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도” 에 대한 검색결과 2,7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08)

사전(5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17(충숙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02년(충렬왕 28) 사관의 수찬관을 거쳐 지내지(知內旨)가 되고, 이듬해 밀직우승지(密直右承旨)에 올랐다. 1305년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79(우왕 5).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자는 장원(長源). 연안부(延安府) 출신. [내용] 1370년(공민왕 19) 8월 박실(朴實)ㆍ유백유(柳伯濡) 등과 함께 향공으로 뽑혀 정조사(正朝使) 권균(權鈞)을 따라...
    이칭별칭 장원(長源)
  • TD_L14_D_2555 인물 裹屍以簟, 門生, 抱屍, 洗血 崔瑩, 李琮 麗史 D_12_07_28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2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725 인물 御書八字, 制科, 親老, 東還, 手書, 長源蘿葍山人 元朝 恭愍王 牧隱贊 D_13_04_147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4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941 인물 再拜去, 臨刑, 獄官, 殺一無辜, 反受其殃, 門生, 護屍, 抱屍洗血, 解衣衣 楊伯淵, 崔瑩, 李悰 麗史 D_13_06_11 대동운부군옥 13권 6장 1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6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

  • 상산 연 평전 [대한민국정부 초대 내각의 각료 평전 | 한성대학교]
    저자 : 김형목 ... | 출판사 : 도서출판선인 | 출판일 : 20211215
    이 책은 일제강점기 2·8독립운동과 조선어학회 활동 등을 하였으며 해방 후 대한민국정부 초대 내각의 재무부 장관을 지낸 상산 김도연 평전이다. 책의 구성은 제1부 「일제강점기 경제학을 공부하며 민족운동에 참여하다」와 제2부 「대한민국 수립과 민주화운동에 나서다」로 이루...
  • 권승렬 평전 [일제강점기 항일변호사 평전 | 강릉원주대학교]
    저자 : 김도형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20130
    권승렬은 역사적 성향을 뚜렷하게 규정지을 수 있는 특징이 명확하지 않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항일 변호사로 독립운동가들을 위해서 항일 변론을 하였지만, 그의 활동이 전적으로 민족운동이라고 규정될 수는 없다. 그는 해방 이후에 김병로 등 우파 민족주의자들과 함께 한국민주당...
  • 저자 : 김도형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31027
    대다수 선진국에서 공적 연금은 지출 비중이 가장 큰 단일 정부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이다. 그뿐만 아니라, 다수의 공적 연금 조항들은 사람들의 노동 공급, 저축과 같은 핵심적 경제적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적 연금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는...
  •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 [한국현대사와 군 | 서울대학교]
    저자 : 정용욱, 노영기, 오제연, 김보영, 이동원, 김도민, 김수향, 류기현, 박수현,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01224

고서·고문서(1,186)

  • 장(章)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행(行)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명 판결문(明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0093-0015 1920년 刑控 제663호 국가기록원 경성복심법원 明 判決文 명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20.12.02. 판사 아라이(新井胖), 미야모토(宮本元), 스기우라(杉浦武雄) 공갈 명(39세, 농업) 강원도 김화군 기오면 학방리 6쪽...
    제목김도명 판결문(金道明 判決文) | 사건유형공갈 | 소장처국가기록원
  • 9 第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53년_범서면(凡西面) 1753년 범서면(凡西面) 第三沙良里 9 第九統統首行 @5 第九統一戶 武學兼府軍官沙里不喩道行年貳拾玖己巳本慶州父訓鍊院判官太衡祖 訓鍊院判官尙豪曾祖僉正梅還外祖忠順衛朴海日本密城妻趙召史年貳拾六丙午 本咸安父業武致雲祖業武順巾曾祖...
    연도_면이름1753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三沙良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청양면(靑良面) 1792년 청양면(靑良面) 第十五昔南里 1 第一統統首甲 第一戶 幼學甲年肆拾玖甲子本高靈父學生壕生父學生光國祖學生尙元曾祖學生瑞壁外祖學 生鄭元僑本延日妻李氏年伍拾肆己未籍蔚山父學生商雨祖學生源曾祖學生世楨外祖學生陳日 龍本神光率故婢...
    연도_면이름1792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五昔南里

구술자료(46)

  •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원 역사 인물 현대 경기도 개풍군 구술자료 - 1953년 개풍군 광덕면 간동에서
    구술자김도원 | 직업자전거포 | 지역경기도
  • 령과 막동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태균씨를 여러 번 연락해도 조사 장소에 나오지 않는다면서, 이태균씨의 비협조적인 처사를 성토하고 난 다음, 이 이야기를 해 주었다.*
    조사일시1980-12-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 제보자이민호
  • 령과 이도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이복순
  • 령과 이낭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8-21 | 조사장소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 제보자이두상
  • 깨비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씨 성과 도깨비가 무슨 관계를 갖는가에 대해 묻자 생각해 낸 얘기다. 도"<page id="783"/>깨비 재주에 대한 얘기는 여러 곳에서 채록할 수 있었으나 이런 이야기는 많지 않은 편이었다. 유래의 신빙성 여부에 대한 관심보다도 설화자의 한 소재의식을 보여주고...
    조사일시1980-08-04 | 조사장소충청남도 대덕군 산내면 | 제보자전지종

기초학문(55)

  • 10~12세기 고려와 遼ㆍ자의 교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남원, 게재일 : 2009
    24899 장남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9 10~12세기 고려와 遼ㆍ자의 교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북학파의 ‘민’에 대한 인식(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도환, 게재일 : 2004
    01515 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4 북학파의 ‘민’에 대한 인식(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7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클라우드 컴퓨팅과 민사상 증거보전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도훈, 게재일 : 2013
    10586 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클라우드 컴퓨팅과 민사상 증거보전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근ㆍ현대 한국 신종교 주문(呪文)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도공, 게재일 : 2012
    43196 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신종교학회 2012 근ㆍ현대 한국 신종교 주문(呪文)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기업 인수합병의 사기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도성, 게재일 : 2012
    39422 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회계학회 2012 기업 인수합병의 사기업효과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603)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 상항근쳐에가잇던 박션겸이란쟈 그근쳐 텰도부셜셔 우리 한국동포의 로동야 벌이돈 미국돈으로 만여원을 도젹야가지고 도망지라 동포의 원셩이 대단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포와에가잇 한인일명이 신고얏데 그 져츅금이 일십여원이라 일본외무셩을 경유야 통감부로 도지라 졍부로 죠회야 그친쳑을 차져쥬게라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植(植) 서울 植 公平町 107 복장품 - 조선의류 소매 55.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道植(金道植)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조선의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走의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문밧게 리용식이라 사 화학뎍으로 황금졔죠 법을 학습고로 엇던 사에게 본금 팔쳔량을 엇어 나진금을 셔상품 으로졔죠 야가지고 젼쥬 모로게 도망다가 슌검에게 피착야 경무쳥에 압슈얏 쟉일에 그젼쥬를 불너다가 질심문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六(-) 원산 六 - 榮町 - - 수육류,우유 판매 32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道六(-)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수육류,우유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21)

  • 故 해공 선생 국민장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56년 5월 5일 서거한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후보의 장례식 모습을 담은 영상이다. 신익희의 장례식은 5월 23일 서울운동장에서 거행되었는데 연, 함태영, 곽상훈 등 다수의 정치인과 국민들이 참석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6년 5월 5일 | 제작공보처
  • 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이정은 교수 - 서울대학교 종교학 박사 -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강사 - 육군종합행정학교 군종장교 대상 교육 강사 박성혜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강사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이정은 교수 - 서울대학교 종교학 박사 -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강사 - 육군종합행정학교 군종장교 대상 교육 강사 박성혜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강사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이정은 교수 - 서울대학교 종교학 박사 -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강사 - 육군종합행정학교 군종장교 대상 교육 강사 박성혜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강사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이정은 교수 - 서울대학교 종교학 박사 -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강사 - 육군종합행정학교 군종장교 대상 교육 강사 박성혜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강사
    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기타자료(178)

  • 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13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2면 민;民 제14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13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2면 정;珽 제14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301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3면 식;植 京城 倭城금융조합 제1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3956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교우회지 제6호 1937―02―28 0 순;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109 일본 弘前 弘前高等學校 弘前高等學校一覽 1934년 4월~1935년 3월 1934―10―15 148면 명;明 조선
    학교소재지역弘前 | 학교명弘前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72)

  • / [종교·철학/유학]

    ?∼1379(우왕 5). 고려 후기의 문신. 1370년(공민왕 19) 8월 박실·유백유 등과 함께 향공으로 뽑혀 정조사 권균을 따라 명나라에 갔다. 이듬해 급제해 동창부 구현의 승에 임명되었다. 1379년 그의 가노가 연경궁 옛터의 돌을 훔친 일로 이인임의 탄핵을 받아

  • 곤 / [역사/근대사]

    1890-194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가옥(金可玉)이다. 본적은 경상북도 청도(淸道)이다. 1919년 5월 7일 경상북도 에서 일본인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당한 이종현을 보고 군중 300여 명을 모아 일본인 3명을 구타하는 등의 항일 운동을 전개

  • 규 / [역사/근대사]

    1885(고종 22)-1967.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김해. 자는 인언(仁彦). 전라남도 보성 출신. 아버지는 형국(炯國)이다. 젊었을 때 병서를 즐겨 읽고 진을 치는 법을 익혔다. 1908년 2월 안규홍(安圭洪)이 보성 동소산(桐巢山)에서 의거하자, 그 의병진에

  • 명 / [종교·철학/유학]

    1803년(순조3)∼1873년(고종10년).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김성로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김한운의 딸이다. 처음에 유심춘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뒤에 유태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석학 이한응·이휘녕·유치명 등과 교유하였다. 권엽의 유문을 편집, 간

  • 산 / [예술·체육/연극]

    이카이극단(瀨戶內海劇團)의 〈선장의 처〉를 보고 시도한 것이다. 산은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감독이라 할 수 있으며, 그는 이후에도 몇 편의 연쇄극과 기록영화를 만든 뒤 31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일설에 의하면 1922년 초겨울 〈국경〉이라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