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구결” 에 대한 검색결과 1,0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5)

사전(3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문을 읽을 때 한문의 단어 또는 구절 사이에 들어가는 우리말. [내용] 은 ‘토(吐)’라고도 한다. 예컨대 “國之語音이 異乎中國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훈민정음)에 쓰인 ‘이‧야‧로‧’ 등이다. 이들은 대부분 조사이거나 ‘...
    이칭별칭토(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문원전(漢文原典)을 읽을 때 그 뜻 및 독송(讀誦)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절 아래 달아 쓰는 문법적 요소의 총칭.
    정의한문원전(漢文原典)을 읽을 때 그 뜻 및 독송(讀誦)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절 아래 달아 쓰는 문법적 요소의 총칭.[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ugyeol | MR표기kugy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1_D_0037 경서·경학 經學, 四書五經 權陽村 叢話 D_19_05_16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1_D_0038 경서·경학 宿儒, 四書五經, 考古證今, 文儒 我光廟 私淑齋集 D_19_05_16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차자표기(借字表記) 차자(借字), 한글(한글), 석독(釋讀), 음독(音讀), 순독(順讀), 역독(逆讀), 기입(記入), 인쇄(印刷), 문자(文字), 점토(點吐...
    상위어차자표기(借字表記) | 하위어차자구결(借字口訣), 한글구결(한글口訣), 석독구결(釋讀口訣), 음독구결(音讀口訣), 순독구결(順讀口訣), 역독구결(逆讀口訣), 기입구결(記入口訣), 인쇄구결(印刷口訣), 문자구결(文字口訣), 점토구결(點吐口訣) | 동의어입겿, 토(吐) | 관련어이두(吏讀), 한문(漢文), 향찰(鄕札), 훈독(訓讀), 훈점(訓點)

논문(1)

고서·고문서(329)

  • 석독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석독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석독사전 황선엽,이전경,하귀녀 외 박문사 서울 2009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
    대표표제어석독구결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員의 祭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783 0926_01 三員의 祭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장말손 종가, 의례, 제례, 시문류, 제문 한자 고문서 SJ1235.JPG 三員의 祭文 祭文 三員 故 松下處士 仁同張公 辛亥年 9월 9일 3...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석독 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언어 〈석독 사전〉 해제 ■정의 이 사전은 1,600여 항목의 석독에 대해 독음, 문법적 분석, 해당 용례, 관련형 및 선․후대형을 제시하고 부록으로 석독 원문, 문법 형태 및 용례 색인, 별도의 음독 사전을 담은 CD를 포함하여 2009년에 발...
    대표표제어〈석독구결 사전〉 해제 | 편저자 황선엽, 이전경, 하귀녀, 이용, 박진호, 김성주, 장경준, 서민욱, 이지영, 서형국 | 권수 1책
  • 1630년 박인(朴絪) 수구계(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합천 용연서원
  • 계축년 황운석 제자(黃運錫 弟子) 구계록(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기초학문(71)

  • 각필 자료의 한자와 점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용, 게재일 : 2005
    34420 이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회 2005 각필 자료의 한자와 점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高麗 時代 漢字音의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무림, 게재일 : 1999
    07541 김무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회 1999 高麗 時代 漢字音의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角筆 符點의 意義와 硏究 方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승재
    08961 이승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회 角筆 符點의 意義와 硏究 方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95cda
    유형논문
  • 韓國 符點의 記入 位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48291 한국연구재단 조선학회 (일본) 2005 韓國 符點의 記入 位置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음독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경란, 게재일 : 2008
    36613 남경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회/학회 2008 음독 연구의 회고와 전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48)

  • 한미행정협정체결촉의안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8) 한미행정협정 관련 한미행정협정체결촉의안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3월 23일 국회 국회회의록 제5대 38회 8차 참의원외무국방위원회(pp.1-9) 회의록 9 이 글은 제38차 민의원 제8차 참의원 외무국방위원회 회...
    대표표제어한미행정협정체결촉구결의안 | 자료유형회의록 | 집필자국회 | 출처국회회의록 제5대 38회 8차 참의원외무국방위원회(pp.1-9) | 키워드한미행정협정, 촉구결의안, 민의원, 참의원, 외무국방위원회
  • 昨年災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년 십삼도년의 풍흉을좃차 쥰것이 도합이 삼쳔오 칠십 십구짐 구뭇인 함경북도와 평안남도가 지고 평북에는 후창만 들엇더라
    게재일1903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원감리 심후씨가 부로 보고기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원감리 심후씨가 부로 보고기를 도임후에 각쳐 원토를 검샤즉 셩쳔 포락것이 이십오십오부이니 견감야 달나고 엿다더라
    게재일1901년 3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災結蠲减의請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부에셔 츙쳥남도관하 십삼군에셔 작년슈를 혹피뎐답 결셰 이쳔칠삼십 십이부칠속을 견감야쥬되 그 뎐답을 다시 긔경기지 탈급으로 각 회의에 쳥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災結分俵 (련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원도 각군결 일쳔칠십칠결구십부 륙속인 십분의 일로 획하 도춍이 삼십륙결구십부팔속이오 츙쳥남도각군결이일만일쳔구십칠결팔십오부구속인삼십분에일로획하도춍이삼륙십구십이부구속이오 젼라북도각군 구결이 구쳔쳘칠십 칠십부륙속인 칠십분의일로획하 도...
    게재일1906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 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3에불과한사실,한글이전에 한국어를 표기하는 이두, 문자가 사용된 사실, 한글 창제 이후 한글 표기가 변화하는 한편이두,문자도계속 사용된 사실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 들어 학계에서는 이두, 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한글 창제 과정과
  • 생성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인도에서 유래해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가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창조된 다양한 불교 어문학의 세계를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4가지의 주제를 다룹니다. 1) 한국어의 발달과 한글 창제 2) 향찰 표기와

기타자료(92)

  • (논단) 연과의 일반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논단) 연과의 일반화 (논단) 연과의 일반화 (論壇) 硏果의 一般化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철기 | 사료철명수도교육
  •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6차 연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6차 연과-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6차 연과- 韓國兒童의 縱斷的硏究 - 第六次 硏果 -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재택, 이성진, 최원형, 허경철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7차 연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7차 연과-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7차 연과- 韓國兒童의 縱斷的 硏究 - 第七次 硏果 -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계정희, 장영애, 오만석, 이성진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8차 연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8차 연과-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8차 연과- 韓國兒童의 縱斷的 硏究 - 第八次 硏果 -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계정희, 장영애, 김명애, 조남두, 오만석, 이성진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9차 연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9차 연과- 한국아동의 종단적 연구-제 9차 연과- 韓國兒童의 縱斷的 硏究 - 第九次 硏果 -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계정희, 장영애, 신철희, 조남두, 김성옥, 이성진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연구과제(58)

주제어사전(81)

  • / [언어/언어/문자]

    사나 말음첨기(末音添記)를 한 것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과 토를 구분하지 않은 듯 한문에 토를 다는 것을 현토(懸吐)라고도 하고, 현결(懸訣)이라고도 하였다.

  • 각필 / 角筆 [언어/언어/문자]

    각필(角筆)을 사용해 종이에 서사된 (). 현전하는 각필 중 학술적으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고려 전기의 것은 주로 한역(漢譯) 불전(佛典)류에 집중되고 있다. 각필은 일본의 오코토 훈점(訓點)과 마찬가지로, 한문을 훈독할 때 들어가는 조사를 부호화

  • 학회 / 學會 [언어/언어/문자]

    1988년 ()을 비롯한 차자표기(借字表記) 자료 전반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1988년 2월에 ()을 비롯한 향찰(鄕札), 이두(吏讀), 어휘표기(語彙表記) 등 차자표기(借字表記) 자료 전반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회(硏究會

  • 석독 / 釋讀 [언어/언어/문자]

    한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 석독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한자의 자형을 단순화한 자(字)로 토를 단 자토석독(字吐釋讀)이고, 다른 하나는 점이나 선 모양의 점(點)으로 토를 단 점토석독(

  • 음독 / 音讀 [언어/언어/문자]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讀誦)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토()를 단 () 자료 또는 그 . 은 한문의 문장 사이에 우리말의 토(吐)를 달아 그 한문이 어떻게 풀이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의 특징은 원전에서 을 제외했을 때에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