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곽색”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곽의 제조‧판매와 장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원래는 귀후서(歸厚署)의 전신으로서 1406년(태종 6)에 새로이 설치된 것이다. 이것이 1414년에 시혜소(施惠所)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가 얼마 뒤에 귀후소(歸厚所...
  • 관곽(棺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곽 관곽 棺槨 안팎널 관구(棺柩), 널 고분(古墳), (), 관곽장(棺槨匠), 관판(棺板), 귀후서(歸厚署), 장생전(長生殿), 황장목(黃腸木) 생활 풍속풍속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태조~순종 이미선...
    동의어관구(棺柩), 널 | 관련어고분(古墳), 관곽색(棺槨色), 관곽장(棺槨匠), 관판(棺板), 귀후서(歸厚署), 장생전(長生殿), 황장목(黃腸木)
  • 귀후서(歸厚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귀후서 귀후서 歸厚署 종육품(從六品) 아문(衙門), 선공감(繕工監) (), 관곽소(棺槨所), 시혜소(施惠所) 관곽(棺槨)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한희숙 1463년(세조 9...
    상위어종육품(從六品) 아문(衙門), 선공감(繕工監) | 하위어관곽색(棺槨色), 관곽소(棺槨所), 시혜소(施惠所) | 관련어관곽(棺槨)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곽의 제조·판매와 장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귀후서의 전신으로서 1406년(태종 6)에 새로이 설치된 것이다. 이것이 1414년에 시혜소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가 얼마 뒤에 귀후소로 바뀌었으며, ≪경국대전≫ 완성 전에 귀후서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