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5품이다. 중앙의 각 관서의 제반 서무를 주관하거나 지방의 관찰사를 보좌하던 관원이다. 특히, 중앙의 주요 관아에 있던 도사와는 달리, 관찰사의 수령관인 도사는 각 도의 영역을 관찰사와
-
강도사 / 講道師 [종교·철학/개신교]
장로교 교역자의 일종. 장로교의 교리를 가르칠 수 있는 선생. 한국 장로교회에서는 장로회총회가 조직된 직후부터 기록에 나타난다. 강도사 자격은 교단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교단 총회신학교에서 3년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총회에서 시행하는 강도사 고시
-
독도 사철나무 / 獨島四─ [과학/식물]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소재한 사철나무. 2012년 10월 5일에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사철나무는 독도에서 현존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대표적 수종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국토의 동쪽 끝 독도를 100년
-
사도시 / 司䆃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중의 미곡과 장 등의 물건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에 요물고를 설치하였다. 1401년(태종 1) 7월에 공정고(供正庫)로 개칭, 1422년(세종 4) 9월에 다시 도관서(䆃官署), 1460년(세조 6) 5월 도관서 혁파
-
유도헌 / 柳道獻 [종교·철학/유학]
1835년(헌종 1) ∼1909년(융희 3).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는 유종춘, 조부는 유상조, 부친은 유진한. 생부 유진익과 생모 이휘승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이휘존의 딸, 둘째 부인은 황하진의 딸이다. 산림처사로 은거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