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좌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
사전(35)
- 김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김좌근 묘 1797(정조 21)-1869(고종 6). 조선 말기의 문신. 경기 이천시 백사면 내촌리에 있는...이칭별칭 경은(景隱)| 하옥(荷屋)| 충익(忠翼)
- 김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8(순조 18)∼1875(고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존(聖存), 호는 사영(思潁). 부사 이중(履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제학 조순(祖淳)이고, 아버지는 판돈녕 영근(泳根)이며, 어머...이칭별칭 성존(聖存)| 사영(思穎)| 문헌(文獻)
- 이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부도감(宗簿都監)을 맡았다. 1857년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60년 판중추부사 김좌근(金左根), 영은부원군 김문근(金汶根) 등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를 비난하다가 대사헌 서대순(徐戴淳)의 상소에 의하여 성밖으로 축출되었고, 다시...이칭별칭세보(世輔)|경평군(慶平君)
- 돈의문괘서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이 상반되며, 왕을 비롯한 몇 사람의 성명을 지적해서 비난한 것으로 그 내용이 매우 흉악하였으며, 글도 아주 서투르게 쓰였던 것으로 전한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정원용(鄭元容), 판중추부사 김흥근(金興根)‧김좌근(金左根), 우의정 조두순(趙斗淳), 영은부...
- 이조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후 노론의 시파로 활약하다가 1805년(순조 5) 김대비(金大妃 : 영조 계비) 계인 김달순(金達淳)과 함께 안동 김씨(安東金氏)의 김좌근(金左根)에 맞서다가 방귀전리(放歸田里 : 유배보다 한 등급 가벼운 형. 벼슬을 삭탈하고 시골로 쫓아냄)당했고, 이듬 해 풀려나...이칭별칭 현지(玄之)| 판교(板橋)
고서·고문서(40)
- 1849년 김좌근(金左根)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이천 고백리 풍천임씨
- 김좌근 회갑의복차 발기(金左根 回甲衣服次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盧隱東山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24권, 숙종 18년 2월 17일 정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숙종 18년 2월 17일 정유(1692) 1692 盧隱東山 熙政堂 외교 ○丙午/次對于熙政堂.領議政金左根啓言"八道歲首及式年...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雲寵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24권, 숙종 18년 2월 17일 정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숙종 18년 2월 17일 정유(1692) 1692 雲寵鎭 熙政堂 외교 ○丙午/次對于熙政堂.領議政金左根啓言"八道歲首及式年薦...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901 B047901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7年 1月 3日_011 ○有政。 吏批, 判書洪敬謨進, 參判金左根式暇, 參議金景善牌不進, 左副承旨吳取善進。 以李淵祥爲大司諫, 金左根爲同春秋, 趙秉瓚爲軍器僉正, 魏鍾善爲典籍, 金鼎集爲寧邊府使, 柳榮河爲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김좌근 / 金左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7∼1869). 순조비 순원왕후의 오라버니로 조정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형조판서·공조판서·호조판서를 거쳐 영의정에 세 번씩이나 보직되어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실록총재관으로《철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
덕잠서원 / 德岑書院 [교육]
그 뒤 김좌근(金左根)이 건물을 증축, 보수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
공거문회 / 公車文會 [역사/조선시대사]
정원용(鄭元容)·조인영(趙寅永)·김좌근(金左根), 좌의정 김도희(金道喜)·이헌구(李憲球), 우의정 박회수(朴晦壽) 등 총 95편이다. 제2책 후반부와 제3책 전반부는 중추부로 판부사 박회수, 영부사 조인영, 판부사 권돈인(權敦仁), 지사 김흥근(金興根)에서 행지사 김병
-
박옹집 / 泊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김좌근·정원용·조두순·윤정현·김병학·남병철 등 고관·명사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만용의 발문이
-
박옹시초 / 泊翁詩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李明五)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晩用)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洪就榮)·김좌근(金左根)·정원용(鄭元容)·조두순(趙斗淳)·윤정현(尹定鉉)·김병학(金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