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56)
사전(423)
- 고명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황제가 작위를 반사하거나 관리를 임명할 때 사용하는 문서. 고(誥)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리는 경계의 말인데 송대 이후에는 관리를 임명하거나 작위를 줄 때 황제가 내리는 글을 가리켰다. 명ㆍ청대에 관리를 임명할 때 1품에서 5품까지는 고명(誥命), 6품에서 9품까...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고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왕이 임종시에 왕자나 대신들에게 최후로 남기는 말. [내용] ‘유명(遺命)‧유훈(遺訓)‧유조(遺詔)‧유고(遺誥)‧유교(遺敎)’라고도 하였다. 보통 후계 문제‧장례 절차‧선정 당부(善政當付) 등을 그 내용으로 하였다. 고명을 받은이칭별칭유명(遺命)|유훈(遺訓)|유조(遺詔)|유고(遺誥)|유교(遺敎)
- 고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아름답게 꾸며 식욕을 돋우려는 목적으로, 음식 위에 뿌리거나 얹는 식품. [내용] 고명과 양념은 모두 음식을 맛있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나, 고명은 시각적 효과에 중점을 두는 것이고, 양념은 음식에 단맛ㆍ짠맛ㆍ신맛ㆍ매운맛을 가미하여 식품...
- 고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서경(書經)》 주서(周書)의 편명.정의《서경(書經)》 주서(周書)의 편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omyeong | MR표기Kom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고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 昨見明丈兄弟書 力止陳卞之擧 語意俱出至誠 乃與良 初意符合 玆欲姑止 以觀朝家處分 前頭事機 而以定動靜 未知高明 以爲如何, 나양좌(羅良佐), 21(禮)-16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1)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3 - 외교류-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유지복(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조재곤...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5.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誥命 諭祭文 使行文書 國書 信任‧解任狀 照會文 條約 雇聘契約書 外交書翰 其
논문(1)
- 고조리서에 기록된 고명행위에 대한 소고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박모라 | 게재정보 : 영남학
고서·고문서(1,825)
- 觚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40_0050 觚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箴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箴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顧命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H_50:1 《顧命》一篇, 終不可曉. 其曰“恐不獲誓嗣”, 何也? “恐不獲”者, 未遑之意也. 若前 前: 국중본(나)ㆍ동양문고본ㆍ화경당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別’로 되어 있다. 규장각본에 따라 바로잡는다. 已立太子定國本, 必當先有告誓之辭 辭: 규장각본에는 ‘語’로...서명서경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顧命]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60 尙書古訓 卷七 ITKC_MP_0597A_0560_010_0010 [顧命]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尙書古訓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萬古名將歌 만고명장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363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萬古名將歌 만고명장가 [297] 일곡비가 쳔누로 대명소식 불감문을 만고명장 춍령허여 의관슉 씨스리라 도쳬찰사 댱자방과 부쳬찰 관이오요 도춍관에 숀무자요 부춍관에 악의...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만고명장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372 잡가 忘老却愁記 13004 만고명장가 [3] 일곡비가 쳔항누로 명 소식 불감문을 만고 명장 총녕야 의관수 씨스리라 도쳬찰 장방과 부톄찰 관이오라 도총관의 손무오 부총관의 악의로다 보죨장에 리목이오 마병장의 염파로다 도호의 리졍...구분잡가
구술자료(5)
- 고명준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고명준 고명준 역사 인물 현대 평안도 강서군 구술자료 -1933년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남구술자고명준 | 직업직조업 | 지역평안도
- 매구의 화신인 고명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청하여 구술한 것이다. 딸을 하나 낳았더니, 외양간에 있는 가축을 다 잡아 먹고 나중에는 식구들도 다 잡아 먹어 버렸는데, 오빠 하나가 도망하여 나중에 이상한 병을 세 개 얻어서 결국 매구를 잡게 된다는 줄거리다. 이 이야기를 듣고 자리를 옮겨 저전 마을로 갔다...조사일시1984-07-22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강동면 | 제보자정귀순
- 중풍으로 고명[[顧命]]을 지키지 못한 남지[[南智]]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남지와 관련하여 알고 있는 이야기를 더 해달라고 요청하자, 제보자 남시우는 남지가 말년에 병으로 고명을 지키지 못했다는 이야기 를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12.04(토) | 조사장소충청북도 진천군 양천길281-4 | 제보자남시우
- 성우향 심청가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04 A면 1) 단가 철인가(07:52): “예의동방 우리 역대 대성 철인 누구시며 무훈명장 몇 분인가. 단군기자 끼친 법도 반만년 유법이라. 고구려의 을지문덕 무운이 탁탁하사 만고명장 일러있고, 제일악성 왕산악 육현금 타일성에 검은 학이 춤을 추고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성우향
- 성우향 심청가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04 A면 1) 단가 철인가(07:52): “예의동방 우리 역대 대성 철인 누구시며 무훈명장 몇 분인가. 단군기자 끼친 법도 반만년 유법이라. 고구려의 을지문덕 무운이 탁탁하사 만고명장 일러있고, 제일악성 왕산악 육현금 타일성에 검은 학이 춤을 추고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준
기초학문(10)
- 해상보험에서 최대선의의무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명규, 게재일 : 201453338 고명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설법학연구소 2014 해상보험에서 최대선의의무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어휘 시험 유형과 세환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명희, 게재일 : 201453936 고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4 어휘 시험 유형과 세환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쿠빌라이 시기 친킴-아흐마드 갈등의 배경과 성격 ― 친킴의 漢化 문제에 대한 재검토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명수, 게재일 : 201353113 고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아시아학회 2013 쿠빌라이 시기 친킴-아흐마드 갈등의 배경과 성격 ― 친킴의 漢化 문제에 대한 재검토 ― https://www.krm.or.kr/krmts/search/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한국 대학생들을 위한 어휘학습법: 모형 개발 및 실행과 학습자 성취도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명희, 게재일 : 201136228 고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1 한국 대학생들을 위한 어휘학습법: 모형 개발 및 실행과 학습자 성취도 평가 https://www.krm.or.kr/krmts/s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Glossing and Second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명희, 게재일 : 201243427 고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TESOL 2012 Glossing and Second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360)
- 高命周(高命周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命周(高命周商店) 서울 高命周 高命周商店 元町 1-93-26 기타 - 폐품(屑物) - 61.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高命周(高命周商店)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폐품(屑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고명편지번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堂] 뎨국신문샤긔 각하 본긔쟈ㅣ 이글을 밧아 히 라침을 감히 넉이즁 도덕과 법률 분셕에 더욱 소샹기로 번역여 올니니 고명 안목에 널니 질품이 어니와 본글이 한문이라 국문으로 번역즉 보기에 미잇고 유리기는 한문△기만 못나 글에 항상시 쥬장이...게재일1902년 8월 1일 | 기사분류논설
- 高明柱(-)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明柱(-) 전주 高明柱 - 大和町 - - 금융업 - 32 전당포 겸업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高明柱(-)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금융업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林高明(華城屋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林高明(華城屋 ) 수원 林高明 華城屋 梅香町 57 - - 음식점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林高明(華城屋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음식점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高命守(高自轉車店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命守(高自轉車店 ) 수원 高命守 高自轉車店 本町 1町目 27 - - 자전거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高命守(高自轉車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자전거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멀티미디어(61)
- 면2.제1건물지 평면도 2014-09-19_0.4680902_부산 와룡리 건물지_도면2.제1건물지 평면도.jpg ll5-0076_2 유물 부산 와룡리 건물지_원색도판2. 제1건물지 배수로 출토 분청사기병(2), 제2건물지 출토 밀양장흥고명 분청사기 저제목부산신항 배후철도구간내 와룡리 조선시대 건물지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소현숙 교수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생원 역사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文學碩士 서강대학교 문학사文學士 정일교 교수 경기대학교 사학과 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학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강좌제목한중관계사 | 강의자소현숙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소현숙 교수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생원 역사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文學碩士 서강대학교 문학사文學士 정일교 교수 경기대학교 사학과 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학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강좌제목한중관계사 | 강의자소현숙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소현숙 교수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생원 역사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文學碩士 서강대학교 문학사文學士 정일교 교수 경기대학교 사학과 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학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강좌제목한중관계사 | 강의자소현숙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소현숙 교수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생원 역사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文學碩士 서강대학교 문학사文學士 정일교 교수 경기대학교 사학과 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학박사 허베이대학교 역사강좌제목한중관계사 | 강의자소현숙 정일교 고명수 홍성구 손성욱 이동욱 손염홍 이정남
기타자료(70)
- 고명수;高明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38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고명수;高明秀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명우;高明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177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20면 고명우;高明宇 경기 1913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명우;高明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601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23면 고명우;高明宇 경기;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外科學敎室 제3회 1913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명상;高明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295 일본 岡山 第六高等學校 第六高等學校一覽 昭和15年~昭和16年 1940―07―25 92면 고명상;高明相 조선학교소재지역岡山 | 학교명第六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명훈;高明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110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288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39년 5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4) 이과 3학년 을류 1조(37명) 고명훈;高明勳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이진한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0)
-
고명 / 誥命 [역사/조선시대사]
중국 황제가 조선 등 제후국의 국왕을 인준하는 문서. 조선국왕은 형식적으로는 중국 황제의 고명을 받게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즉위한 다음 추인하는 절차를 밟는데 불과하였다.
-
가토 다카아키 / 加藤高明 [정치·법제/외교]
1860-1926. 근대 일본의 외교관. 정치가. 외무대신 역임. 1887년 공사관서기관 겸 외무성참사관으로 관료가 되어 오쿠마 시게노부 외무대신 밑에서 조약개정교섭에 참여하였으나 실패로 외무성을 나왔다. 1913년 제3차 가쓰라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입헌동지회 결성에
-
조선국왕 책봉고명 / 朝鮮國王 冊封誥命 [정치·법제]
청 옹정제가 왕세제를 조선 국왕으로 책봉한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어로 씌어 있다. 1724년 밀창군 이직(李樴)이 주청사로 파견되어 영조 즉위를 알리고 고명을 청하자 이듬해에 태감 호양보(胡良輔)가 고명, 유서, 예물(단자 포함)을 가져왔다.
-
조선국왕세자 책봉고명 / 朝鮮國王世子 冊封誥命 [정치·법제]
청 옹정제가 경의군 이행(李緈)을 조선의 왕세자로 책봉하는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자로 씌어 있다. 1725년 2월 소원 이씨가 낳은 경의군을 왕세자로 책봉한 뒤 청에 왕세자 책봉고명을 청하였다. 그해 9월에 청나라 사신이 왕세자 고명을 가져왔다.
-
조선국왕세제 책봉고명 / 朝鮮國王世弟 冊封誥命 [정치·법제]
청 강희제가 연잉군(후일의 영조)을 조선 왕세제로 책봉한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자로 씌어 있다. 1721년 좌의정 이건명(李健命)이 주청사로 파견되어 왕세제 책봉을 알리고 고명을 요청하자 이듬해에 사신 아극돈(阿克敦)과 부사 불륜(佛倫)이 이를 가져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