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노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12)
사전(400)
- 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에 왕비 및 정3품 이상의 정처(正妻)가 입던 겉옷. [내용] ≪국혼정례 國婚定例≫에 중궁전 의대(衣襨)로서 대홍향직흉배금원문노의(大紅鄕織胸背金圓紋露衣)‧대홍향직흉배겹장삼(大紅鄕織胸背裌長衫)‧겹오(裌襖)‧중삼(中衫)‧경의(景衣)...
- 蘆蟻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D_0829 蘆蟻 시 李奎報 D_09_04_24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2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노의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비와 왕세자빈의 노의(露衣)에 띠던 허리띠.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仁祖壯烈后嘉禮都監儀軌에 보면, 왕비의 금원문노의(金圓紋露衣)에 자적라(紫的羅) 6자 7치와 금박으로 사용할 금 7첩이 사용된 노의대를 띠었으며, 숙종인현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后嘉禮都監都廳儀軌에는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노의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향낭의 혼인 잔치가 무질서해질까 염려하여, 일찍이 삼군을 물리쳤던 기세로써, ‘음란하고 더럽다는 이름이 난 자는 들어올 수 없다’고 쓴 깃발을 들고 서서, 많은 사람의 발길을 돌리게 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노의국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방인애의 양아버지이다. 강남에 장사하러 갔다가 가족과 헤어지고 길가에서울던 인애를 보고 양자로 삼아 사랑하며 기른다. 방주가 제나라 왕이 되자 인애를 잘 기른공로로 제나라의 이부상서가 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179)
- 鄭鎭魯의 戶口單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593 1419_01 鄭鎭魯의 戶口單子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소차계장류, 호적류, 호구단자 한자 고문서 HJ102.JPG 鄭鎭魯의 戶口單子 戶口單子 鄭鎭魯(31歲) 未詳 未詳...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應魯의 입후명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134 2500_01 具應魯의 입후명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일상생활, 증빙류, 입후명문 한자 고문서 KBR053.JPG 具應魯의 입후명문 명문 生母 達城徐氏 具應魯 道光 16년(1836) 2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應魯의 입후명문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135 2500_02 具應魯의 입후명문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일상생활, 증빙류, 입후명문 한자 고문서 KBR053.hwp 道光十六年丙申二月十七日家翁族從弟具應魯 前許與文 右文爲立後許與事家翁族從弟具應魯氏 卽柴傍先...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2 第二統統首私奴儀永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농소면(農所面) 1699년 농소면(農所面) 第十施禮里 2 第二統統首私奴儀永 統第一戶 烏長里來府案付束伍軍私奴儀永年肆拾庚子本密陽上典永川居崔禮男父正兵石乙伊祖正兵允伊曾祖出身德天外祖私奴春生本 慶州母私婢今伊妻私婢愛玉年參拾肆丙午本蔚山上典府居幼學朴信祖父...연도_면이름169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施禮里
- 6 第六統統首私奴儀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농소면(農所面) 1699년 농소면(農所面) 第十一烏長里 6 第六統統首私奴儀俊 統第一戶 府案付束伍軍私奴儀俊年肆拾捌壬辰本慶州率父石乙伊今故祖正兵允伊曾祖出身德天外祖私奴李春立本慶州母私婢今 伊上典永川居崔禮男妻驛女崔分禮年肆拾伍乙未本密陽父驛吏守元祖驛吏汝...연도_면이름169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一烏長里
구술자료(14)
- 파경노의 결혼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1]이 끝나고 나서 청중과 조사자가 거듭 하나 더 해달라고 청하자, 이번에는 사양도 하지 않고 바로 구연하였다. 가끔 얘기 도중에 기억이 확실하지 않는지 머뭇거리기도 하였으나 끝까지 재미있게 이끌어나갔다. *조사일시1984-03-31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낙안면 | 제보자문영복
- 수전노의 소주대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속해서 이야기를 이었다. 실재(實在)했던 인물의 이야기인 것 같았다. *조사일시1981-07-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 | 제보자김을동
- 농장의 흑인 노예 파스티오의 잃어버린 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러나 다음날 네그리노는 아무 상처 없이, 잃어버린 말을 타고 돌아왔다. 잃어버린 것을 찾았다는 점에서 성 론지노의 이야기와 비슷하지만, 성 론지노는 가톨릭과 더 관련이 있고, 네그리노의 이야기는 아프리카의 문화와 기독교문화가 합쳐졌다는 점이 다르다. 파스티오, 노예,국가브라질 | 제보자레오나르도 사투르니누 페헤이라 [브라질, 남, 1990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음성군 민요 거북놀이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주의 인터뷰 “신라사람들이 충청지방을 점령하고 이후 성행하였던 것이 용왕굿인데 그것이 퇴화하고 용왕의 아들이 거북이다 하면서 거북이 대체되었다.” 그러나 확실한 고증 및 전승경로를 알 수 없음. 거북놀이 재연자 윤영노의 인터뷰 “거북이를 꾸며 배와 꽁지에 한 명씩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서장득
- 음성군 민요 거북놀이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주의 인터뷰 “신라사람들이 충청지방을 점령하고 이후 성행하였던 것이 용왕굿인데 그것이 퇴화하고 용왕의 아들이 거북이다 하면서 거북이 대체되었다.” 그러나 확실한 고증 및 전승경로를 알 수 없음. 거북놀이 재연자 윤영노의 인터뷰 “거북이를 꾸며 배와 꽁지에 한 명씩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상태
기초학문(64)
- 아도르노의 개인의 위기 노제의 현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하, 게재일 : 201356638 이종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13 아도르노의 개인의 위기 노제의 현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조선후기 연안항해와 外洋航路의 개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동환, 게재일 : 201354252 고동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조선후기 연안항해와 外洋航路의 개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초기 노예서사와 에퀴아노의 유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희, 게재일 : 200504321 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미문학교육 2005 초기 노예서사와 에퀴아노의 유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칼비노의 환상과 현실의 거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상진, 게재일 : 200305674 박상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03 칼비노의 환상과 현실의 거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3
- 淸中期 四川 嘓嚕의 活動과 地方治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준갑, 게재일 : 200013342 이준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사학회 2000 淸中期 四川 嘓嚕의 活動과 地方治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419)
- 姦通現露의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려쥬군 상동 박치근위명인이 그이웃에 김만복의쳐 리소을 통간다가 그본부에게발각된일로 군 경무분셔에셔 박가와 계집을 경긔경무셔로 압상 장차유부녀 통간률로 징역에 쳐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捕虜義兵의押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오후 시경에 일본병뎡이 디방에셔 로잡은 소위의병 십명을 압령야 군령부에 도착얏다 기즁칠명은 남대문으로 죠들어오고 칠명은 동대문으로들어왓다더라게재일1907년 9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元老의會議延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국에관원로대신의 회의도 슈를인야 삼십일지 연긔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3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邱安線路의 陳情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邱安線路의 陳情 1912년 9월8일 대구 대구 대구상업회의소의 대구-안동 간 도로 속성 건의 진정에 대해 내무부장이대표표제어邱安線路의 陳情 | 연월일1912년 9월8일 | 지역대구
- 英露의仲裁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파사국졍부 토이기 군함이 국경에 침입에 야 영국과 로국졍부의 즁를 쳥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15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기타자료(36)
- 노의용;盧義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6343 남한 경성 감리교신학교 1-01 神學世界 제24권 제2호 1939―05―07 62면 1. 신학교소식;2) 1939년도 신입생 ;(3) 본과3학년 노의용;盧義勇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노의숙;魯義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987 일본 東京 東京外國語學校 東京外國語學校一覽 昭和14年度 1939―12―20 155면 노의숙;魯義淑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노의중;盧意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971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31면 노의중;盧意重 제천읍내 酒造회사 제15회 1930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노의중;盧意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2058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10호 1930―03 93면 노의중;盧意重 청주군 강내면 월곡리 288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노의중;盧意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9970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04면 노의중;盧意重 청주군 강내면 월곡리 288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16세기 星州지역 기층민의 通過儀禮와 의식세계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이혜정 | 서울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7)
-
노의 / 露衣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왕비 및 정3품 이상의 정처가 입던 겉옷. 노의는 금원문의 흉배가 있고 노의대가 있는 왕비의 상복으로 가장 존귀한 옷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옷이었는지는 알 수 없고, 다만 1412년(태종 12) 사헌부의 상소에 “노의·오·군·입·모는 존자의
-
곽종석 / 郭鍾錫 [종교·철학]
항일기의 유학자(1846∼1919). 을사조약 체결 후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였고 파리의 만국평화회의에 독립호소문을 보내고 옥고를 치렀다.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스승 이진상에게서 성리학을 이어받아 주리에 입각하여 이기설을 주장하였다. 저서에는《면우문집》이 있다. 1
-
금성대군 / 錦城大君 [종교·철학/유학]
였다. 그러나 거사 전에 관노의 고발로 실패로 돌아가 반역죄로 처형당하였다.
-
김시연 / 金始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0∼?). 대사헌 김노의 아들, 궁내부특진관 김완수의 아버지이다. 전라도관찰사 때 국고 탐장의 죄로 탄핵 받아 자자형을 받고 제주도에 위리안치되었다. 고종의 특지로 풀려나 1875년 형조판서에 올랐으나 강화도조약으로 혼란스런 틈을 타 조정 비
-
이겸 / 李謙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노의 증손, 할아버지는 양춘, 아버지는 맹지, 어머니는 강사민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에 진사, 1507년(중종 2)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흥덕현감·장령·사성, 중화부사에 이르렀다. 1519년 기묘사화 때 장령으로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