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우회”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33)

  • 김성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도를 받았으나 임신부라는 이유로 22일 만에 석방되었다. 1920년 3월 1일 동지 강기원(姜基遠)과 함께 3‧1운동 1주년 가두시위를 하다가 붙잡혀 갓난아기를 안고 4개월간 복역하였다. 1920년에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연맹을 창설하고, 의 조직활동에 참여...
  • 경성여자소비조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0년대 후반 여성의 경제적 각성을 촉구하고 경제적 활동을 추구하던 여성들의 수익단체. [내용] 운동이 활발하였던 1928, 1929년에 지회에서는 소비조합운동을 여성운동의 중요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 2월 신간회(新幹會)가 조직되었다. 여성계에서도 여성운동의 통합론이 일어나, 마침내 그 해 5월에 가 조직되었다. [설립목적] 창립 취지는 “과거의 여성운동은 분산적이었으므로 통일된 조직도 없고, 통일된 목표나 지도정신도 없어 충분한 효과를 거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7년 5월 27일 창립된 여성운동단체로서 최초의 여성 운동 통일전선체.
    정의1927년 5월 27일 창립된 여성운동단체로서 최초의 여성 운동 통일전선체.[한국근현대사사전] | 문광부표기Geunuhoe | MR표기Kŭnu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박현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복역 중 신병으로 출옥하자 다시 비밀결사인 대한애국부인회의 결성에 참가하여 독립운동자금을 임시정부에 송금하였으나, 이듬해 일본경찰에 잡혀 징역 2년6월이 언도되었다. 1922년 가출옥한 뒤에도 계속 여성운동을 주도하였고, 1927년 여성민족유일당인 (槿)가...

고서·고문서(1)

  • 권영태 등 예심종결결정 ; 권영태 등 34인 판결문( 權榮台 등 34인 豫審終結決定(昭和9年豫第54,60,62, 85號) ; 權榮台 등 34인 判決文(昭和10年刑公第1230,1231,1232,1233號)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학당 고등제1학년에 입학하고 얼마 안되어 동경지부원, 중앙청년동맹 북부지부 집행위원이 되고 소화5년 8월 학자금이 궁해서 고학당을 중도 퇴학하고 일단 귀향한 후 소화7년 9월 다시 경성에 와서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신설리 서울고무회사 공장, 경성부 중림동 대률고...
    제목 권영태 등 예심종결결정 ; 권영태 등 34인 판결문( 權榮台 등 34인 豫審終結決定(昭和9年豫第54,60,62, 85號) ; 權榮台 등 34인 判決文(昭和10年刑公第1230,1231,1232,1233號) )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朝鮮總都府 高等法院 檢事局 思想部

신문·잡지(25)

  • 민세안재홍전집 : 槿友全國大會凖備着着進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581 1930 4 6 1 1 槿友全國大會凖備着着進行 婦人講座도開催 신문 중외일보 3면1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槿 A19300406중외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女性의地位向上을爲한 槿의創立完成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286 1927 5 29 1 1 朝鮮女性의地位向上을爲한 槿의創立完成 성황리에창립총회도원만히마치고 압흐로활동할만한포부도결의하야 신문 중외일보 2면 1단 기사 교육 ...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10호 동경지회 제3회 정기총회 의안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0호 동경지회 제3회 정기총회 의안 제3회 정기총회(定期總會) 의안(議案) 미기재 (槿) 동경 지회(東京支會) 동경(東京) 조선_1929년 6월 25일 차압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0호 근우회 동경지회 제3회 정기총회 의안 | 출판물명제3회 정기총회(定期總會) 의안(議案)
  • 민세안재홍전집 : 東京留學生과그活躍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政變, 慶應義熟, 朝鮮留學生會, 太極學會, 大韓興學會, 日韓合倂, 學友會, 學之光, 學興會, 女子界, 螢雪會, 新幹會, 槿 B19330115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12호 여성지우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2호 여성지우 여성지우(女性之友) 제1권 제7호 미기재 양천호(梁天昊) 경성(京城) 조선_1929년 8월 28일 삭제 치안 언한문 (槿) 제2회 전...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2호 여성지우 | 출판물명여성지우(女性之友) 제1권 제7호

기타자료(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유영준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는 투쟁의 길로 들어섰다. 1919년 3월 운동에 참가하였다. 1928년까지 학생운동의 조직자로 활동하였다. 1930년부터 여성해방을 위한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이를 위해 여성들의 통일을 목적으로 한 를 창립하였다. 조선이 해방된 이후에는 남조선민주여성동맹...
    키워드유영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 대표주제어유영준 | 발신자레베데프

주제어사전(4)

  • / 槿 [역사/근대사]

    1927년에 조직되었던 광복운동 후원 여성단체. 1919년 3·1운동 직후에 조직되어 활약한 대부분의 항일여성단체들이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되었다. 새로운 여성운동의 취지로 창립하였다. 중요 인사로는 김활란·유영준·이현경·유각경·현신덕·최은희·황신덕·박원희·정칠성·정종명

  • 정종명 / 鄭鍾鳴 [정치·법제/정치]

    1895년(고종 32)∼미상. 여류 독립운동가·간호원. 전라남도 목포 출신. 1922년 4월 1일 동지 여자고학생상조회를 서울에서 조직, 1925년 5월에 박원희·김필애 등 20여명과 조선여성동우회를 서울에서 조직 운영하기 시작, 이들이 곧 뒷날 를 조직하고 항

  • 학생전위동맹사건 / 學生戰衛同盟事件 [역사/근대사]

    , 의 간부와 학생 등 127명과 다음 날 아침 40여 명을 추가로 검거하였다.

  • 김영순 / 金英順 [교육/교육]

    심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고 출감하였다. 1927년 4월 신간회(新幹會) 자매단체인 (槿) 창립 준비위원회에 참가하여 회원모집 활동을 펼쳤다. 1927년 5월 28일 개최된 창립대회에서 21인의 집행위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어 교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