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호” 에 대한 검색결과 1,8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7)

사전(316)

  • 만취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민(旻)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38년 아들 경현(敬鉉)과 친족 한승(漢昇)ㆍ한익(漢翼)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寧漢)ㆍ송지헌(宋之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경현과 친족...
  • 우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운(運)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필사본과 목판본 두 종류가 있다. 1872년(고종 9) 손자 진린(鎭麟)‧진기(鎭麒)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가 쓴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
  • 벽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구(龜)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0년 구의 아들인 김협동(金協東)‧김계동(金桂東) 등에 의하여 편집‧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김상욱(金相頊)과 증손인 김황식(金黃埴) 등의 발문이 있다. ...
  • 한송이흰백합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산유화」 등의 작품에 이어 「이별의 노래」와 거의 같은 시기에 작곡되었다. 특히, 그의 가곡작품 중 몇 안되는 자작시의 작품이며, 표기된 작곡가 는 작곡자 자신의 필명이다. 「한송이 흰 백합화」는 『성경』 시편에 나오는 ‘한송이 흰 백합화를 보라’에서 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덕원(德元), 호는 월암(月庵). [내용] 1570년(선조 3)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봉사로 관직생활을 끝내고, 향리에 거주하다 1592년 임...
    이칭별칭 덕원(德元)| 월암(月庵)

단행본(6)

  •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종부의 치산과 가계 경영(근대전환기 국가와 민02)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
    저자 : 김현숙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425
    본 저서는 충남 홍성군 갈산에서 발굴한 여성의 언문일기와 문서들을 활용하여 19세기 중반 양반 여성의 가계경영과 치산, 그리고 지역 사회의 특성을 규명하자 한 연구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 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유교적 가부장 질서의 희생자이자 타자...
  • 조선왕실의 의료문화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
    저자 : 김호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70630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저자 : 김호 ... | 출판사 : 휴머니스트 | 출판일 : 20201130
    정조는 인륜의 교화를 통해 백성의 자발적 질서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며, 공정한 판결을 위해 직접 살옥사건의 판결문을 살폈다. 이 책은 정조의 유교형정론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당대 인간의 권리와 감정, 사회가치와 정의의 문제라는 넓은 시야로 ‘조선의 법치’를 고찰한다....
  • 재중조선인 디아스포라문학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김호웅...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9.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머리말을 대신하여-중국조선족과 디아스포라 제1장 이주~1919년의 문학 제1절 이주초기 수난의 현실과 민족문화계몽운동 제2절 이 시기 문학창작 제3절 양자강기슭의 외로운 선비-창강 김
  • 한국의 과학과 종교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
    저자 : 김호덕, 장석만, 조현범, 이진구, 전철, 민...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90820
    과학과 종교는 서로 무관한 영역으로 생각되어 함께 거론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과학과 종교는 서로를 강렬하게 의식하고 있고,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책은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그 두 영역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역사적 ...

논문(1)

  • 중국 조선족과 디아스포라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김호웅(延邊大學) | 게재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게재일 : 2013.1
    저자는 국내외 주요 학자들이 벌인 '중국 조선족의 디아스포라' 성격과 ‘이중 정체성’에 관한 최근의 논쟁에 비추어 '조-황 논쟁'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중국조선족의 디아스포라적인 성격과 신분, '제3의 영역' 및 '접목의 논리' 등에 관한 깊은 논의를 학계에 내놓고...
    유형논문

고서·고문서(713)

  • 1545_254_116 1545년3월 ○()가 와서 바둑을 두었다 1545년 3월 28일 경인, 맑음. ○()가 와서 바둑을 두었다. ○혼연(渾然)의 집에서 사람을 보내 문안하며 호곡지(糊曲紙)를 달라고 청했는데, 갖고 있는 게 없어서 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99년_농소면(農所面) 1699년 농소면(農所面) 第五水朴里 5 第五統統首日 統第一戶 府案付漆浦分防騎兵府束伍軍日年肆拾陸甲午本金海父牧子末乙得祖通政大夫應白曾祖守門將命外祖 正兵李愛男本慶州妻李召史年參拾伍乙巳本蔚山父通政大夫云興祖定虜衛通政大夫永春曾祖...
    연도_면이름169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五水朴里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01년_농소면(農所面) 1801년 농소면(農所面) 第八水泊里 6 第六統統首得 第一戶 禁米保鰥夫得年伍拾參己巳本金海父通政道沙里祖通政仲伊曾祖通政海南外祖通政金仲 迪本慶州率人女林召史年肆拾伍丁丑率女召史年捌甲寅婢時辰年參拾捌甲申等戊午戶口相准 第二戶 幼學...
    연도_면이름1801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八水泊里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04년_농소면(農所面) 1804년 농소면(農所面) 第二藥水里 4 第四統統首龍 第一戶新 業儒龍年伍拾伍庚午本慶州父光澤祖通政斗黃曾祖通政文傑外祖權士慶 本延日妻鄭姓年肆拾貳癸未本延日父日載祖通政自隱曾祖通政允生外祖金萬秋本金海 婢甘德年伍拾乙亥等辛酉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04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藥水里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웅촌면(熊村面) 176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九大陽里 3 第三統統首丁 第一戶 鰥夫丁年伍拾伍辛卯本金海父通政應上祖通政應宅曾祖通政戒敏外祖通政崔義喆本月城 妻盧召史今故率女召史年拾伍辛未率女召史年伍辛巳率女今故等壬午戶口相准 第二戶 幼學辛孝慶年...
    연도_면이름176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九大陽里

구술자료(17)

  •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선 역사 인물 현대 강원도 철원군 구술자료 - 김화 금북면에서 거주했으며, 6남매
    구술자김호선 | 직업지방행정동우회의 부회장 | 지역강원도
  • 삼봉산의 랑이가 부모에게 봉양한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에 유래하는 전설이 있으면 해 달라고 하니 제보자가 이 이야기를 해 주었다.
    조사일시2011. 1. 20(목)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포상리 포상마을 | 제보자류미자
  • 04_179 충남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시_1.얼카뎅이 2.얼러차 1.얼카뎅이 2.얼러차 호미매기소리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 1구 1986.8.21 素86-8-21①B (메)김환영 (받)동 김환영(1920년생.남.토민), 동(1923년생.
    녹음지역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 1구 | 녹음날짜1986.8.21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04_183 충남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시_먼셍이 먼셍이 문생이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 (한우물) 1993.9.24 문화방송,[한국민요대전] CD 6-11 (메) 동 (받) 김환영 동(1923년생.남.토민) 김환영(1919년생.남.토민) MB
    녹음지역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 (한우물) | 녹음날짜1993.9.24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04_271 충남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_얼카뎅이 얼카뎅이 잦은 얼카 1.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신리 2.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상성리 (윗성미) 1986.3.27 素86-3-27①A 1. 진제현 2. 성 진제현(1932년생.남.토민), 성 (19
    녹음지역1.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신리 2.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상성리 (윗성미) | 녹음날짜1986.3.2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124)

  • 同春堂 宋浚吉家의 여성문학 전통과 문화사적 의의 -연재와 청송심씨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희순, 게재일 : 2013
    53574 문희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13 同春堂 宋浚吉家의 여성문학 전통과 문화사적 의의 -연재와 청송심씨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서평] 중국 중심 세계사에 대한 해독제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동, 사계절, 2016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70095 한국연구재단 역사비평사 2016 [서평] 중국 중심 세계사에 대한 해독제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동, 사계절, 2016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들뢰즈의 영화 미학 : 시간-이미지와 모데르니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호영, 게재일 : 2001
    07737 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학회 2001 들뢰즈의 영화 미학 : 시간-이미지와 모데르니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신상옥의 영화에 나타난 사선(斜線)의 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호영, 게재일 : 2006
    01842 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영화연구소 2006 신상옥의 영화에 나타난 사선(斜線)의 미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이차 프레임(second cadre)의 다양한 의미작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호영, 게재일 : 2006
    01843 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학회 2006 이차 프레임(second cadre)의 다양한 의미작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457)

  • 狼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시죵원고원 류한복이가 본시 무식고로 어람긔 거슈업다야 시죵원경 박용화씨가 류고원을 텬거고 그 집쥬름 김두한으로 챠엿데 김씨도 무식야 고원무는 과연 거슈업는고로 번만 셔난죠만간되나 거가될모양인데 김씨 언으집 수청방에 임이 몃쳔량이오...
    게재일1906년 8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然(然商店) 서울 然商店 南米倉町 14 식료품 - 과일(果物) 소매 51.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好然(金好然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일(果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鎌(-) 부산 鎌 - 草梁町423 - - 해산(海産) - 27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浩鎌(-)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해산(海産)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珍(-) 청진 珍 - 壽町 - - 면포잡화상 - - -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鎬珍(-)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면포잡화상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範(廣龍精米所) 서울 範 廣龍精米所 新孔德町 24 식료품 - 벼 도정(籾摺) 벼 도정 17.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金浩範(廣龍精米所)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벼 도정(籾摺)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4)

  • 조선의 법치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사 저서: 《성호, 세상을 논하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홍대용과 1798년》, 《조선에 온 서양물건들》외 다수 조선의 법치_7주차 조선의 법치_7주차_1차시 1차년도 강좌4 가이드북.pdf Y1L04W07V01_.mp4 Y1L04W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의 법치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사 저서: 《성호, 세상을 논하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홍대용과 1799년》, 《조선에 온 서양물건들》외 다수 조선의 법치_7주차 조선의 법치_7주차_2차시 1차년도 강좌4 가이드북.pdf Y1L04W07V02_.mp4 Y1L04W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의 법치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사 저서: 《성호, 세상을 논하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홍대용과 1800년》, 《조선에 온 서양물건들》외 다수 조선의 법치_7주차 조선의 법치_7주차_3차시 1차년도 강좌4 가이드북.pdf Y1L04W07V03_.mp4 Y1L04W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의 법치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사 저서: 《성호, 세상을 논하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홍대용과 1801년》, 《조선에 온 서양물건들》외 다수 조선의 법치_7주차 조선의 법치_7주차_4차시 1차년도 강좌4 가이드북.pdf Y1L04W07V04_.mp4 Y1L04W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기타자료(229)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989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2年 1927―12―03 298면 식;植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003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3年 1928―10―05 320면 식;植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031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4年 1929―09―30 429면 식;植 조선 1929년 3월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011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51면 선;善 황해 谷山;경성부 체부동 89 재학생 제1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3377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0~1941년 n.r. 167면 우;羽 조선 제7회 1928년 3월 8일
    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15)

  • / [역사/조선시대사]

    1534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1570년(선조 3)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봉사로 관직생활을 끝내고, 향리에 거주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다. 언양에서 진격해온 적의 기병 500명과 맞서 싸워 적을 궤멸시키고 전사하였다. 예

  • 금호도 /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에 있었던 섬. 원래의 섬이름은 쇠섬이었는데 쇠자를 한자로 표기하여 금호도가 되었다. 섬 주변의 간석지를 매립하여 우리 나라 제2의 제철소인 광양제철소의 전진기지가 건설됨으로써 육지화 되었다. 1985년 3월에 매립공사가 끝나 원래의 섬 모습은 찾

  • 금호문의거 / 門義擧 [역사/근대사]

    1926년 4월 28일 송학선이 창덕궁의 금호문 앞에서 조선 총독 사이토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의거. 송학선은 순종의 성복제(成服祭)에 참석하기 위해 자동차를 타고 창덕궁으로 들어가던 일본인 3명 중 국수회 지부장 다카야마을 사이토로 오인하고 비수로 찔러 죽여 현장

  • 계미유고 / 溪湄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병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16년 그의 손자 문진(文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곤(李中錕)·김학진(金鶴鎭)의 서문과 권말에 김영한(金寗漢)·근(根)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 김상석 / 金相奭 [종교·철학/유학]

    1690년(숙종 16)∼1765년(영조41). 조선 후기의 문신.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지평 김홍석이고, 아버지는 이며, 어머니는 윤세익의 딸이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노론이 집권하자 간관이 되어 소론의 이광좌·조태억·이삼·심단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