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신신앙”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집안에 위치하는 신적 존재들에 대한 신앙. [내용] 은 가정 단위의 신앙이지만, 유교적인 제례와는 전혀 갈래가 다르다. 성격상으로 유교 제례는 남성들이 주가 되고 형식성‧이념성‧논리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 데 비해서,
  • 몽달귀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락(部落) 및 ()」(김선풍,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편-』, 文化財管理局, 1977) 『한국무속(韓國巫俗)의 연구(硏究)』(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한국민속대관(韓國民俗大觀)』3(고...
    이칭별칭도령귀신|총각귀신|삼태귀신
  • 칠성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는 민가의 뒷 뜰 장독대 한 옆이 칠성단 또는 칠성당 자리가 되어 정화수를 바치고 소원, 특히 아이 낳기와 아이의 수명 장수를 비는데, 이 경우는 집안에 있는 ()에 해당한다. 이러한 민간신앙 외에 절에 가면 경내 한 귀퉁이에 산신당이나 칠성당...
  • 제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따님애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천신으로서의 제석이 당금애기로 상징된 지모신(地母神)과 결합하여 삼신(三神)을 낳았다는 것이 그 줄거리이다. 으로서의 제석신앙도 제석본풀이와 마찬가지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그 명칭‧형태‧신앙관념 등은 지방에 따라 약간...
  • 세시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간이 신성의 세계에 의지하여 자연의 변화에 따른 재앙의 극복과 풍요와 다복을 기원하는 주술적 행사이다. 이는 민간신앙으로서의 ()‧동신신앙(洞神信仰)을 바탕으로 한 신앙 행위이다. 세시의식요는 의식의 목적과 진행 장소, 참여자의 성격에 따라 가정...

단행본(1)

  • 조선민족의 민속 세시풍속, 관혼상제 및 민속신앙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박승권(중앙민족대학 조선언어문학부 부교수), 김광영(중앙인민방송국...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 2010.09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2) (3)마을 공동신앙 (4)식수일과 신수신앙 (5)두레와 길쌈

고서·고문서(1)

  • 〈한국민속문화대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제8권 민속시가 · 판소리(민요/동요/판소리/무가),제9권 민간신앙(고대신앙//동신신앙/무속신앙) · 기타신앙(풍수/점복,주술/의료/귀신/도깨비) 제10권 종교(불교/도교/기독교/천주교/유교/신종교Ⅰ/신종교Ⅱ) · 색인으로 이루어져있다. 총91명의 집필진이 참여...
    대표표제어〈한국민속문화대사전〉 해제 | 편저자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권수10책

기초학문(2)

  • 일제강점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재용, 게재일 : 2008
    29278 송재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고전학회 2008 일제강점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일기층문화의 상관성 분석을 위한 일본 의 연구사적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석, 게재일 : 2000
    09455 박동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회 2000 한일기층문화의 상관성 분석을 위한 일본 의 연구사적 검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주제어사전(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