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복색”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다. 은 주로 백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을 상정하였으며 특히 조복에 치중하였다. 이는 명나라 홍무예제(洪武禮制)를 기본으로 삼았다. 1370년(공민왕 19) 명나라 중서성에서 예부의 정문(呈文 : 하급관청에서 상급관청에 보내는 공문서)에 의하여 명...
  • 흉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黃土等節一依禮曹節目擧行俾無違繣之弊爲旀神輦以下腰輿香亭子差備則去胸褙黑團領進參是遣大輿以下彩輿香亭子差備則以布團領進, (국장1834/065ㄱ07~09)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관복(冠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복 관복 冠服 공복(公服), (), 군복(軍服), 사량관복(四梁冠服), 상복(常服), 시복(時服), 오량관복(五梁冠服), 왕비관복(王妃冠服), 융복(戎服), 제복(祭服), 조복(朝服), 칠장관복(七章冠服) 생활
    관련어공복(公服), 관복색(冠服色), 군복(軍服), 사량관복(四梁冠服), 상복(常服), 시복(時服), 오량관복(五梁冠服), 왕비관복(王妃冠服), 융복(戎服), 제복(祭服), 조복(朝服), 칠장관복(七章冠服)
  • 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儀禮詳定所)‧전제상정소(田制詳定所)‧육조수찬색(六曹修撰色)‧실록청(實錄廳)‧()‧간경도감(刊經都監)‧노비변정도감(奴婢辨正都監)‧각사노비쇄권색(各司奴婢刷卷色)‧의염색(義鹽色)‧경성궁성수보도감(京城宮城修補都監), 주종소(鑄鍾所)‧진헌색(進獻色)‧산릉국장빈전도감...
  •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례상정소 의례상정소 儀禮詳定所 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 의례상정사(儀禮詳定司)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초기 조선초기 이근호 1435년(세종 17) [정...
    동의어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 관련어관복색(冠服色), 의례상정사(儀禮詳定司)

고서·고문서(5)

  • 5503 중국 정서 고려도경 皁隷 吏職 170 인종(仁宗) 1 1123 吏職之服 與庶不異 但綠衣時有深淺 舊傳高麗 放唐制衣碧 今詢之 非也 蓋其國 民貧俗儉 一袍之費 動準白金一斤 每經澣濯 再染色 深如碧 非是別一等服也 然省府補吏 不...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勞。 吾父又齎國家謝琉球書往返, 吾今帶往何難?’ 本曹以語漂流人, 則皆叩頭攅手, 有喜色, 然語音難識。 今付四郞三郞以送似可也。 但其過海糧及所經諸島人情、雜物, 其費不貲。 且今, 有與中朝布相似。 其距中國, 必不遠也審矣。 明年聖節使之行, 送此輩于遼東, 咨禮部, 使轉送其國何如...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지역분류도인(島人)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085 B01008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1年 8月 20日_016 則豈不有辭於他日乎? 我國文獻, 蓋倣於中華, 而卽今所存者, 特衣之末, 禮樂文物, 漸不如古, 良可慨然。 在魯曰, 勢弱力綿, 不得已含憤忍恥, 而仁祖望闕之禮, 我寧考大報之壇, 有辭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敎 尙淳曰, 今番告訃使拜表時, 百, 旣承從當下敎之敎, 而今則期日不遠, 豫爲稟定然後, 儀註, 當爲磨鍊, 敢此仰達矣。 上曰, 依丁丑例, 可也。 出擧條 命禮判先退, 上曰, 明日禮曹判書·參判, 持皇壇儀·宮園式例入侍。 出傳敎 命退去, 諸臣以次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883 B01088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1年 8月 20日_016 則豈不有辭於他日乎? 我國文獻, 蓋倣於中華, 而卽今所存者, 特衣之末, 禮樂文物, 漸不如古, 良可慨然。 在魯曰, 勢弱力綿, 不得已含憤忍恥, 而仁祖望闕之禮, 我寧考大報之壇, 有辭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백관의 관복을 연구하고 제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원래 태종이 건국 초기 의례를 정비하기 위하여 예조 외에 1410년(태종 10)에 의례상정소를 설치하였다. 광범위한 의례상정 중에서도 계급적 신분사회의 표상이 되는 백관관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4

  • 공복 / 公服 [생활/의생활]

    나라에서 공복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한 것은 백제로 260년(고이왕 27)에 관식(冠飾)과 대색(帶色)으로 품을 정하여 상하의 등위를 구별하였다.

  • 판서 / 判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정2품 장관직. 주요 임무는 각 조를 총괄하는 이외에 소속된 속아문을 당상관이나 제조로서 지휘하였다. 또, 의례·제도·노비·영선·진헌·국혼·국상·전운·군적개수 등을 임시적·집중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의례상정소·전제상정소·육조수찬색·실록청··간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