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수흥” 에 대한 검색결과 1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5)

사전(6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肅宗實錄)』 『도암집(陶庵集)』 『퇴우당집(退憂堂集)』 『현종실록(顯宗實錄)』 필적 ...
    이칭별칭 기지(起之)| 퇴우당(退憂堂), 동곽산인(東郭散人)| 문익(文翼)
  • 퇴우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활자본. 사위 이희조(李喜朝)가 편집하고, 1710년(숙종 36) 아들 창열(昌說)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희조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 신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相臣 : 영의정ㆍ우의정ㆍ좌의정의 총칭) ()의 천거로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뒤에 김천도찰방(金泉道察訪)으로 나아갔다. 그 뒤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ㆍ공조좌랑을 거쳐 통진현감으로 나아가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비를 세웠고, 이...
    이칭별칭 공미(公美)
  • 민광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呂聖齊)와 함께 임금의 부름에 병으로 응하지 못하였음을 이유로 사퇴하고자 하였는데, 이때 장령(掌令) 성후설(成後卨)의 상소로 관직이 교체되었다. 같은 해 5월『효종실록』편찬을 위하여 실록청이 개설되었을 때 ()‧김만기(金萬基) 등과 더...
    이칭별칭 경명(景明)
  • 손만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든 일을 순서있게 처리하자 당상관들이 그 재주를 칭찬하고 일마다 그와 의논하여 행하였다. 1675년(숙종 1) 병조좌랑에서 영광군수로 내려가 선정을 베풀었다. 정언ㆍ호조정랑ㆍ춘추관기사관을 거쳐 지평으로 있을 때 ()을 서용하려고 하자 자...
    이칭별칭 적만(敵萬)| 야촌(野村)

고서·고문서(126)

  • 32523 B032523 인물 江都志 _ _ 牧場 ... 鎭江馬, 多有才駿, 還設欲觀成效, 而近來, 馬種漸不如前, 卽今所牧無非駑駘, 且堡障形勢, 異於他處, 許令革罷, 實合於貴人賤畜之意. 癸亥年, 趙師錫, 狀啓陳請, 領議政, 金壽恒曰, 故相臣, 李琬, 次...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524 B032524 인물 耽羅志 旌義縣 建置沿革 山川 ... ]洪爐川(在縣西七十五里 末流爲西歸浦) 藻淵(在三梅陽岳 多蘋藻故名 又有蟹 後鑿東邊減其水而作水田) 正方淵(在縣西六十八里 有瀑布引上流多漑田 ○詩 雷動飛泉海作淵 怳然光景浩無邊 更看壁上靑蓮...
    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청양면(靑良面) 1864년 청양면(靑良面) 第三竹田里 3 第三統統首 第一戶 幼學年肆拾柒戊寅本김海父學生光漢祖學生九鼎曾祖學生善 鳴外祖學生李舜成本蔚山妻吳氏年肆拾壹甲申本海州父學生宅彦祖學生 翰運曾祖學生元國外祖學生朴春成本密陽子成大年貳...
    연도_면이름1864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竹田里
  • 1655년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京畿道庄土文績_제26책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117.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1602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26책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26-117 117. 소지 1 116-126 23.2x25.2 한지, 관인, 한성부 관리의 압과 뎨김 1장, 23.2x25...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원산 - 銘石洞 - - 정미업, 쌀, 콩, 잡곡상 판매 9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洙興(-)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쌀, 콩, 잡곡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26(인조 4)∼1690(숙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생부는 동지중추부사 김광찬, 양부는 동부승지 김광혁, 양모는 김존경의 딸이다. 영의정 김수항의 형이다. 1655년(효종 6)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문과중시에 역시 병과로 급제한 뒤 부교리

  • 최방언 / 崔邦彦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 12)∼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세영, 송시열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민정중· 등의 천거를 받아 현릉참봉이 되었다. 서인이 집권하면서 1701년 광릉참봉으로 다시 기용되고, 세자익위사의 시직·부수, 상의원첨정 등을 역임하고,

  • 이양신 / 李亮臣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정구 현손, 아버지는 희조, 어머니는 의 딸이다. 1721년(경종 1)에 내시교관, 1726년(영조 2)에 한성부주부, 사복시주부와 공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72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