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구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7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615)
사전(2,602)
- 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생애에 관한 내용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의 『고초록(古?錄)』이라는 문헌에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는 표현이 있으며, 『나라록(奈良錄)』, 『동역전등록(東域傳燈錄)』 등에 그의 저술명
- 팔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시문집. [내용] 4권 3책. 목판본. 맏아들 성(成)이 7권으로 편집한 것을 매부 이식(李植)과 막내아들 굉(宏)이 산정(刪定), 1632년(인조 10) 4권으로 간행하였다. 1648년 외손
- 권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4(선조 7)∼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계(啓). 자는 제중(霽仲), 호는 구사(龜沙). 곤(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심(深)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 오(悟)이...이칭별칭 제중(霽仲)| 구사(龜沙)
- 동사구문사전 : 구사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0716 구사하다 구사하다I 구사-하다1 驅使-- 구사하여(구사해), 구사하니, 구사하고 일반동사 vt (말, 기법, 기술, 전술 따위를) 자유자재로 자연스럽게 사용하다. Freely and naturally use word,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밝고 듣는 것이 총명하려면 반드시 이들 사고의 장애물을 먼저 제거하여야 한다. 이이(李珥)는 몸과 마음을 가지는 데는 구용(九容)보다 더 진실한 것이 없고, 학문을 진취시키고 뜻을 더하는 데는 구사보다 더 절실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공자가 『논어』에서...
단행본(7)
- 현대한국구술자료관 현황과 전망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원, 김선정, 송치욱, 윤충로, 이호신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01224이 책은 1부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개관, 2부 구술 자료 아카이브 구축, 3부 구술자료관 활용 방안과 전망의 총 3부로 구성됐다. 먼저 1부는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의 내용과 특성, 수집 자료의 특성을 밝힌다. 1장은 한국 구술사 연구의 발전 궤적과 ...
- (조선시대 궁중회화 1) 왕과 국가의 회화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5.9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궁중회화의 세계 (1) 궁중회화를 이해하는 첫걸음 (2) 왕실의 안위와 계승 - 어진, 공신상 (3) 국정의 운영과 실용 - 각종 시각적 문서와 실용화 (4) 기록과 보존 - 도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궁중 장식화의 세계 (1) 궁궐 실내의 그림 장식 전통 (2) 장엄과 위의 (3) 길상과 장생 (4) 태평과 복락 (5) 동궁과 교육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10.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조선시대 화원과 궁중회화 (1) 화원, 궁중회화를 탄생시키다 (2) 화원의 신분과 생활 여건 (3) 화원제도의 운영과 변천 (4) 화원의 시험과 선발 (5)
- 홍산문화의 이해 [한국 상고문화기원 연구 -고고학,유전자,언어,문화교류- | 단국대학교]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복기대(인하대학교)... | 출판사 : 두솔 | 출판일 : 2013.10.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1. 홍산문화 연구사 2. 홍산문화 개관 3. 홍산문화 유적 및 유물 분석 4. 홍산문화의 기원과 관련 문화들과의 관계 5. 요서 지역의 생태환경과 홍산문화의 인류학적 고찰
고서·고문서(6,374)
- 구 白鷗詞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120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구 白鷗詞 [54] 나지 마라 너 잡을 아니라(닐다) 셩상이 버(바)리시니 너를 좃차 예 왓노라 오류츈광 경 조흔 마금편 화류가 운침벽계 화홍도 유록헌데 만...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구사 白鷗詞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1109 잡가 增訂日鮮 新式雜歌 12023 1922 朴承曄 京城 永昌書館 發行 朴承曄 李種哲 四十五錢 구사 白鷗詞 [15] 나지마라 너 잡을 안니로다 셩상(聖上)이 바리시니 너를 좃 예 왓노라 오류츈광(五柳春光) 경 조...구분잡가 | 편저자朴承曄
- 구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0364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구사 [10] 나지마라 너 잡을 아니로다 셩상이 바리시니 너를 죳 에 왓노라 오류츈광 경 죠흔 마금편 화류 가 운심벽계 화홍도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 丁彦球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810 與猶堂全書補遺○家乘外編 ITKC_MP_0597A_1810_000_0040 丁彦球事 정약용(丁若鏞) 傳記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家乘外編 | 문체傳記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구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0003 잡가 南薰太平歌 11001 白斗鏞 翰南書林 白斗鏞 金鉉秀 구사 [3] 나지마라 너 잡를 아니로다 셩상이 비리시니 너를 됴차 예 왓노라 오류츈광 경 됴흔데 마금편 화류가자 운침벽계 화홍도 륙록데 만학쳔봉 비쳔라 호즁...구분잡가 | 편저자白斗鏞
구술자료(246)
- 구사일생 회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4-07-13 | 조사장소경상북도 구미시 원평1동 | 제보자서필금
- 인량복일 돈여구식(人良卜一豚如拘食)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깡마른 인상을 풍기는 제보자가 조사자의 강권과 합석한 노인들의 강권에 못이겨 꺼낸 이야기다. 듣기로는 상당히 화술이 좋을 뿐더러 아는 것(얘기)도 많다고 들었는데 도무지 응하지를 않았다. 자리에도 안 앉고 방에 놓인 앉은 책상 비슷한 곳에 걸터앉아 겨우 두 개를 했...조사일시1981-03-29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강화읍 | 제보자구만서
- 집단 학살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났지만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석해 구연을 도왔다. [1] 총을 맞았지만 구사일생으로 살아남다 [조사자 : 아이고, 말씀해주신다 해서 감사합니다. 올해 그러면.] 말도 안 나와요. 가그난 어이가 없고. 억울하고. 참혹하고. [조사자 : 생각나시는데로 천천히 말 씀해주시면 됩니다. 올해 그러면 연세조사지역경북 문경 | 조사일2012년 3월 10일
- 1.4 후퇴 때 피난 나온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피난을 나오게 된 거 야. 육이오때. 그리고 밤이면은 낮에 폭격하면 밤이면은 이제 복구사업을 하는 거야. 이제. 피난 나오기 전에. 그때가 뭐이가 생겼냐하면 처음으로 생긴 게 조명탄이라고 하늘에 불빛이 생기더라 니께. 미국 사람들이 하늘에 띄우더라. 비행기에서 이제 해조사지역경기 안산 | 조사일2012년 2월 14일
- 황해도 연변에서 강화도로 월남한 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병원이 그때는 없었으니까 그 시골에. 그래가지고 죽었어요. 그래가지고 애를 낳다 죽었어요. 그 언니는. 그래가지고 언니 하나 만 있어서 교동에 나와가지고 교동 나올 때. [2] 구사일생, 강화도로의 월남 과정 인민군들이 온다 그러니까 인제 개천에서 그냥 빨래하는 것처럼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2년 4월 26일
기초학문(335)
- 한국 축제의 연구사와 연구사적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월덕, 게재일 : 200405482 김월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연문화학회 2004 한국 축제의 연구사와 연구사적 과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청대 도량형 연구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성화, 게재일 : 200839978 홍성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8 청대 도량형 연구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국의 사람 이름 연구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동근, 게재일 : 201254238 박동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말연구학회 2012 한국의 사람 이름 연구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에서의 헤겔 연구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구, 게재일 : 200005920 김윤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00 한국에서의 헤겔 연구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f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한국의 일본 정치 연구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0937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5 한국의 일본 정치 연구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042)
- 求仕乞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디방관 젼고규측을반포후에 군슈구걸든쟈들이 각도 참셔관과 셰무관으로 돌나부터 부대신과 탁지대신에게 공송애걸쟈가 쳔명이상에 지다니 졍부에졍도 극히빈한야 타국에차관도야 구걸난 졍가이지마 벼살에 허긔져셔 구걸데도 한국인민이 셰계에 상등구걸국이라고 죠...게재일1906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夫妻俱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쥬군 복리에 거 리봉린이라쟈 무삼단이 잇던지 그쳐로더부러 투다가 그쳐가 구타를 견지못야 학구봉이라곳으로 피신 도망 리봉린이가 급히죠가며 돌을들어 그뢰후를려 당각 즉리가가 즉시타쳐로 도망지라 디경무셔에셔 그시신과 실을 젹간고...게재일1906년 6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雉卵俱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쳔부 관립일어학교 교관 리용린씨는 월급이 이십원인 학교무는 아니보고 관에 고용며 슌검 셩근욱씨로 셔리교관을 하로 여 학도를 교육다니 리교관은 엇지야 월급먹고 고젼먹고 셩슌검은 엇지야 봉급먹고 직은 아니니이런관리는 참 먹고알먹는다더라게재일1902년 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特殊文化의種種相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78 1930 4 3 57 54 安在鴻 안재홍 朝鮮上古史管見(五五 ) 特殊文化의種種相 十二. 東方文化와朝鮮素(六) 신문 조선일보 4면1단석간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震國, 南閭, 拘邪韓國 A...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구사론소(俱舍論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구사론소(俱舍論疏) 俱舍論疏 구사론소 유통서지 俱舍論疏 20卷 神廓 大日本古文書 743年(天平15) 正倉院 『大日本古...대표표제어구사론소(俱舍論疏) | 대표서명俱舍論疏 | 한글서명구사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443)
- 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 정착한 불교 교단의모습을통해 동아시아 불교 교단의 역사성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1주차. 불교의 역사와 교단 2주차. 동아시아 불교 교단과 종파 연구사적 검토 3주차. 삼국시대 불교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 정착한 불교 교단의모습을통해 동아시아 불교 교단의 역사성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1주차. 불교의 역사와 교단 2주차. 동아시아 불교 교단과 종파 연구사적 검토 3주차. 삼국시대 불교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 정착한 불교 교단의모습을통해 동아시아 불교 교단의 역사성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1주차. 불교의 역사와 교단 2주차. 동아시아 불교 교단과 종파 연구사적 검토 3주차. 삼국시대 불교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 정착한 불교 교단의모습을통해 동아시아 불교 교단의 역사성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1주차. 불교의 역사와 교단 2주차. 동아시아 불교 교단과 종파 연구사적 검토 3주차. 삼국시대 불교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 정착한 불교 교단의모습을통해 동아시아 불교 교단의 역사성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1주차. 불교의 역사와 교단 2주차. 동아시아 불교 교단과 종파 연구사적 검토 3주차. 삼국시대 불교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연구결과보고서(4)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3단계)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3단계)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결과보고서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하이델베르크대학 한국학 기반 강화를 위한 교육과 연구사업: 한국학관련 교육과 “글로벌 한국” 연구사업을 통한 한국학기반다지기 [하이델베르크대학 한국학 기반 강화를 위한 교육과 연구사업: 한국학관련 교육과 “글로벌 한국” 연구사업을 통한 한국학기반다지기 | University of Heidelberg]자료유형연구보고서
- Korea and East Asia in Global History 1840-2000 (한국과 동아시아의 지구사 1840-2000) 결과보고서 [Korea and East Asia in Global History 1840-2000 (한국과 동아시아의 지구사 1840-2000) | Freie Universität Berlin]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5,562)
- 구사송;具四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74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7면 ㅁ1. 신입회원;ㅁ1) 1학년 구사송;具四松 함북 회령군 회령면 오동 66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여금청구사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대여금청구사건 대여금청구사건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사학 교육재정 사학교육재정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구고등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 대여금청구사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대여금청구사건 대여금청구사건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사학 문서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구고등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 대여금청구사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대여금청구사건 대여금청구사건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사학 문서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서울고등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 전부금청구사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전부금청구사건 전부금청구사건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사학 교육재정 사학교육재정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서울고등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연구과제(71)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구사회 | 선문대학교 | 2012 | 국내 | 충남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노태돈 | 서울대학교 | 2009 | 국내 | 서울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수창 | 서울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수창 | 서울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아시아 전후사의 재발견: 폭력, 이산, 그리고 지구사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Yumi Moon | Stanford University | 2020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95)
-
구사 / 丘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종친·공신·당상관 등에게 배당되어 이들을 모시고 다니는 하인무리. 당상관 이상의 배당자들은 아일(衙日)에 호상(의자의 일종)을 사용하여 그 호상을 들이고 내는 일을 감당하는 자들로 배정하였다. 서반 당상관은 호상을 쓰지 못하여 제외되었다.
-
구사당집 / 九思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김낙행의 시문집. 본집 9권 5책, 속집 4권 2책, 합 13권 7책. 목판본. 종제인 김도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본집의 권1에 시 2백여 수, 권2∼6에 서 98편, 권7∼9에 잡저 15편, 서 2편, 기 3편, 지발 4편, 잠명 11편, 상
-
구사학규 / 九社學規 [종교·철학/유학]
선유의 어록이나 언행록에서 인용한 수양서.학규. 1책. 사본. 저자 미상. 정약용(丁若鏞) 또는 이상수(李象秀)의 찬설(撰說)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구사(九社)라는 말은 일종의 강학처(講學處)를 이르는 명칭인 것으로 보인다. 구사에서는 매월
-
백구사 / 白鷗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모두 79구. 벼슬에서 쫓겨난 처사가 대자연 속을 거닐면서 아름다운 봄날의 경치를 완상하는 내용이다.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 실려 전하며, 『남훈태평가』에도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백구사」는 장단은 도드리이고, 모두 8절
-
십생구사 / 十生九死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923년대성서림(大成書林)에서 구활자본으로 발행되었다. 내제(內題)는 ‘충의소설 십생구사’로 되어 있으며, 총 32면이다. 저작 겸 발행인이 강하형(姜夏馨)으로 되어 있으나, 이를 작자로 보기는 어렵다. 이 작품은 운명론적인 삶의 방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