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강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63)
사전(1,096)
- 금강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금강산 및 부근의 명승지에 관한 내용들을 왕조실록‧문집‧문헌 등에서 발췌‧기술한 책. [서지적 사항] 필사본. 6편 23책. 편자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제1편은 사실편(史實編)으로 『태조실록』 외 11...
- 금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회양군과 통천군‧고성군에 걸쳐있는 산. [개 관] 높이 1,638m. 금강산은 동해에 임박한 태백산맥 북부의 아름다운 명승지로서,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이름이 알려져 있다.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이칭별칭개골산|봉래산
- 금강산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6년(순조 16)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의 『장편가집(長篇歌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50세 되던 1816년 3월 7일 서울을 떠나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두루 구경하고
- 금강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후(後)가 있다. [서지적 사항] 1책(52장). 전사자본(全史字本). 권수의 구별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첫 부분에 「금강산기」 25장과 「동유시(東遊詩)」 82수가 있고, 1865년 7월 26일부터 시...
- 금강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금강산과 그 주변의 명승지를 표현한 그림. [내용] 현존하는 문헌 자료와 작품들을 살펴보면 금강산도라고 불리는 그림들은 금강산 지역과 그 주변의 해금강 지역, 관동 팔경의 명승들 그리고 때로는 설악산 지역까지를 포함하여 표현한 경우가
단행본(12)
- 금강산 유람록 2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강정화, 이영숙, 강동욱, 문정우...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09.30유형단행본
- 금강산 유람록 1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강정화, 이영숙, 강동욱, 문정우...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09.30유형단행본
- 금강산 유람록 3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강정화, 이영숙, 강동욱, 문정우...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09.30유형단행본
- 금강산 유람록 4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최석기, 황의열, 강정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90429유형단행본머리말 동유기|김창협 관동록|이천상 유풍악기|홍대귀 풍악기보유|홍대귀 풍악일기|김수증 관동기행|임홍량 유금강산록|이동표 유금강산소기|조정만 동유기|김상직 원문 東遊記|金昌協 192 關東錄|李天相...
- 금강산 유람록 5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최석기, 황의열, 강정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90429유형단행본머리말 동유록|이세구 동유록|이서 금강일기|김창석 관동록|이시선 원문 東遊錄|李世龜 東遊錄|李漵 金剛日記|金昌錫 關東錄|李時善 도판출처 찾아보기
고서·고문서(1,066)
- 금강산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쳔 다보기 얼여우나 얼여우나: 어려우[難]나. 과분철 표기 형태이다.그즁의 죠흔경을 강이나 구경관동팔경 죳타도 금강산이 졔일이라금강 죠흔경을 둉학도 원라물며 우리등이 어 어 어 어: 생어사장어사(生於斯長於斯) 이곳에서 나서 이곳에서 자람.라...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金剛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7739 창가 初等唱歌 第六學年用 22132 1941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井上主計 金剛山 〈#15〉 [ 一 ] 毘(び)盧(ろ)の高(たか)嶺(ね)を中(なか)にして 連(つら)なりめぐる峯(みね)峯(みね)は, 天...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금강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079 P-SDK-05079-G-M-06-06 P-SDK-05079-G-M-06-06-1 P-SDK-05079-G-M-06-06-2 금강산 KONGO-SAN 금강산의 풍경이 인쇄된 엽서 조선 풍속 및 풍경 봉투 있음. 6매 세트. 관...자료명금강산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금강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472 P-SDK-00472-G-C-06-01 P-SDK-00472-G-C-06-01-1 P-SDK-00472-G-C-06-01-2 금강산 The view of the Mt. Kongosan 구름이 걸려있는 금강산 전경을 인쇄한 엽서 조선회...자료명금강산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금강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483 P-SDK-00483-G-C-06-05 P-SDK-00483-G-C-06-05-1 P-SDK-00483-G-C-06-05-2 금강산 The view of the Mt. Kongosan 구름이 걸린 금강산 전경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조...자료명금강산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77)
- 금강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김연이
- 금강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김연이
- 금강산 선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금강산의 나뭇군과 선녀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청하였더니,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선녀가 하늘로 올라가버렸다고 이야기 끝을 맺었는데 옆에 있던 김순자 아주머니가 나뭇군도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자, 이야기를 덧붙이며 계속했다. *조사일시1984-07-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 제보자문영자
- 금강산 처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물을 구해 주어서 덕을 봤다는 이야기를 혹시 알고 계신지요?” 하고 물으니, “그거야 다 아는 이야기 안 있읍니까?” 하였다. “그래도 이야기 해 보십시요.” 하자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1984-02-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 제보자김개봉
- 금강산 주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에 이야기가 끝난 뒤 이야기를 하고 싶은 눈치여서 권했더니 차분하게 시작했다. *조사일시1980-02-2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이기백
기초학문(8)
- 근대기 혼성문화공간으로서의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현숙, 게재일 : 201343149 김현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13 근대기 혼성문화공간으로서의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근대 이전 漢文 記錄을 통해 본 金剛山 表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은정, 게재일 : 201365083 박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근대 이전 漢文 記錄을 통해 본 金剛山 表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8497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2016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6
- 1930년대 금강산 기행가사에 투영된 여행체험의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정선, 게재일 : 201816621 유정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어문학회 2018 1930년대 금강산 기행가사에 투영된 여행체험의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8
- 기이한 세계로의 초대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하여 본 금강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기재, 게재일 : 200925279 서기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어문학회/일본어문학회 2009 기이한 세계로의 초대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하여 본 금강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436)
- 金剛山 (금강산)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金剛山 | 기사명_한글금강산 | 부제_원문地貌ふり見たる | 부제_한글땅의 형세로 본다 | 게재일19160618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5-6
- 金剛山 (금강산)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금강산관련기사명_원문金剛山 | 기사명_한글금강산 | 부제_원문風景と地質の關係 | 부제_한글풍경과 지질의 관계 | 게재일19160620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4-6
- 金剛山背景 (금강산 배경)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금강산기사명_원문金剛山背景 | 기사명_한글금강산 배경 | 부제_원문歷史的戱曲の一齣を作たり=自然ふり人間を見る= | 부제_한글역사적 희곡의 한 구절을 만들어=자연모습의 인간을 본다 | 게재일19151211 | 게재판석 | 게재면07 | 게재단1-3
- 金剛山寫生 (금강산사생)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平福百穗(1877-1933)작품명_원문金剛山寫生 | 게재일19160610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3-5
- 金剛山寫生 (금강산사생)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연재물작품명_원문金剛山寫生 | 게재일19160611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3-5
멀티미디어(52)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5)
- 김강산;金岡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02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99면 김강산;金岡山 평남 제4회 1911년 4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향토교실) 금강산 건봉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향토교실) 금강산 건봉사 (향토교실) 금강산 건봉사 (향토교실) 金剛山 乾鳳寺 교육 문헌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종국 | 사료철명강원교육
- (신국토 기행1) 아련한 금강산, 찬란한 동해 일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신국토 기행1) 아련한 금강산, 찬란한 동해 일출 (신국토 기행1) 아련한 금강산, 찬란한 동해 일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남기수,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금강산댐 축소 규탄 청소년 글짓기대회-학생 문원) 철새의 소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금강산댐 축소 규탄 청소년 글짓기대회-학생 문원) 철새의 소망 (금강산댐 축소 규탄 청소년 글짓기대회-학생 문원) 철새의 소망 교육 문헌 초등교육 학생생활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윤경 | 사료철명충북교육
- (금강산댐 축소 규탄 청소년 글짓기대회-학생 문원) 평화, 그것만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금강산댐 축소 규탄 청소년 글짓기대회-학생 문원) 평화, 그것만이 (금강산댐 축소 규탄 청소년 글짓기대회-학생 문원) 평화, 그것만이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인희 | 사료철명충북교육
연구과제(4)
-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윤호진 | 경상대학교 | 2014 | 국내 | 경남
-
고려시대 관동 유람과 문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창현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성운 | 동국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원석 | 경상국립대학교 | 2021 | 국내 | 경남
주제어사전(117)
-
금강산 / 金剛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회양군과 통천군·고성군에 걸쳐있는 산. 높이 1,638m. 금강산은 동해에 임박한 태백산맥 북부의 아름다운 명승지로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이름이 알려져 있다.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을 중심으로 주위가 약 80㎞에 이르는데, 강원도의 회양
-
금강산가 / 金剛山歌 [문학/고전시가]
1816년(순조 16)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의 『장편가집(長篇歌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50세 되던 1816년 3월 7일 서울을 떠나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두루 구경하고 돌아와 지었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705구이며, 자
-
금강산기 / 金剛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신 조성하(趙成夏)의 기행록. 1865년(고종 2) 조성하의 나이 21세 때 간행된 책으로 권두에 조두순(趙斗淳)의 서문, 권말에 정원용(鄭元容)·윤정현(尹定鉉)·박도빈(朴道彬)·민규호(閔奎鎬)의 발문과 후(後)가 있다. 첫 부분에 「금강산기」 25장과
-
금강산집 / 金剛山集 [종교·철학/불교]
왕조실록이나 문집 등에서 금강산 및 부근의 명승지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수록한 시문선집. 지리지. 제1편은 사실편(史實編)으로 『태조실록』 외 111개 문헌, 제2편은 지지편(地誌編)으로 『택리지(擇里志)』 외 53개 문헌, 제3편은 기행문편으로 『가정집(稼亭集)
-
금강산유기 / 金剛山遊記 [문학/현대문학]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기행수필. 1922년 3월∼8월까지 『신생활(新生活)』에 발표되었다. 1923년시문사(時文社)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고, 1979년『이광수문학전집(李光洙文學全集)』9(又新社)에 수록되었다. 「금강산유기」는 그 여정에 따라 ‘남대문에서 고산(高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