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시당상”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의정부 내의 공사색(公事色) 소속의 관직. [내용] 정원 2인이다. 종2품 이상의 관원 중에서 일찍이 비변사제조나 공사색당상을 지냈던 인물로 임명하였다. 공인(貢人)과 시인(市人)들에 관계된 사무를 담당하였다. ...
  • 공사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인, () 2인, 8도 구관당상 8인 등을 임명하여, 한때 그 인원이 49인에 이르기도 하였다. 실무 낭청들은 공사관으로 개칭하였는데, 문관 2인, 무관 참상 5인, 참하 4인으로 모두 11인이었다. 또, 문서담당의 정8품 사록(司錄) 1인을 두...
  • 공시인(貢市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시인 공시인 貢市人 (), 공시이정당상(貢市釐正堂上) 공시민(貢市民) 공계(貢契), 공시인순막제도(貢市人詢瘼制度), 공시인폐막이정책자(貢市人弊瘼釐正冊子), 공인(貢人), 금난전권(禁亂廛權), 도중(都中), 수석(首席),...
    상위어공시당상(貢市堂上), 공시이정당상(貢市釐正堂上) | 동의어공시민(貢市民) | 관련어공계(貢契), 공시인순막제도(貢市人詢瘼制度), 공시인폐막이정책자(貢市人弊瘼釐正冊子), 공인(貢人), 금난전권(禁亂廛權), 도중(都中), 수석(首席), 시민(市民), 시인(市人), 시전(市廛), 시전상인(市廛商人), 좌주(座主)
  • 서유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나가 그 지방의 군제(軍制)를 개편하여 국방강화에 노력하였으며, 1784년 병조판서에 임명되어 군직(軍職) 개편을 통해 무인(武人)들의 사기 진작에 주력하였다. 1786년에는 좌참찬에 올랐으며, 2년 후에는 ()이 되어 국경지방의...
    이칭별칭 원덕(元德)| 문헌(文獻)
  • 이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어 지평, 이듬 해 예조참판을 거쳐 1823년 ()ㆍ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이 때 지방 수령으로 민폐를 없애기 위해 전부(田賦)를 전(錢)으로 대신할 것, 그리고 호적의 법규 개정과 공염(公鹽)의 밀거래 단속 등을 청하였다.
    이칭별칭 경진(景進)| 희곡(希谷)| 문익(文翼)

고서·고문서(8)

  • 烏在其親執詳査之意乎? 當該推考, 自廟堂取考市案論罪。 此後痛革此弊, 更以換弄事現發, 則不但該郞官依律勘罪, 竝與該寺提調嚴處可也事, 命下矣。 取考本署所在前後市案, 則一卷年條未詳, 一卷康熙三年修正, 一卷康熙二十五年修正,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6821 B066821 독도 纛島 도서 서울특별시 承政院日記 正祖 12年 1月 15日_017 ○洪仁浩, 以備邊司言啓曰, 因纛島大柴木廛及內長木廛市民等所懷覆奏批旨, 有詳査決給後, 草記之命矣。 招致兩廛市民, 詳問其委折, 且考其文蹟, 則彼此相訟, 積有年所, 而立落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熟手均排矣。 今則熟手輩, 潛自專利矣。 上曰, , 分付平市, 俾無呼冤可矣。 上曰, 同副代押而來乎? 錫定曰然矣。 上曰, 齋日在卽, 魚廛人, 勿爲囚治, 可也。 內寺竹廛人進伏曰, 東萊生銅極貴, 出來者小而各處生銅所入, 近數千斤, 難以支堪矣。 上曰, 以今番物種見之, 對馬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熟手均排矣。 今則熟手輩, 潛自專利矣。 上曰, , 分付平市, 俾無呼冤可矣。 上曰, 同副代押而來乎? 錫定曰然矣。 上曰, 齋日在卽, 魚廛人, 勿爲囚治, 可也。 內寺竹廛人進伏曰, 東萊生銅極貴, 出來者小而各處生銅所入, 近數千斤, 難以支堪矣。 上曰, 以今番物種見之, 對馬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此間呼?紛?之弊, 何如? 上曰, , 詳査決處後, 草記, 可也。 出擧條 有隣·秉模曰, 此貰馬運負契貢人等所懷也, 以爲, 運負契, 卽續典所載運石契, 而各道稅大同, 到泊京江, 則?下負入之役, 與各倉募民, 分半擧行, 雇價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의정부 내의 공사색 소속의 관직. 정원 2인이다. 종2품 이상의 관원 중에서 일찍이 비변사제조나 공사색당상을 지냈던 인물로 임명하였다. 공인과 시인들에 관계된 사무를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