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석호”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5)

  • 수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장례. 從以樹襄在卽 伏唯此際 服中體候 或無悲懷所損, (), 40-3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영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형제가 죽었을 때 흘리는 눈물. 況友愛隆篤 ■■難分之.淚 何以爲抑也, (), 40-3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세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세상의 도리가 쇠약해짐. 尊伯氏臺雲叔主喪事 出於夢寐之外 此何變也 承訃驚. 益有痛於世衰之日, (), 40-3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존백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대방의 맏형을 높여 이르는 말. 吾黨不幸 尊伯氏臺雲叔主喪事 出於夢寐之外 此何變也, (), 40-3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난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부고(訃告)를 전하러 온 심부름꾼. 당나라 문장가 한유(韓愈)의 하인 경란(耿蘭)이 부고를 전달했던 고사에서 유래함. 한유(韓愈)의 [제십이랑문(祭十二郞文)] 참조. 戚侄一路匍匐 當在於蘭使之後 而閱歲慈憂 汨沒焦煎, (), 40-3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

  • 14 第十四統統首朴好日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5 第五戶刻手年柒拾貳甲戌本安東父通政大夫以龍祖正兵守曾祖正兵佑外祖通政大夫 尹世龍本坡平妻良女徐召史今故率子刻手時俊年拾貳甲戌等壬午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705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四富平里
  • 15 第十五統統首驛保權時建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善外祖不知率母崔召史年伍拾捌辛卯率同生烽軍時贊 [年]參拾貳丁巳等乙酉戶口相准 第二戶 刻手鰥夫今故代子刻手是准年拾伍甲戌本案東父刻手石浩祖通 政大夫以龍曾祖正守外祖正兵徐得准本牙山率同生刻手保是證年拾玖庚午 今加現等乙酉戶口相准 第三戶 校書館唱准鰥夫朴金伊屎年貳拾陸癸亥本蔚山父...
    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四富平里
  • 한다[敬以直內義以方外]’고 강조하였다. 與族侄士綬(錫虎, 1924) 11 족질인 에게 준 편지이다. 얼마 전에 주역의 剝卦(艮上坤下)上九爻를 얻었는데, 이 효사는 급선무가 아랫사람들을 검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 조카에게 편지를 보내어 ‘자신의 몸을 자중하라...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5)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897∼1961). 권문해의 후손이다. 고조는 권진락, 증조는 권효상인데, 후사가없어 백씨도상의 둘째 아들 분환을 후사로 삼았다. 분환 역시 후사가 없어 종자형원을 후사로 삼았으니,바로 공의 선고이다. 어머니는 평산신씨이다. 기미(1919) 4월 2일에 용문

  • 죽전유고 / 竹田遺稿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석인본, 서:이가원(1967), 발:김철희(1967), 6권3책. 서는 1967년에 이가원이 쓰고, 발은 김철희가 지었다. 저자의 아들 치하가 지은 <소식>에 따르면, 저자의 시문이 산실는 것을 안타까워했던 백씨가 베껴 둔 것을 김환창과 조병렬에게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