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3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한일의정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일본은 러일전쟁 이전 러일교섭의 회담이 진행 중이던 1903년부터 주한일본공사 하야시 곤노스케(林權助) 주도 하에 한일의정서 체결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강압에 대한제국(이하 한국)은 국외중립 선언을 통해 위기를 모면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이미 전쟁준비까지 완...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일합병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1905년 2월 러일강화조약(포츠머스조약)에서 일본 측 전권위원의 결의 표명으로 “일본국 전권위원은 일본국이 장래 한국에 있어서 취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조치가 동국(同國)의 주권을 침해하게 될 경우 한국정부와 합의한 뒤 이를 집행할 것...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일협정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1904년 2월 한일의정서를 체결하여 한반도를 그들의 군사기지로 확보하고, 전쟁이 일본에 유리하게 되자 한국의 재정 ‧ 외교정책을 쇄신하기 위해 외국고문을 초빙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에 관한 협정 체결을 강요했다. 대한제국(이하 한국) 정부의...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정수호통상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덴마크 외무대신은 1902년 1월 주한 러시아 대리공사 파블로프(А. И. Павлов)에게 직접 전보를 보냈다. 그 전보는 덴마크 역시 한국과 벨기에 간에 체결한 조약 원칙에 기초한 교섭을 개시하고 싶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전보를 받은 파블로프는 덴마크 정부의 ...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청통상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894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조선과 청국의 국교가 단절되었다. 청국은 한국의 대등조약 체결을 위한 지속적 요구, 러시아와 일본 열강의 압력, 자국 상인 보호 문제 등에 직면하자 조약 체결을 수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1898년 8월 청국은 한국과의 조약...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허태신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대한제국 시기 초대 중국공사 서수붕(徐壽朋, 쉬쇼우펑)의 뒤를 이어 제2대 주한 공사로 부임하였다. 1901년 2월부터 북경(北京)으로 돌아간 서수붕을 대신하여 대리 공사의 직을 맡았고, 6월에 정식으로 제2대 주한 공사로 임명되었다. 청국 외무부는 1901년 6월 ...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헌트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미국 시애틀 출신의 자본가로 1896년 사업을 위해 중국에서 활동하던 중 유력한 동료이자 뉴욕과 일본 요코하마(橫濱)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미국무역상사(American Trading Company) 사장 모스(James Morse, 毛斯)가 획득한 평안도 운산금광을 ...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헤이그밀사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제2차 만국평화회의는 러시아 주도로 개최되었던 1899년 1차 만국평화회의와는 달리 미국의 루즈벨트(T. Roosevelt) 대통령이 1904년 10월 발의했지만, 결국 러시아정부에게 개최 권한을 양보하였다. 제2차 만국평화회의는 44개국 256명의 대표가 참석하여 ...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홍종우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남양 홍씨 남양군파 32세손으로 1850년(철종 원년) 11월 17일 경기도 안산에서 홍재원(洪在源, 1827-1898)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성숙(聲肅), 호는 우정(羽亭)이다. 몰락사족의 가문에서 출생한 홍종우는 어린 시절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버티지 못...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화폐재정정리사업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배경] 일본은 러일전쟁 직후인 1904년 5월 「대한방침」과 「대한시설강령」 등 한국을 보호국화함은 물론 장차 식민지화하기 위한 기본 방침을 정하였다. 이에 의하여 가장 먼저 추진된 것이 한국의 재정과 외교 분야에 고문관을 고빙하는 것이었고, 1904년 8월의 「한...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페이지 / 2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