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상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26)
- 권상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3(철종 14)∼1935. 독립운동가.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찬수(贊粹), 호는 성재(省齋). 경상북도 봉화 출신. 아버지는 기연(祺淵)이며, 어머니는 함안조씨(咸安趙氏)로 성옥(性玉)의 딸이다.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이칭별칭 찬수(贊粹)| 성재(省齋)
- 수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염려해 줌. 謬惠數種 過於垂念 受之無說 欲還呈 則此從又牢不聽 直令人汗下而已, 권상익(權相翊), 40-3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외왕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외할아버지. 每念我外王父 鞠養期望之意 尤無以奉謝於僉執事也, 권상익(權相翊), 40-3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옥성헌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변상수(邊尙綏)의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937년 6대손 시균(時均)ㆍ태균(台均) 등의 편집을 거쳐 변광훈(邊光勳)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익(權相翊)ㆍ이충호(李忠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권명섭(權...
- 계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규도(權奎度)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12년 손자 용하(庸夏) 등이 편집, 간행하였는데,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권상익(權相翊)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고서·고문서(26)
- 1904년 권상익(權相益)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901년 권상익(權相益)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918년 권상익(權相翊) 송간이선생연보후지(松澗李先生年譜後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성재선생문집(省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炳燭齋集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서명은 炳燭齋文集이다. 龍集甲子(1924)에 쓴 後學 安東 權氏 權相翊의 序文이 있다. 발문이 없어서 구체적인 간행사항을 파악하기 어렵다.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2)
- 작일관보즁 뎐화과쥬 권상익씨의 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관보즁 뎐화과쥬 권상익씨의 권 엄를 오식이라게재일1900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공보_1952_0531_08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음과 같이 수여한다. 군공메달 1 강선두 운전조수 2 권상익 운전사 3 곽창오 운전사 4 김계명 운전사 5 김덕순 운전사 6 김명학 운전사 7 김병조 운전사 8 김성룡 운전사 9 김수봉 운전사 10 김익준 운전사 11 김재수 운전사 12 김학선 기공 13 김후록 운전사...대표표제어공보_1952_0531_08 | 날짜1952년 5월 31일
주제어사전(15)
-
권상익 / 權相翊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63-1935). 을사조약에 격분하여 만국공관(萬國公館)에 보낼 호소문을 작성하였고, 3·1운동 당시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을 청원하는 운동에 참가하였다. 1925년 독립군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을 제공하고 적극 지원하였다. 문집으로 《성재집》 2
-
병촉재집 / 炳燭齋集 [종교·철학/유학]
정지집의 문집. 목활자본, 서: 권상익(1924), 4권 2책. 후손인 정원국과 방손 정건모가 성재 권상익에게 교정과 서문을 요청하여, 1925년에 간행하였다. 권1은 시, 권2는 시와 서, 권3은 서와 잡저와 서와 발과 명과 상량문과 축문, 권4는 제문, 묘갈명,
-
총계집 / 叢桂集 [종교·철학/유학]
조동좌의 문집. 목활자본, 서: 권상익(1933), 발: 조승연, 6권 3책. 권두에는 1933년 권상익이 쓴 서문과 간단한 목록이 있고, 권말에는 족증손 조승연이 쓴 발문이 있다 권1~2에는 시 414제 493수가 실려 있어, 문집에서 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
회역당집 / 悔易堂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박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732년(영조 8) 증손 세현(世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계(李晩烓)의 서문과, 권말에 권상익(權相翊)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사(辭) 1편, 시 61수, 소(
-
덕곡답문록 / 德谷答問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독립운동가 권상익이 문인 및 제자들과 학문에 대해 나눈 내용을 수록한 문답서. 석판본. 권상익(權相翊:1863~1935)은 한말의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1827~1899)의 문인이다. 1905년 을사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