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해고속도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49)
- 남해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1년 8월에 고속국도 번호체계가 변경됨에 따라 고속국도 제6호에서 고속국도 제10호로 변경되었다. 2008년 11월에 마산외곽고속도로가 남해고속도로로 편입됨과 동시에 기존의 남해고속도로 산인분기점∼창원분기점 구간이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독립하였다. 2011년에는 목...이칭별칭고속국도 제10호선
- 성내터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성내리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상의 터널. [내용] 길이 175m, 너비 7.4m, 높이 6.85m로 1973년 11월에 준공되었다. 실제 차량통과 가능높이는 4.8m로서 도로터널의 표준단면을 갖추...
- 구포낙동강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고속도로의 기점을 이루는 중요한 구실을 수행하고 있다. 『호남‧남해고속도로건설지』(한국도로공사, 1976)
- 부마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고속국도 제9호선 부마고속도로로 불리다가 1981년 11월에 남해고속도로지선으로 개칭되어 노선번호가 고속국도 제6‧2호선이 되었으며 1992년 4월에 명칭이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고속도로 노선번호 체계에 따라 고속국도 제6‧2호에서 고속국도 제1...이칭별칭남해제2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104호선
- 섬진강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궁항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선소리를 연결하는 다리. [내용] 구교는 1973년에 준공되었고, 이를 전면 재시공하여 1992년에 신교를 준공하였다. 구교는 당시 남해고속도로 제2의 장대교량(...
멀티미디어(1)
-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확장예정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ss1-0108_#1 유구 지도 1.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간)구간 문화유적 분포도 2014-11-10_0.977688_지도 1.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간)구간 문화유적 분포도.jpg제목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확장예정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
-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확장예정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s1-0108 유구 2014-11-10_0.8172724_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 확장예정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_표지.jpg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확장예정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南海高速道路(內西-冷井)擴張豫定區間 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 1996...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경상남도
- 김해 덕산리유적 - 부 : 울산 호계리 주거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이상길,이현석,윤정희,강윤석 유진근,이상길,이현석,윤정희,강윤석 경남대학교박물관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398-1~5번지 경상남도 김해시 5,000여 평 양산-구포간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1993...발행연도1995.08 | 발굴기관경남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사천 선진리 982-2번지일대 시굴조사결과약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상변경이 불가피한 사업예정부지내의 유적의 유무를 확인한 후 공사시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구역은 사천읍에서 남서쪽으로 약 7㎞ 떨어진 지점에 남북으로 길게 뻗은 사천만의 동안(東岸) 중간지점으로 남해고속도로에서 사천시로 진입하여 3번...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6)
-
남해고속도로 / 南海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와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고속국도 제10호선이다. 기점은 전라남도 영암군이고 종점은 부산광역시 북구이다. 기존에 전라남도 순천시에서부터 부산광역시까지 개통되었다가, 2012년 4월 27일자로 영암·순천 구간이 추가로 개통됨으로써 전구간에 걸친 공사가
-
광양국가산업단지 / 光陽國家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일원에 있는 산업단지. 남해고속도로와 근접하고 광주·마산에서 약 100㎞, 광양읍에서 20㎞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순천과는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다. 광양제철소에서 약 1.2㎞거리에 입지해 있으며 연관 공업의 집단화로 철강 제품의 생산성 제
-
남해제2지선고속도로 / 南海第二支線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 개통 당시에는 남해지선 또는 고속국도 제9호선 부마고속도로로 불리다가 1981년 11월에 남해고속도로지선으로 개칭되어 노선번호가 고속국도 제6·2호선이 되었으며 1992년 4월에 명칭이 남해제2지선고속도로으로 개칭되었다.
-
섬진강교 / 蟾津江橋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궁항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선소리를 연결하는 다리. 구교는 1973년에 준공되었고, 이를 전면 재시공하여 1992년에 신교를 준공하였다. 구교는 당시 남해고속도로 제2의 장대교량(長大橋梁)으로 길이 524.60m, 너비 11.85m의 2차
-
성내터널 / 城內─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성내리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상의 터널. 길이 175m, 너비 7.4m, 높이 6.85m로 1973년 11월에 준공되었다. 실제 차량통과 가능높이는 4.8m로서 도로터널의 표준단면을 갖추고 있으며, 보링(boring) 결과에 의한 암질판단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