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언정”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국진(國鎭)ㆍ중화(仲和), 호는 나와(懶窩). 욱(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열(震說)이고, 아버지는 정후(挺後)이며, 어머니는 나천추(羅天樞)의 딸이다....
    이칭별칭 중화(仲和)| 나와(懶窩)| 정간(靖簡)|국진(國鎭)
  • 나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10권 4책. 목활자본. 1911년 5대손 동필(東弼)과 6대손 헌섭(憲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순(宋秉珣)의 서문과 권말에 동필‧동준(東準)‧동석(東奭)의 발문...
  • 해금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오달운(吳達運)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28년(순조 28) 오달운의 손자 오효언(吳孝彦)‧오택언(吳澤彦)‧오인언(吳潾彦)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 외 3인의 뇌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고서·고문서(20)

  • ()의 『나와집(懶窩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권1~2에는 詩 242편이 수록되어 있다. 「北關錄」 19수는, 1744년伯父가 함경도 종성으로 유배를 가게 되자, 1746년까지 3년 동안 백부를 모시고 유배길을 다녀왔는데, 이때에 쓴 작품이다. 권3에는 「辭大司諫疏」와 「辭大司憲疏」 두 편의 상소...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5514 B01551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6年 4月 1日_009 ○, 以弘文館言啓曰, 新除授校理金載瓚, 時在京畿江華府, 經筵入番事緊, 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傳曰, 番次苟艱, 許遞, 待明朝, 令政院政官牌招, 開政差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仰稟大朝, 黑山島充軍罪人黃宅仁, 依律處斷。 措辭見上 新除授持平洪宗藎, 時在忠淸道忠州地, 司諫院司諫李東郁, 時在京畿仁川地, 獻納, 時在全羅道光州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答府曰, 不從, 下諭事, 依達。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上曰: “江都築城事, 欲問之, 而雖有城池, 得人然後可以守矣。 今雖有伊、傅, 何以得之乎?” 副司直李宗城曰: “宣廟甲辰, 臣先祖李恒福以大臣, 當遇災延訪之日, 有所陳戒, 其曰: ‘開誠當自納諫始, 用人當自恢公始。’ 合今日之體念也。 開城留守吳光運曰: “殿下以不得伊、傅爲...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永登萬戶, 徐繼修爲馬島萬戶, 李光輔爲南桃浦萬戶, 吳毅常爲訓鍊正, 韓翊柱爲安義僉使, 朴相豐爲越松萬戶, 田佐顯爲訓鍊判官, 金元甲爲訓鍊主簿, 李聖圭·金文淳·沈有鎭爲副司直, 爲副護軍, 李宗燮·柳增萬爲副司果, 金彦之爲蒜山僉使, 申碩徵爲馬梁僉使, 李長燮爲五衛將, 金益彬爲訓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 명종 때 유명한 성리학자인 기대승의 후예로 그 후광을 입어 1782년(정조 6)에는 당상관으로 특별히 초자되어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으며, 성리학에 심취하여 관계서적을 조석으로 암송했으며, 이런 자세는 그의 조상인 기대승을 방불하게

  • 해금집 / 海錦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오달운의 시문집. 5권 5책. 목활자본. 1828년(순조 28) 손자 오효언·오택언·오인언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외 3인의 뇌문이 있다. 권1에 가장·묘지·묘갈명·시·사·가·애사, 권2에 전·사부·서·의·서·기·발, 권3에 잡저·묘비문·행

  • 나와집 / 懶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4책. 목활자본. 1911년 5대손 동필(東弼)과 6대손 헌섭(憲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순(宋秉珣)의 서문과 권말에 동필·동준(東準)·동석(東奭)의 발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