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홈페이지-국내 총 23건의 지원서비스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http://waks.aks.ac.kr/site/k-economy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되, 한국경제사 연구의 최신 성과를 다각적으로 조명한다. 해방 이후 75년간 한국 경제는 한강의 기적(Miracle on the Han River)이라고 불릴 정도로 눈부신 고도성장을 하였으며,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Four Asian Tigers) 중의 하나인 신흥공업국(NICs)으로서 주목받은 바 있다. 한국이 OECD 가입국이자 DAC 멤버로서 선진국 반열에 이르게 된 역사적 경험에 대해 그간 축적된 학술 연구 성과를 국내외에 알림으로써, 한국이 경제뿐 아니라 학술 측면에서도 세계를 선도하는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조영준 | 서울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센터 http://waks.aks.ac.kr/site/k-letter
1. 한국학 학술 동영상 강의 아카이브 구축 기반 조성 2.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학 연구 및 교육 플랫폼 구축 3.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는 한국학 글로벌 네트워크 개척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장경준 | 고려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http://waks.aks.ac.kr/site/K_contents
본 연구는 세계인의 한류에 대한 열정을 한국어문화학에 대한 학술적 관심으로 수렴·전환해가는 데 목적을 둔다. 한류의 동력인 K-콘텐츠는 단절적으로 출현한 예외적 현상이 아니다. 한국어와 한국문학, 한국문화의 형성·횡단·교차 과정에서 고유한 문화유전자의 창발을 확인할 수 있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안숭범 | 경희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한국어문학연구소 http://waks.aks.ac.kr/site/K_caller
K학술확산교육연구센터가 설립되면,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해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등의 분야에 들어가기(초급), 깊이 보기(중급), 넓게 보기(고급)에 해당하는 수준별 과정을 연차별로 10강좌, 총 50강좌를 마련하여 운영한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정승철 | 서울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http://waks.aks.ac.kr/site/k_Buddhism
연구수행의 단계별 아젠다는 1단계(1-3년) Glocal Korean Buddhism: Locality and Globality, 2단계(4-5년) Post-glocality: Now and Future in Korean Buddhism 이다. 연차별 대주제는 1년차 글로컬 한국불교 역사와 전통, 2년차 글로컬 한국불교 언어와 문화, 3년차 글로컬 한국불교 인물과 사상, 4년차 포스트 글로컬 사회와 일상, 5년차 포스트 글로컬 세계와 미래이다. 연차별로는 10개 강좌, 5년간 50개 강좌(동영상, 가이드북)를 개설하며, 강좌별로 10개씩 강의를 편성하였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김종욱 | 동국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http://waks.aks.ac.kr/site/k_communication
본과제의 목표는 한국의 역사를 해외 한국사 수요자의 시각에 맞춰 체계화하고, 한국사의 경험을 세계시민의 인문학적 성찰의 토대로 정립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본과제는 5개의 트랙을 연도별로 구축하였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오영교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2021 | 국내 | 강원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http://waks.aks.ac.kr/site/K_history
본 연구단은 5개년 연구 목표에 따라 연구수행 계획을 교육 및 연구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대상 권역은 해외 범용을 기본으로 하되 중화권에 특화된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결정하였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강제훈 | 고려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http://waks.aks.ac.kr/site/k_religion
본 연구는 개념적 학술 이해를 넘어 독자적 문화로서의‘K종교’를 강의 동영상과 학습 및 체험으로 제공하는 사업이다. 현재 한국에서 진행하는 의례에 온라인으로 참가하고 구체적인 종교 현실에서 한국의 종교문화를 드러내는 방향으로 강의를 구성한다. 현재로부터 시작하여 과거로 흥미를 유도하기에 종교현장와 생활에서 K종교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정소이 | 서강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기타자료
-
강원권역 자료센터 http://cksm.kangwon.ac.kr/
강원지역에 소재한 한국학자료를 수집‧정리‧분석하고 DB화‧웹서비스를 함으로써 전문연구자와 일반인 모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학술적‧교육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에서는 국내외에 산재한 한국학 고전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분석하여, 학술적‧교육적 기반을 구축하여 왔다. 이에 따라 한국학 고전 자료에 대한 사실정보와 특화주제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영남권과 호남권만 설정되고 강원권이 소외되는 등 전국적으로 확대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손승철 | 강원대학교 | 2015 | 국내 | 강원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경상도 대구부 호적대장 http://ddmh.skku.edu/
조선의 호적대장은 국가가 군현내의 면 행정단위로 주민들을 조사하여 기록한 것이다. 호구 기록은 3년에 한 번씩 작성되어 중앙으로 보고되고 현지에도 보관되었다. 현존하고 있는 자료는 조선후기에 집중되어 있으나 방대한 양으로 일정한 지역에 기반한 개인과 가족의 연속적인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국가의 주도 하에 전국적 · 일률적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행정구역 내의 주민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인구기록이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손병규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한국학자료포털 중앙허브(3단계) http://kostma.aks.ac.kr/
2008년 이후 장서각, 규장각, 한국국학진흥원,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등 각 권역센터에서 생산한 국내외 한국학 고전자료 DB와 한국학 관련 기초자료 DB를 확충하여 연구자와 대중이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서비스합니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창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과제소개 자료보기
-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3단계) http://kyudb.snu.ac.kr/
본 연구 사업은 규장각 소장 국가전적 자료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형식의 DB와 지식 콘텐츠를 생산하여 웹서비스 함으로써, 자료의 학술적·교육적·문화적 활용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의 국가전적 자료를 다량 보유하고 있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진석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3단계) http://royal.aks.ac.kr/Default.aspx
본 연구사업은 장서각 소장 국가전적 자료를 대중들과 공유하여, 국가기록문화유산의 보존과 이용 가치를 효율적으로 극대화하며, 지식기반사회의 간접자본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장서각 소장 국가전적 자료를 표준화된 형식의 한국학 지식 콘텐츠로 가공․집적하고자 한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영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과제소개 자료보기
-
영남권역 자료센터(3단계) http://yn.ugyo.net/
영남 지역을 배경으로 시대적·사상적 변화를 주도했던 영남 남인들은 현재 전통적 한국사회의 모습을 가장 잘 계승해 오고 있다. 특히 영남에는 조선시대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기반과 남인이라는 정치적 기반을 주류로 남명학파와 노론까지 폭넓게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영인된 문집과 고문서뿐만 아니라 영남지역 전역에 산재된 방대한 양의 고문서 자료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경환 | 한국국학진흥원 | 2014 | 국내 | 경북 과제소개 자료보기
-
호남권역 자료센터(3단계) http://hnkostma.org/emuseum/service/
호남과 제주지역에 흩어져 있는 한국학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 분석하고 표준화된 형식의 한국학 지식콘텐츠로 가공·집적하여 학술적·교육적 활용 기반을 구축한다. 연차별로 1,500건씩 모두 6,000건의 고서·고문서에 대한 상세정보, 안내정보, 이미지, 텍스트 입력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로써 3단계 10년간의 사업을 통하여 총 18,000여건의 DB를 구축하게 된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문종 | 전북대학교 | 2014 | 국내 | 전북 과제소개 자료보기
-
해외권역 자료센터(3단계) http://kostma.korea.ac.kr/
일본 동양문고 등 해외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고전적 자료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서지적·내용적 가치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였다. 나아가 중국본으로 잘못 분류된 한국 고전적 을 확인하여 추가하였다. 이를 위해 현지방문조사와 목록대조 작업을 통해 정확한 서지목록을 작성하였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우봉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을 집대성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된 해방 이후 최대의 인문학 진흥 프로젝트의 산물로, 1980년부터 12년에 걸친 편찬 작업을 통해 1991년 총 27권으로 발간되었다. 한국학 연구자 3,800명이 40만 매의 원고를 집필하였고, 4만여 점에 달하는 사진 및 지도ㆍ도면 자료를 수록하였다.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창겸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한인디아스포라연구 네트워크, DB 및 정책개발을 위한 중앙허브 구축사업 http://www.gkrc.net
본 연구는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현황, 생활, 문화, 의식과 정체성을 고찰하는 연구 네트워크의 세계적 중앙허브(hub)를 구축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접목을 통해 한인 디아스포라의 이주, 적응, 정체성을 종합적, 국제비교적, 정책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윤인진 | 고려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
한인발행 근현대 신문잡지DB http://www.eahistory.or.kr/bbs/board.php?bo_table=5_01
20세기 들어 한반도에는 식민체제와 해방, 분단, 전쟁,경제발전과 민주화 등, 격동의 세월을 지내면서 수많은 신문ㆍ잡지가 등장하여, 자주적 근대 국민국가 건설과 근대화 과정을 논하고 새로운 지[知]를 창출하는 장으로 기능해왔다. 한국사회는 성장을 거듭하면서 세계의 주요 일원으로 성장하였고, 한인들의 활동 영역은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확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신문·잡지는 한국사회의 담론 및 지성의 흐름을 주도하고 시대를 보여주는 창(窓)의 역할을 하였다.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임경석 | 성균관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경성일보 미술이미지 기사자료 DB http://www.casasia.org/page.asp?pageid=conference41&pagenum=060200
본 연구는 미술사적인 관점에서 한국 근대기 신문자료이자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경성일보에 수록된 미술이미지와 관련 기사들을 집대성한 것으로, 이들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근대미술의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는 동시에, 향후 산업분야의 인문학적인 기초 토대연구를 마련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문정희 | 한국미술연구소 | 2011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조선시대 한글편지 DB https://archive.aks.ac.kr/letter/letter.do
한글편지는 여러 분야에서 기초적 자료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 그 종합화와 데이터베이스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지만, 한글편지 자체가 난해한 흘림체의 고어로 이루어져 판독 자체가 어려울 뿐 아니라 편지 소장처가 흩어져 있고 연구자에 따라 산발적으로 소개되어 자료적 접근에 큰 제약이 있었다. 그동안 이루어진 역주 사업 등으로 한글편지에 대한 연구 성과가 있었다.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황문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1 | 국내 | 경기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유니코드 한자 정보 및 이체자 사전 http://waks.aks.ac.kr/unicode/
본 사전은 한국학 연구에 필요한 한자의 부수⋅획수, 한글 자음⋅자의 등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한국학 기초사전 편찬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 연구자는 본 사전에서 제공하는 중국어 拼音과 일본어 字音, 그리고 영문 字義를 통해 다양한 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한자 정보와 자료가 원활하게 국제적으로 소통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홍규 | 고려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
-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https://jongga.koreastudy.or.kr/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미영 | 한국국학진흥원 | 국내 과제소개 자료보기 연구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