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광진” 에 대한 검색결과 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7∼1997. 군인. 평양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만경대혁명자유자녀학원(지금의 만경대혁명학원) 출신으로 혁명1세대의 마지막 주자이자, 혁명1.5세대의 맏형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포병지휘관으로 인민군을 지휘, 서울 진입은 물론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2∼1986. 북한의 경제학자‧정치가. [개설] 평안남도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일본에 유학하여 동경상과대학을 졸업하였다. 백남운(白南雲)의 동경대학 후배이며, 그의 처는 유명한 연예인 왕수복이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95(연산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자임(子任). 필양(匹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臺)이고, 아버지는 세훈(世勳)이며, 어머니는 권송(權悚)의 딸이다. 형이 동지중추부사 광철(光轍)이다...
    이칭별칭 자임(子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5(인조 3)∼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진옥(晉玉). 길주(吉州) 출신. 아버지는 호겸(好謙)이며, 어머니는 여계선(呂繼先)의 딸이다. [내용] 1654...
    이칭별칭 진옥(晋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9∼1964. 독립운동가. [개설] 가명 광해(廣海). 평안북도 의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3‧1운동 때 의주군 광평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한 뒤 의주 경찰의 눈을 피하여 오동진(吳東...

고서·고문서(35)

  • 10 第十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六路下里 10 第十統統首 第一戶 幼學年參拾玖壬戌本김海父幼學宗德祖學生夢麟曾祖學生八興外祖 學生朴之康本密陽妻朴氏年參拾貳己巳本密陽父幼學慶新祖學生泰顯曾祖 學生莊伯外祖學生김順弼本김海奴鬱...
    연도_면이름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六路下里
  • 19 第十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34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八路下里 19 第十九統統首 第一戶 幼學年參拾參壬戌本김海父幼學宗德祖學生夢麟曾祖學生八興外祖學 生朴之康本密陽妻朴氏年貳拾陸己巳本密陽父幼學慶新祖學生泰顯曾祖學生莊伯 外祖學生김順弼本...
    연도_면이름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八路下里
  • 88년 초 경남 거제도, 간첩선 격침 ’97.8.2거제도 갈곶리 침투 간첩 최정남 진술결과 ’88년 초 남한의 불상지역으로 김명옥(66세), (36세) 등 모자 간첩이 침투하여 1년간 활동후 별 성과없이’88년 말경 복귀하여 김명옥은 공화국 영웅칭호를 받은 사실 확인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88년 초 경남 거제도, 간첩선 격침 ’97.8.2거제도 갈곶리 침투 간첩 최정남 진술결과 ’88년 초 남한의 불상지역으로 김명옥(66세), (36세) 등 모자 간...
    대표표제어88년 초 경남 거제도, 간첩선 격침 ’97.8.2거제도 갈곶리 침투 간첩 최정남 진술결과 ’88년 초 남한의 불상지역으로 김명옥(66세), 김광진(36세) 등 모자 간첩이 침투하여 1년간 활동후 별 성과없이’88년 말경 복귀하여 김명옥은 공화국 영웅칭호를 받은 사실 확인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선, 간첩, 침투, 격침
  • 간첩 5명 침투(사후인지) 93.9.4 아 5사단 지역으로 귀순한 간첩 안명진의 진술결과 93. 2월 사리원연락소 3방향 1조장 (35세), 조원 김상호(29세), 안내원 3명이 해주연락소 안내원들의 안내를 받아 해상 침투로 확인차 침투하였던 사실 확인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간첩 5명 침투(사후인지) 93.9.4 아 5사단 지역으로 귀순한 간첩 안명진의 진술결과 93. 2월 사리원연락소 3방향 1조장 (35세), 조원 김상호(29세),...
    대표표제어간첩 5명 침투(사후인지) 93.9.4 아 5사단 지역으로 귀순한 간첩 안명진의 진술결과 93. 2월 사리원연락소 3방향 1조장 김광진(35세), 조원 김상호(29세), 안내원 3명이 해주연락소 안내원들의 안내를 받아 해상 침투로 확인차 침투하였던 사실 확인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2_111138 18780_0673 奎18780 英親王宮(1900) 전라도 여수군 西部 전라도 여수군 西部 37 0 37결 0두락 () ()
    자료번호18780_0673 [奎1878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1)

  • Accurate relative position indicator for tracking-based position estimation system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광진, 게재일 : 2014
    5184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IEICE-INST ELECTRONICS INFORMATION COMMUNICATIONS ENG 2014 Accurate relative position indicator for tr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7)

  • 사선에 선 농촌과 그 대책(특집)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6) 경기부양 및 경제공황 문제 사선에 선 농촌과 그 대책(특집)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32년 8월 1일 함상훈, 외 동광 제36호 기사/사설 13 이 기사에서 함상훈은 몰락하고 있는 농촌의 현실을 보여준 뒤, 그 원...
    대표표제어사선에 선 농촌과 그 대책(특집)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함상훈, 김광진 외 | 출처동광 제36호 | 키워드농업문제, 토지소유 양극화, 경기부양 및 경제공황, 자본주의, 농가부담 경감
  • 김일성, 허정, 최용건, 오기섭, 조만식, 조선민주청년동맹, 조선공산당, 중국공산당 조선민주청년동맹에서는 12월 22일부터 1주간 다음과 같이 강좌를 열었다. ▲22일 민족통일전선과 조선 건국 김일성 ▲23일 중국공산당의 신민주주의와 중화민족 무정...
    대표표제어정로_1945_1226_02
  • 7 강길모 함흥시 함남로동신문사 김두봉, 김달현, 리승엽, 김원경, 신종섭, 리금순, 김일성, , 박헌영, 홍명희, 김책, 홍님표, 홍기주 남조선로동당, 김일성대학 【평양 14일발 조선중앙통신】 쓰딸린 대원수 탄생 70주년을 경축하기...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1 | 책임주필강길모
  • 치자!』 『8시간 노동제다 그렇다 지금은 그 이상 시간의 노동도 하고 건국에 힘쓰자!』는 구호 밑에서 회는 진행되었다. 도공상부장 (道 工商部長 )씨의 개회사가 있은 다음 도 인민위원장(洪基疇)씨와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을 대표하여 김용범(金溶範) 동지 등의...
    대표표제어정로_1946_0309_02
  • 1947년 11월 24일 355 한성(韓星) 강원도 원산시 중앙리 40 강원노동신문사 조선법전초안작성위원회 위원 평양, 함북 명천군 김달현, 김책, 최용달, 최창익, 오기섭, 장시우, 박일우, 윤공흠, 손순금, , 우승운,...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124_02 | 날짜1947년 11월 24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기타자료(2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738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73면 9. 졸업생;32) 1928년 특과 졸업생 (18명) ;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719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7 91면 36. 생도 씨명;2) 특과 제4학년 ;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570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0 171면 46. 졸업생;32) 1928년 특과 졸업생 (18명) ;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32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87면 31. 생도 씨명;6) 특과 제2학년 ;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54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73면 46. 졸업생;32) 1928년 특과 졸업생 (18명) ;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역사/근대사]

    1889(고종 26)∼1964년. 독립운동가. 가명 광해(廣海). 평안북도 의주 출신. 3·1운동 때 의주군 광평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한 뒤 조선총독부 경찰의 눈을 피하여 오동진(吳東振) 등과 남만주로 망명하여 청년단조직에 헌신하였다. 1920년 9월 18일에 미국

  • 김시구 / 金蓍耉 [종교·철학/유학]

    1724(경종 4)∼1795(정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김정모이고, 아버지는 장령 김광운이며, 어머니는 채경전의 딸이다. 에게 입양되었다. 성리학에 능했다. 1754년(영조 30)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검열이 되었다가 찰방으로 쫓겨났다.

  •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 Marx主義歷史學 [교육]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항하여 마르크스의 사적유물론에 입각, 한국사를 연구한 역사연구의 총칭. 1920년대 후반 이후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지평을 크게 확장시켰다. 대표적 학자는 백남운, 이청원, , 이북만 등이며,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을 우리나라 근대사학의 한

  • 최천호 / 崔天浩 [역사/근대사]

    1900-1989. 독립운동가. 이명은 만년(萬年).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이어 중국 봉천성(奉天省) 관전현(寬甸縣)으로 건너가 이용규(李龍奎)·김관봉(金寬鳳)·() 등의 권유로 오동진(吳東振)을 단장으로 하는 광제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