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약로” 에 대한 검색결과 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4(숙종 20)∼1753(영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이민(而敏, 而民), 호는 만휴당(晩休堂). 할아버지는 징(澄)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유(?)이며, 어머니는 송박(宋搏)의 딸이다. ...
    이칭별칭 이민(而敏), 이민(而民)| 만휴당(晩休堂)| 충정(忠正)
  • 동국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李秉常)ㆍ신여철(申汝哲)ㆍ박문수(朴文秀)ㆍ허생(許生) 등에 관한 것이 22편, 권2에 이여송(李如松)ㆍ김천일(金千鎰)ㆍ이광정(李光庭)ㆍ이완(李浣)ㆍ() 등에 관한 것이 16편, 권3은 ‘파수록(破睡錄)’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으며, 안협민가(安峽民家)ㆍ이평량...
  • 이수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의로 없어진 사건은, 이를 빌미로 변란과 개편을 획책한 것이라 하였다. 이 일로 강진현(康津縣)에 유배되었다. 정언을 거쳐 1734년(영조 10)에 지평이 되어 판증추부사 서명균(徐命均)을 탄핵하다가 변방으로 쫓겨 경성판관(鏡城判官)이 되었는데, 헌납 ()...
    이칭별칭 일여(一如)
  • 홍경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시 상소하였다. 박문수(朴文秀)에 의해 품행이 추장(推奬 : 뛰어난 점을 말하고 추천함.)되었고, 승지로서 사대부들의 방납(防納) 폐해를 숙종에게 아뢰었다. 1734년 정월 ()에 의해 배척을 받았다. 그 해 7월에는 동지부사(冬至副使)가 되어 11...
    이칭별칭 대이(大而)| 창애(蒼厓)| 충헌(忠獻)
  • 속대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부터 이 법전의 편찬이 시작되었다. 1744년 따로 찬집청(纂輯廳)을 설치하고 당상(堂上)‧낭청(郎廳)을 임명해 박차를 가하였다. 형조판서 서종옥(徐宗玉), 호조판서 (), 예조판서 이종성(李宗城), 부사직(副司直) 이일제(李日躋)‧김상성(金尙星...

고서·고문서(62)

  • 39047 B039047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英祖實錄 二十七年(1751) 正月 영조실록_12701017_002 ○以高嶺、惠山、阿耳、多大浦作邊地窠, 永爲定式, 從左議政請也。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695 B035695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年 1月 22日_011 ○又以義禁府言啓曰, 慶尙道南海縣絶島定配罪人尹得徵, 尙州牧遠竄罪人, 全羅道金堤郡遠竄罪人李聖海等, 放送事, 分付各道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503 B01050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1年 6月 3日_022 軍制之差錯, 狀報紛然, 其中或有不得不釐改, 如南漢事者。 而臣則自初不知裏面事, 今又專昧頭緖。 前戶判身死之後, 又無屬托處, 釐改與否, 將無以擧行。 兵判, 大司成李益炡, 曾經該廳堂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964 B07396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9年 6月 4日_026 ○六月初四日初更, 上御熙政堂, 召對入侍, 參贊官李龜休, 侍讀官趙明謙·, 假注書李聖檍, 記事官崔衡輔, 記注官金五應入侍。 趙明謙讀自答黃直卿書, 至日暮途遠。 上曰, 下番讀之。 讀...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禁衛兩倉先爲移建, 環城作城廊。 至是又作守都節目, 五部之民, 除搢紳士族, 幷令分屬五衛將, 與弟尙魯同議撰定以進, 命置備局, 幷以節目從事。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53). 할아버지는 김징, 아버지는 대제학 김유, 어머니는 송박의 딸이다.《숙종실록》 보충의 잘못을 논하다가 유배당하였으나 이듬해에 석방되었다. 1744년 공조·호조·병조의 판서가 되었고, 1746년 우참찬, 이듬해 판의금부사를 거쳐 1

  • 김상로 / 金尙魯 [종교·철학/유학]

    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공조정랑 김극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라도관찰사 김징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김유이며, 어머니는 송박의 딸이다. 좌의정을 지낸 의 아우이다. 1744년 승지로서 무과에 폐단이 많음을 지적하고 엄격하게 시행할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