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39)
사전(1,051)
- 설악당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구(金球)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25년 후손 석교(奭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형모(金瀅模)의 서문, 권말에 김정식(金庭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데, 『고서목록』에
- 자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김구(金絿)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659년(효종 10) 외현손 안응창(安應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권말에 안응창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 김용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2(고종 29)∼1934. 독립운동가. [내용] 충청남도 대덕(지금의?대전광역시) 출생. 일명 김중옥(金仲玉). 호는 강산(剛山). 1919년 3‧1운동 때 향리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상해로 망명하여 김구(金九) 아래에서 대한...이칭별칭 강산(剛山)|김중옥(金仲玉)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11(희종 7)∼1278(충렬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부령(扶寧 : 지금의 전라북도 부안). 초명은 백일(百鎰), 자는 차산(次山), 호는 지포(止浦). 성품이 성실하여 말이 적었으나 국사를 논함에는 강직하여 어려...이칭별칭 차산(次山)| 지포(止浦)| 문정(文貞)
- 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83(우왕 9)∼1462(세조 8).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직지(直之), 호는 귀산(歸山). 윤상(尹祥)의 문인이다. [내용] 1416년(태종 16) 친시 문과에 을과로 급...이칭별칭 직지(直之)| 귀산(歸山)| 문장(文長)
단행본(1)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15, 경상북도 양산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경신, 김구한, 김옥숙, 정아용...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4.10.28.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 덕계동 2. 매곡동 3. 명동 4. 상북면 5. 용당동 6. 원동면 7. 주진동 8. 평산동
고서·고문서(1,720)
- 김구(金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396 B032396 김구 金坵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名宦 ... 暴以叛曰若得陟卿爲令當釋兵王曰有賢如此何不用之召賜綾絹卽除耽羅令耽羅人聞其來卽具輕舟迎之比入境皆授戈羅拜曰公來吾屬生矣安堵如故) 趙冬曦(毅宗十二年持節宣諭爲安撫使) 金坵(爲州判官考滿入拜直翰林院) 慶世...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구(金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397 B032397 김구 金坵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名宦 ... 暴以叛曰若得陟卿爲令當釋兵王曰有賢如此何不用之召賜綾絹卽除耽羅令耽羅人聞其來卽具輕丹迎之比入境皆投戈羅拜曰公來吾屬生矣安堵如故) 趙冬曦(毅宗十二年持節宣諭爲安撫使) 金坵(爲州判官考滿入拜直翰林院) 慶世封(以淸...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구(金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398 B032398 김구 金坵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風俗 ... 燥墾田必驅牛馬以踏之連耕二三年則穀穗無實不得已又墾新田功倍獲少所以民多困窮) 俗獠地遠(鄭以吾送朴德恭之任序 俗獠而地且遠 加以星主王子及夫土豪之强者 爭占平民爲役使謂之 又䘵殘民以逞稱難治也) 聚石築垣(東文鑑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金溝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一 全羅道 金溝縣 56 令一人本百濟 仇知只山縣新羅改金溝縣爲全州領縣高麗 毅宗二十四年庚寅以李義方外鄕陞爲縣令別號鳳山古屬縣一巨野本百濟 也西伊縣新羅改野西縣爲太山領縣高麗改巨野 爲全州任內後來屬鄕一從政所一櫟陽部曲一大栗鎭山鳳頭【在縣東】四境東北距全州東六里北十...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김구상묘(金龜祥墓)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401 B032401 김구상묘 金龜祥墓 사회교육 京畿道邑誌 喬洞郡邑誌 喬洞郡 塚墓 ... 010406]乭串里鹽川洞]. 習讀官金俔墓[在華蓋山北牛洞]. 大司諫金鸞祥墓[在大牛洞]. 英陵參奉金鳳祥墓[在大牛洞 俔之子鸞祥之兄]. 慶山縣令金龜祥墓[在大牛洞 鳳祥仲弟]. 軍威縣監...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92)
- 충청남도 청양군_논매기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23 충남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_논매기소리 논매기소리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대흥리 1988.3.29 素88-3-29①B 김구만 김구만(1913년 대흥리 출생.남.50여세에 장평면 미당리 이주) 이소라 이소라 위여 류 멕받형식(선후창) (*참고용녹음지역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대흥리 | 녹음날짜1988.3.2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전라북도 고창군_들머리 삼장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이라 하여 세가지 메김구만 소리함은 함평군의 삼장소리 류인 무삼삼장이나 무삼베끼는소리를 연상시킨다. 상기 메김구 예 1, 2는 양 지역이 같다. 메김구 예 3은 함평군의 “동강에-이 설중매 다리고 완월장취 노다가세”가 참고된다.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두어리 | 녹음날짜1988.4.19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충청남도 공주시_얼카뎅이야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주_(악보 1511(2)) 얼카뎅이야.jpg 공주_(악보 1511(2)) 얼카뎅이야.mp3 메김구에 논자리를 ‘팔적에는’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호미로 아시맬 때 부름이 제격이다. 메김구를 연달아 불렀으나, 6/8박을 예상하여 마디를 임의로 넣었다.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봉안리 | 녹음날짜1989.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밀양시_우이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멕받형(선후창) 우이, 우이, 우이 간다 가네 - 헤에, 에 - 에, 나는 - , 가안다 - 도레미솔라(도`) 미 미라 비고정 장단 곡. ♪ = 150 (밀양 12) 우이 소리.jpg (밀양 12) 우이 소리.mp3 받음구에 비해 메김구가녹음지역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서부동 마을 | 녹음날짜2004.11.2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전라북도 부안군_초벌지심노래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126 전북 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부안군_초벌지심노래 초벌지심노래 1. 느린 어기야 뒤허 소리 2. 초벌지심 맺는 소리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1988.2.21 素88-2-21B 김구철 김구철(192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 부안 초벌지녹음지역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 녹음날짜1988.2.21 | 가창방식1, 2. 멕받형 (선후창)
기초학문(19)
- 척약재 김구용의 생애와 교유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인국, 게재일 : 201452056 남인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학회 2014 척약재 김구용의 생애와 교유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止浦 金坵의 외교활동과 대몽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용혁, 게재일 : 201257809 윤용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전북사학회 2012 止浦 金坵의 외교활동과 대몽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미국 자료를 통해본 백범 김구 암살의 배경과 미국의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병준, 게재일 : 200622145 정병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연구회 2006 미국 자료를 통해본 백범 김구 암살의 배경과 미국의 평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김구용 시에 나타난 근대 공간성 연구 ─ 시집 『시(詩)』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선영, 게재일 : 201342716 박선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김구용 시에 나타난 근대 공간성 연구 ─ 시집 『시(詩)』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사회자본과 지식관리 활동 및 조직성과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구, 게재일 : 201243054 김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행정연구원 2012 사회자본과 지식관리 활동 및 조직성과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984)
- 加請金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운산 미국금광쥬인에 허가엇은이 쟝이 륙십리 광이 십리에 년 궁부셰납이 이십만원은 셰샹이다 아는바어니와 근일에 그 미국사이 궁부에 쳥구기를 그 륙십리 십리 뎡계밧게 한곳을더 허가야쥬면 년 삼십만원을더야 오십만원식 밧치다고 다더라게재일1903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金九先生과 그 待遇策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653 1948 3 16 1 1 安在鴻 안재홍 金九先生과 그 待遇策 문서류 미상 공함 정치 직접자료 7권 金九, 張德秀, 總選擧 D19480316미상01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金九幸七(金九幸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九幸七(金九幸七) 서울 金九幸七 金九幸七 大和町 3-30 청부업 - 토목 청부 6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九幸七(金九幸七)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토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酬勞金拒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예모법장 의 쇼쳔말오랑씨가 본년일월부터 륙월지 외관리를 진찰의 공효가 파다다야 농상공부에셔 탁지부에 죠회고 그 슈로금 오십환을 지츌라얏 탁지부에셔 당쵸 그 의고빙 에 통지가 업셔다고 거졀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金龜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龜鉉(-) 해주 金龜鉉 - 海州面 南本町 - - 물품판매업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龜鉉(-)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물품판매업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멀티미디어(102)
-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金玉均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58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金玉均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59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金玉均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60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金玉均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61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金玉均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62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기타자료(470)
- 김구;金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72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109면 2. 제14. 재학생;6) 상과 제1학년 56명 김구;金構 (원적)경기 開城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구주;金球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02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김구주;金球周 제12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구현;金九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143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3면 김구현;金九鉉 함북 제8회 191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구현;金九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74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5면 김구현;金九鉉 함북 본과제8회 191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구현;金九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369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8면 김구현;金九鉉 함북 제8회 191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4)
-
역주조선왕조실록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최진옥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7 | 국내 | 경기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원창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원창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0 | 국내 | 경기
-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8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96)
-
김구 / 金絿 [종교·철학/유학]
1488(성종 1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서예가. 의몽 증손, 할아버지는 사예, 아버지는 대흥현감 계문, 어머니는 이겸인의 딸이다. 이조좌랑, 정랑, 사간, 홍문관직제학, 동부승지, 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자암집≫, 유품으로는 ≪자암
-
김구 / 金九 [역사/근대사]
1876-194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 1919년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 초대 경무국장이 되었다. 1939년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하였고, 이듬해 광복군을 조직하여 군사훈련을 지휘하였다. 1945년 11월 환국하여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펼쳤다. 1948년 남한의
-
김구 / 金構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김인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극형, 아버지는 관찰사 김징, 어머니는 참봉 이의길의 딸이다. 1682년(숙종 8) 춘당대 문과에 장원해, 전적과 각 조의 낭관을 거쳤다. 형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였다.『육
-
금구 / 金溝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구지지산(仇知只山)이었는데, 663년 당나라 치하에서 당산(唐山)으로 개칭, 노산주(魯山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757년(경덕왕 16) 금구로 개칭, 전주도독부(全州都督府) 관내 전주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시대에도
-
김구영 / 金龜永 [역사/근대사]
駬山廟)를 창건하였는데 김구영도 이 공사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그 해 4월 6일 마령면(馬靈面) 평지리(平地里) 마을 뒷산에서 전영상(全永祥), 오기열(吳基烈) 등과 함께 주민들을 모아 만세운동을 하였다. 이때 전영상이 왜병에게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