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홍집” 에 대한 검색결과 5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5)

사전(321)

  • 김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 않았다. 후에 예조판서‧공조판서‧이조판서와 의정부의 좌우참찬 등의 요직을 거쳤으며, 1894년 갑오경장 당시 제1차 () 내각에서 의정부좌찬성으로 활약하였다. 『철종실록(哲宗實錄)』
    이칭별칭 원경(元卿), 경일(景一), 원일(元一)
  • 설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여 설장구놀이라 하던 것을 줄여서 이렇게 부르고 있다. 본래 상쇠와 둘이서 놀이판 가운데 나와 서로의 가락을 주고받으며 놀던 것이었으나, 전라북도 정읍의 유명한 장구잽이 ()에 의하여 오늘날과 같이 혼자 하는 형태가 되었다고 한다. 이...
    이칭별칭설장구놀이
  • 이규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을 저지른 혐의로 파직되었다. 1884년 갑신정변 실패 후 수구파정권이 등장하자 다시 친군영좌영사(親軍營左營使)에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친군영후영사ㆍ협판내무부사ㆍ공조판서ㆍ춘천부유수 등을 지냈으며, 1894년 제1차 내각(內閣)이 성립되자...
    이칭별칭 군백(君伯)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초명(初名)은 홍집(宏集)이지만 후에 홍집(弘集)으로 개명하였다. 자는 경능(景能), 호는 도원(道園), 이정학제(以政學齋)이다. 김주신(金柱臣)의 5대손으로 김영작(金永爵)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창녕성씨의 후손인 성재순(成載淳)의 딸이다. 1868년 별시문과에 급제...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린 일본은 1895년 을미사변을 일으켰다. 그런데 내각은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철처하지 못해, 시종 반일ㆍ반외세의 처지에 있던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상실하고 말았다. 1896년 2월 아관파천으로 내각이 붕괴되고 친로 정권이 수립되자...
    이칭별칭 경능(景能)| 도원(道園), 이정학재(以政學齋)| 충헌(忠獻)

단행본(1)

  • 고종과 아관파천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김영수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1021
    을미사변으로 촉발되어 단발령으로 퍼진 반일정서는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이어졌다.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 새벽 고종이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한 사건으로 알려졌다. 당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했던 김홍집 내각은 개혁을 급속...

고서·고문서(97)

  • 슈펠트의 조선 교섭 실패와 수신사 의 일본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슈펠트의 조선 교섭 실패와 수신사 의 일본행 조선 Korea Eisendecher Bismarck 1880.08.19 1880.09...
    대표표제어슈펠트의 조선 교섭 실패와 수신사 김홍집의 일본행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조영하, ,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영하, ,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조선사절의 방문과 해명에 관하여 betreffend Besuch und Erklärungen d...
    대표표제어조영하, 김홍집,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 발신자Brandt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 조영하, ,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영하, ,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조선의 정치적 변혁에 관한 보고서 환송 Wentzel Bismarck 1882.11...
    대표표제어조영하, 김홍집,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 발신자Wentzel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함부르크 | 수신지베를린
  • 조영하, ,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영하, ,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조선정세에 관한 보고 전달 Wentzel 1882.11.21 베를린 함부르크 ...
    대표표제어조영하, 김홍집, 이조연의 베이징 주재 독일공사관 방문 | 수신자Wentzel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함부르크
  • 1895년 내각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 () 동지표리진상(冬至表裏進上)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구술자료(2)

  • 권일상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장구로 유명한 과 이봉문 등과 상모와 대금의 갈대 청 재료 및 걸립과 풍장 용어와 진의 방향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읍풍물 정읍농악 권일상 이기열 이리 농악 설장고 쇠가락 걸립 풍장 우질굿 좌질굿 농악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기열
  • 권일상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장구로 유명한 과 이봉문 등과 상모와 대금의 갈대 청 재료 및 걸립과 풍장 용어와 진의 방향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읍풍물 정읍농악 권일상 이기열 이리 농악 설장고 쇠가락 걸립 풍장 우질굿 좌질굿 농악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일상

기초학문(1)

  • 韓國開港期の日本見聞記の言語意識と表象―金綺秀、、朴泳孝の明治體驗(1876-182年)、脫天下する思考、國語化する言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호덕, 게재일 : 2004
    14004 황호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東京大學 綜合文化硏究科 比較文學比較文化硏究室 2004 韓國開港期の日本見聞記の言語意識と表象―金綺秀、、朴泳孝の明治體驗(1876-182年)、脫天下する思考、國語化する言語 http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22)

  • 亡命客特赦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에 망명엿던 유길쥰씨이외 칠인과 갑오년 각춍리대신 탁지대신어윤즁 농상공부대신 졍병하 졔씨 일병특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金氏繼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춍리대신 씨의 죄명을 탕쳑 말은 이왕긔얏거니와 씨의 혈쇽이 업슴으로 젼 군슈 김셕희씨를 솔양야 봉케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작일에 즁츄원에셔 의쟝이하 여러의관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즁츄원에셔 의쟝이하 여러의관들이 회야 의결기 리쥰용 력명건에 야 그부친 리면이가 감히 발명갓치 상소엿스나 그져둘슈 업고  은 곳 쳐형엿거니와 김윤식은 졍법치 못엿시니 곳 다 잡아셔 졍죄쟈고 련명야 상소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6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108호 풍운한말비록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부분은 풍속을 해치므로 삭제함. ()의 시체를 종로 한 가운데 뒀는데 이에 불을 붙이고 태우려는 자, 칼로 생식기를 잘라내는 자, 돌로 머리를 깨부수는 자, 살을 잘라내고 먹는 자들이 있었다.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8호 풍운한말비록 | 출판물명풍운한말비록(風雲韓末祕錄)
  • 86 강길모 함흥시 삼일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리정환 박인춘, , 한고갑, 장경섭 직맹 지난 11일 하오 6시 30분 흥남비료공장 로동자들은 흥남로동회관에서 금년도 1·4분기 총결 및 5·1절 기념 증산운동 종업원대회를 개최...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413_03 | 책임주필강길모

멀티미디어(50)

  • _6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다. 1주차. 김춘수 2주차. 서희 3주차. 신숙주 4주차. 사명당 5주차. 최명길 6주차. 7주차. 헤이그특사 8주차. 김규식 9주차. 조소앙 40주차. 장면 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김선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김
    강좌제목한국 역사 속의 외교관 | 강의자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 _6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다. 1주차. 김춘수 2주차. 서희 3주차. 신숙주 4주차. 사명당 5주차. 최명길 6주차. 7주차. 헤이그특사 8주차. 김규식 9주차. 조소앙 41주차. 장면 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김선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김
    강좌제목한국 역사 속의 외교관 | 강의자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 _6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다. 1주차. 김춘수 2주차. 서희 3주차. 신숙주 4주차. 사명당 5주차. 최명길 6주차. 7주차. 헤이그특사 8주차. 김규식 9주차. 조소앙 42주차. 장면 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김선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김
    강좌제목한국 역사 속의 외교관 | 강의자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 _6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다. 1주차. 김춘수 2주차. 서희 3주차. 신숙주 4주차. 사명당 5주차. 최명길 6주차. 7주차. 헤이그특사 8주차. 김규식 9주차. 조소앙 43주차. 장면 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김선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김
    강좌제목한국 역사 속의 외교관 | 강의자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 _6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다. 1주차. 김춘수 2주차. 서희 3주차. 신숙주 4주차. 사명당 5주차. 최명길 6주차. 7주차. 헤이그특사 8주차. 김규식 9주차. 조소앙 44주차. 장면 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김선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김
    강좌제목한국 역사 속의 외교관 | 강의자김선미, 김경태, 한승훈, 양진아, 조형열, 이주호

기타자료(1)

  • 17.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12일 미상 미상 미상 M.A.포젤, 봉피스, 이토, 이홍장, 주복, 마젠충, 조영하, , 어윤중 한일 병합 1910년 10월 11일 각서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국 병합이 기정사실이 된 만큼, 한국을 그런 결과로 이끈 정치적 사건들은...
    집필자미상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10월 12일 | 발신자미상 | 수신자미상

주제어사전(33)

  • /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관료·정치가(1842∼1896). 임오군란 후 한국전권부관으로서 제물포조약에 서명하였다. 내각총리대신 때 ‘홍범 14조’ 발표, 청일전쟁 후 갑오개혁 단행, 을미사변 후 과격한 개혁 실시, 아관파천으로 친러파에 밀린 후 난도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 단발령 / 斷髮令 [역사/근대사]

    1895년 11월 내각이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도록 내린 명령. 당시 정부가 단발령을 내린 이유는 ‘위생에 이롭고 작업에 편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교 윤리가 일반 백성들의 생활에 뿌리 깊이 자리 매김하고 있었다. 단발령 실시는 당시의 실정을 고

  • 신섭 / 申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이《사의조선책략》을 가지고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신섭은 신사척왜상소문의 공통된 《조선책략》의 사학성의 지적과 사교(서학)의 배척을 강조하고 《조선책략》을 만이지역(일본)에 가서 가져와

  • 통상사 / 通商司 [역사/근대사]

    1880년 통리기무아문 내 통상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한 관서. 중국을 비롯한 이웃나라들과의 통상업무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설치 당시 통상당상에는 김보현과 이 임명되었다.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사로 개편될 때에도 존속되었으며,

  • 홍재학 / 洪在鶴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881년(고종 18).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 본관은 남양. 1880년 이 <조선책략>을 고종에게 올려 이에 대한 찬반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당시 조정은 개화정책을 강화하기 위하여 《조선책략》의 복사본을 전국유생에게 배포하였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