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5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74)
사전(2,722)
- 금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짜여진 장편서사시의 성격을 지닌다. 이 작품은 전봉준(全琫準)을 주인물로 하며 동학농민혁명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영웅서사시이자 민족‧민중서사시적인 범주에 속한다. [내용] 「금강」은 각종 민란의 발생과 동학의 태동, 그리고 우리 역사에 대한 화자...
- 금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660(태종무열왕 7). 신라 중대의 대신. [내용] 655년(태종무열왕 2) 정월에 이찬(伊飡)의 관등으로 상대등(上大等)이 되었다. 마지막 활동을 한 시기는 태종무열왕의 초기로 상대등의 관직을 차지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
- 금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935(태조 18). 후백제의 왕족. [내용] 후백제의 시조 견훤(甄萱)의 넷째아들이다. 금강은 체구가 매우 크고 지략이 많아 견훤이 특히 사랑하여, 자기의 왕위를 계승시키려고 하였다. 이에 그의 형들인 신검(神劍)‧양검(良劍...
- 금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바꾸면서 미호천(美湖川)과 합류하고, 공주‧부여 등 백제의 고도(古都)를 지나 강경에 이르러서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道界)를 이루며 황해로 흘러들어 간다. ≪당서 唐書≫에서는 금강을 웅진강(熊津江)이라고 기록하였다. 금(錦)은 원어 ‘곰’의 사음(寫音...
- 금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67년 12월 펜클럽 작가기금으로 을유문화사에서 간행된 신동엽(申東曄, 1930-1969)의 장편서사시.정의1967년 12월 펜클럽 작가기금으로 을유문화사에서 간행된 신동엽(申東曄, 1930-1969)의 장편서사시.[한국현대문학대사전] | 문광부표기Geumgang | MR표기Kŭmg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3)
- 금강산 유람록 2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강정화, 이영숙, 강동욱, 문정우...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09.30유형단행본
- 금강산 유람록 1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강정화, 이영숙, 강동욱, 문정우...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09.30유형단행본
- 금강산 유람록 3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강정화, 이영숙, 강동욱, 문정우...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09.30유형단행본
- 금강산 유람록 4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최석기, 황의열, 강정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90429유형단행본머리말 동유기|김창협 관동록|이천상 유풍악기|홍대귀 풍악기보유|홍대귀 풍악일기|김수증 관동기행|임홍량 유금강산록|이동표 유금강산소기|조정만 동유기|김상직 원문 東遊記|金昌協 192 關東錄|李天相...
- 금강산 유람록 5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자 : 윤호진, 이상필, 최석기, 황의열, 강정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90429유형단행본머리말 동유록|이세구 동유록|이서 금강일기|김창석 관동록|이시선 원문 東遊錄|李世龜 東遊錄|李漵 金剛日記|金昌錫 關東錄|李時善 도판출처 찾아보기
논문(1)
- The Kugyol glosses in the Asami collection copy of the Chollo Kumgang kyong 川老金剛經 [Composition and Vernacular in the Sinographic Cosmopolis: Comparative Aspects of the Histiory of Language, Writing and Literary Culture in Japan and Korea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저자 : Ross King(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게재정보 : Acta Koreana Volume 16, Issue 01, 게재일 : 2013.06유형논문
고서·고문서(3,549)
- 금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금강 조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상지현(尚志县) 흥안촌 4 4 금강, 구경, 자모애, 느껴보지, 못한, 사촌형님, 중국...대표표제어금강 | 성씨조
- 해금강과 금강문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4909 P-SDK-04909-P-A-08-04 P-SDK-04909-P-A-08-04-1 P-SDK-04909-P-A-08-04-2 해금강과 금강문 海金剛と金剛門 금강문(우)과 해금강(좌)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봉투 없음. 8매 세트. ...자료명해금강과 금강문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금강산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쳔 다보기 얼여우나 얼여우나: 어려우[難]나. 과분철 표기 형태이다.그즁의 죠흔경을 강이나 구경관동팔경 죳타도 금강산이 졔일이라금강 죠흔경을 둉학도 원라물며 우리등이 어 어 어 어: 생어사장어사(生於斯長於斯) 이곳에서 나서 이곳에서 자람.라...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東海金剛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967 신민요 C.40738―A, C.40738―B 1936년 콜롬비아 레코드 東海金剛 〈a〉金岸曙 作詩〈/a〉 〈ar〉金駿永 編曲〈/ar〉 〈s〉曺秉驥〈/s〉 〈b〉伴奏 콜럼비아 管絃樂團〈/b〉 〈pic〉사진 있음, 曺秉驥 사진〈/pic〉...구분신민요
- 海金剛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064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海金剛行 〈mn〉숫자악보〈/mn〉 〈#21〉 [ (1.) ] 슈륙 졉경 일대 명승 해금강이여 경개로은 삼일표가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구술자료(110)
- 금강정 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영 월에 뭔 고런 재료가 별로 없다며 여기 고적이라고는 금강정이 있었는데, 이 금강정 시(詩)를 하나 소개하겠다면서 시창을 했다. *조사일시1983-08-20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송순철
- 금강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김연이
- 금강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김연이
- 금강산 선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금강산의 나뭇군과 선녀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청하였더니,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선녀가 하늘로 올라가버렸다고 이야기 끝을 맺었는데 옆에 있던 김순자 아주머니가 나뭇군도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자, 이야기를 덧붙이며 계속했다. *조사일시1984-07-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 제보자문영자
- 금강산 처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물을 구해 주어서 덕을 봤다는 이야기를 혹시 알고 계신지요?” 하고 물으니, “그거야 다 아는 이야기 안 있읍니까?” 하였다. “그래도 이야기 해 보십시요.” 하자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1984-02-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 제보자김개봉
기초학문(57)
- 金剛三昧經と三階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18713 한국연구재단 일본인도학불교학회 2010 金剛三昧經と三階敎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永川 金剛城 과 皇甫能長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재수, 게재일 : 201515701 이재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학회 2015 永川 金剛城 과 皇甫能長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인도와 간다라의 집금강신(執金剛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영애, 게재일 : 200703314 임영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7 인도와 간다라의 집금강신(執金剛神)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근대기 혼성문화공간으로서의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현숙, 게재일 : 201343149 김현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13 근대기 혼성문화공간으로서의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금강경(金剛經) 텍스트에 나타난 정보구조와 번역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윤철, 게재일 : 201665647 박윤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6 금강경(金剛經) 텍스트에 나타난 정보구조와 번역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063)
- 冬金剛 (겨울 금강)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장르미상작품명_원문冬金剛 | 게재일19151202 | 게재판석 | 게재면02 | 게재단2-3
- 海金剛 (해금강)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古賀祐雄1916-19년사이 경성일보 활동작품명_원문海金剛 | 게재일19160105 | 게재판제3호 | 게재면03 | 게재단1-2
- 金剛山 (금강산)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金剛山 | 기사명_한글금강산 | 부제_원문地貌ふり見たる | 부제_한글땅의 형세로 본다 | 게재일19160618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5-6
- 金剛山 (금강산)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금강산관련기사명_원문金剛山 | 기사명_한글금강산 | 부제_원문風景と地質の關係 | 부제_한글풍경과 지질의 관계 | 게재일19160620 | 게재판조 | 게재면01 | 게재단4-6
- 금강요해(金剛要解)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금강요해(金剛要解) 金剛要解 금강요해 형태서지 金剛要解 [著者未詳] [未詳]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朝鮮後期]寫 線裝 ...대표표제어금강요해(金剛要解) | 대표서명金剛要解 | 한글서명금강요해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55)
- 570 06. 금강의 진도.pdf 조선시대 금강의 진도 수로망자료문의성신여대 양보경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 강원도 (정용건) 4주차. 전라도와 한시: 유배와 전란, 그리고 실학 (정용건) 5주차. 경상도의 유교문화와 퇴계학파학자의 한시 (김기엽) 6주차. 충청도와 율곡학파 (김기엽) 7주차. 18세기 한양의 백악시단과 여항인의 한시 (오보라) 8주차. 금강산 유람과 유람시강좌제목한국 한시 기행 | 강의자노요한 교수, 정용건 교수, 김기엽 교수, 오보라 교수, 이남면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703)
- 금강호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235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금강호경 경기도 강화군 교동면 난정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강용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304 남한 경성 덕성여자실업학교 1-25 제8회 졸업기념 1943 0 금강용숙 경성부 사직정 21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덕성여자실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강진옥;金江振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077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45면 금강진옥;金江振玉 漣川郡 연천면 통현리 10 제19회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강우평;金岡祐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671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3면 1. A, B조 생도 명부 금강우평;金岡祐平 경성부 서대문정1정목 171-7호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강은경;金江殷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159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34면 금강은경;金江殷卿 경성부 龍山區 주성정 39 제18회 194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윤호진 | 경상대학교 | 2014 | 국내 | 경남
-
고려시대 관동 유람과 문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창현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성운 | 동국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원석 | 경상국립대학교 | 2021 | 국내 | 경남
-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신용하 | 울산대학교 | 2013 | 국내 | 울산
주제어사전(290)
-
금강 / 錦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의 신무산(神舞山, 897m)에서 발원하여 군산에서 황해로 흘러드는 강.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이다. 유역 면적이 9,885㎢, 유로 연장이 401㎞로 남한에서는 낙동강·한강 다음으로 큰 강이다. 본류는 장수읍의 수분리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섬진
-
금강 / 錦江 [문학/현대문학]
전봉준(全琫準)을 주인물로 하고, 동학농민운동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영웅서사시이자 민족·민중서사시적인 범주에 속한다.「금강」은 크게 세 토막으로 전개된다. 서사는 7장까지로, 각종 민란의 발생과 동학의 태동, 그리고 우리 역사에 대한 화자의 소감과 60년대 현
-
금강봉과금강굴 / 金剛峰─金剛窟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명천군 상고면(지금의 함경북도 명천군 보촌리)에 있는 봉우리와 굴. 금강봉은 높이 35m, 둘레 150m에 달하는 봉우리로, 생성 시기는 제3기 말∼제4기 초로 여겨진다. 용암이 층을 이루면서 서서히 솟아 나와 굳어진 것으로 모양이 큰 종과 비슷하게 우뚝 솟
-
금강산금강초롱 / 金剛山金剛─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금강군 내금강리에서 자라는 금강초롱. 북한 천연기념물 제233호. 내금강의 내폭동 골안, 묘길상 부근과 비로봉으로 가는 골짜기와 외금강 만물상 구역을 비롯하여 해발 600m 이상에 퍼져 있다. 1909년 금강산에서 발견되어 알려진 우리 나라
-
금강경 / 金剛經 [종교·철학/불교]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신봉되었던 대표적인 불교경전. 이 경은 공한 지혜[空慧]로써 그 근본을 삼고, 일체법무아(一切法無我)의 이치를 요지로 삼았다. 공의 사상을 설명하면서도 경전 중에서 공이라는 말이 한마디도 쓰여지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대승과 소승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