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대운” 에 대한 검색결과 2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2)

사전(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정
    이칭별칭 시회(時會)| 석담(石潭)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영의정(領議政)으로, 숙종이 팔십여 인의 상소인을 친국하겠다고 하자, 옥체가 손상될 것을 염려해 만류한다. 그러나 명을 받들어 임금이 죄인 심문하는 것을 돕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숙종의 신하이다. 박태보가 모진 고문을 받고 의금부로 이송되자 ‘또다시 형벌을 견디기는 어려우니 죽음만은 면하게 해 달라.’고 숙종에게 청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익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어 종실 정(楨)과 염(柟)ㆍ()ㆍ민희(閔熙) 등의 남인 세력을 공격하는 데 앞장섰다. 1681년 이조참판ㆍ부제학, 1682년 대사성 등을 역임했으나, 1686년 대신들의 공박으로 한때 개성유수로 보외되었다. 1687년 공조판서, 이듬해 우참찬ㆍ제학ㆍ이조판...
    이칭별칭 필경(弼卿)| 매간(梅磵)| 문희(文僖)
  • 이일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사에 임명되었다. 어사를 마친 뒤 다시 조정으로 돌아와 정언ㆍ장령을 거쳐 1677년 다시 홍문록에 선발되었다. 이 해 헌납이 되고, 수찬이 되었다가 다시 헌납이 되었다. 이 때 노비를 혹독하게 형벌한 선비 이익대와 그의 아내에 대해서 () 등이 사형...
    이칭별칭 자하(子夏)

고서·고문서(142)

  • 8547 B00854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9年 1月 24日_010 ○領議政, 右議政閔黯, 江華留守吳始大, 請對入侍時, 領議政所啓, 江都留守有稟定事, 故敢爲請對矣, 築城之役, 當趁解凍始役, 而不得給價募軍, 只以本府之民, 給口食築之, 而當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上曰, 依爲之。 吳始復曰, 諸物件及竹冊·玉印, 下敎政院, 使承旨次知出視爲當矣。 上曰, 自前置之江都者, 慮後計也。 竹冊·玉印等物, 自江都撥馬載來, 可也。 曰, 當速爲告廟耶, 第臨時告廟耶? 上曰, 臨時告廟, 爲可也。 上曰, 冊禮時冕服, 元子當着之, 以備威儀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30 B000830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肅宗 18年 4月 3日_013 ○領議政所啓, 平安道身彌島及椵島, 兩牧場所養之馬多駿骨, 可合國用, 亦欲稟達, 送本方官員捉來, 而僉正朴聖述, 今將下去江華, 還來後, 復送平安道, 則農節驅馬, 似涉有弊。 姑待明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394 B00839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7年 6月 23日_015 ○引見時, 領議政所啓, 江都築城之役, 七月爲始事, 曾已定奪, 將觀前頭農事, 欲爲進退, 而三軍門物力, 猶有不足之患, 自宣惠廳私送[移送]江都米三萬石內, 一萬石則分給三軍門, 以爲補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408 B00840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7年 6月 23日_015 ○引見時, 領議政所啓, 江都築城之役, 七月爲始事, 曾已定奪, 將觀前頭農事, 欲爲進退, 而三軍門物力, 猶有不足之患, 自宣惠廳私送[移送]江都米三萬石內, 一萬石則分給三軍門, 以爲補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지중추부사 권상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권협, 아버지는 사어 권근중, 어머니는 이유혼의 딸이다. 1649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정언이 되었다. 이후 호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병조판서,

  • 권환 / 權瑍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대윤, 어머니는 순천김씨로 현감 두명의 딸이다. 숙종대에 영의정을 지낸 의 조카이다. 이민구에게 수학하였으며, 허목을 사사하였다. 성균관대사성, 개성부유수

  • 권규 / 權珪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권협의 증손,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영의정 , 어머니는 우정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검열이 되었다. 사헌부·사간원의 관직과 이조낭관 등의 관직을 두루

  • 박두세 / 朴斗世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이건, 아버지는 율이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직이 제수되었으며, 1686년 의금부도사로 을 압송할 때 편리를 보아주었다 하여 파직되었다. 그 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