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대간령”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령(새이령)과 작은 샛령(새이령)으로 구분하여 ‧소간령이 되었다. 조선시대의 지리지에서는 이 고개가 소파령(所坡嶺) 혹은 석파령(石破嶺)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자연환경] 태백산맥의 분수령이 동해안으로 접근하여 있는 지역으로 동쪽 사면은 급경...
    이칭별칭샛령|새이령|소파령(所坡嶺)|석파령(石破嶺)
  • 소간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사이에 있는 고개. [개설] 높이 705m. 태백산맥의 신선봉(神仙峰, 1,204m)과 마산봉(馬山峰, 1,052m)과의 안부(鞍部)에 있는 새이령 또는 (, 641m)의 서남쪽...
  • 진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년 미시령을 관통하는 4차선 터널이 건설되면서 진부령의 교통상황은 비교적 한가해졌으나 아직도 고성군 간성읍을 거쳐 최북단인 대진 방향으로 가는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또한 진부령은 남한 쪽 백두대간 등산로의 최북단으로 마산령을 거쳐 을 지나 신선봉...
  • 미시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와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사이에 있는 고개. [개설] 미시령의 해발고도는 826m로, 한계령과 함께 내설악과 외설악을 가르는 고개일 뿐 아니라, 예로부터 진부령‧‧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道納嶺, 661m)‧기대령(旗垈嶺, 824m)‧추지령(秋地嶺, 645m)‧단발령(斷髮嶺, 824m)‧내무재령(內務在嶺)‧진부령(陳富嶺, 529m)‧(, 647m)‧미시령(彌矢嶺)‧한계령(寒溪嶺, 935m)‧선자령(仙子嶺, 1,297m)‧대관령(大關嶺, 86...

주제어사전(3)

  • /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토성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는 641m로, 태백산맥의 지맥인 설악산맥의 북단에 있는 신선봉(神仙峰, 1,183m)과 마산(馬山, 1,052m) 사이의 안부(鞍部)이다. 한계리에서 속초를 연결하는 국도 46호선이 개통됨에 따라 서쪽

  • 소간령 / 小間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705m. 태백산맥의 신선봉(神仙峰, 1,204m)과 마산봉(馬山峰, 1,052m)과의 안부(鞍部)에 있는 새이령 또는 (, 641m)의 서남쪽 계곡과 소양강의 지류인 북천(北川)의 창암(窓巖)에

  • 미시령 / 彌矢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와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사이에 있는 고개. 미시령의 해발고도는 826m로, 한계령과 함께 내설악과 외설악을 가르는 고개일 뿐 아니라, 예로부터 진부령··대관령 등과 함께 태백산맥을 넘는 주요 교통로였다. 서울에서 44번 국도를 타고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