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히구치 노부마사(樋口信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쓰시마도주가 파견한 표인영래차왜(漂人領來差倭)로서 1707년 4월에 영해(寧海)의 표류민을 인솔하여 도래하였다. 봉진압물(封進押物) 1인과 반종(伴從) 3인을 거느리고 서계(書契)를 지참하였다. 향접위관의 접대를 받았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누이도노(樋口縫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봉전(樋口縫殿).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여련(平如連)으로 되어 있다. 1753년 3월에 쓰시마의 신도주 소 요시시게(宗義蕃)의 도서(圖書)를 요청하는 차왜로서 도선주(都船主) 우치노 곤베에(內野權兵衛, 平政久), 봉진압물(奉進押...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다로베에(樋口太郞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태랑병위(樋口太郞兵衛). 1821년 10월에 정조(正祖)의 왕비 효의왕후(孝懿王后) 김씨의 죽음을 조위하기 위해 조위차왜(弔慰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봉진압물(封進押物) 나가세 리헤이(永瀨理兵衛), 시봉(侍奉) 1인, 반종(伴從) 10명,...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단조(樋口彈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탄정(樋口彈正). 1846년 9월부터 1849년 12월까지 98대 관수(館守)였다. 강로(姜㳣)가 동래부사로 있을 때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도미에몬(樋口富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부우위문(樋口富右衛門). 1709년에 팔송사(八送使) 1특송사의 정사(正使)로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마고자에몬(樋口孫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손좌위문(樋口孫左衛門). 쓰시마번의 가로(家老). 스기무라 우네메(杉村采女) ‧ 오우라 주자에몬(大浦忠左衛門) ‧ 스기무라 사부로자에몬(杉村三郞左衛門) 등과 같이 쓰시마번 도시요리슈(年寄衆)의 한 사람이다. 1721년 최상집(崔尙㠎...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미노(樋口美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미농(樋口美濃).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평창조(平暢朝)로 되어 있다. 1795년 6월에 관백입저고경대차왜(關白立儲告慶大差倭) 정관(正官)으로서 도선주(都船主) 히라타 슈덴(平田主田), 봉진압물(封進押物) 나카가와 요스케(中川要助)...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사콘(樋口左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좌근(樋口左近). 평치효(平致孝)라고도 한다. 1795년 10월부터 1796년 1월까지 78대 관수(館守)였다. 윤장렬(尹長烈)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가 1796년 1월에 사망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소자에몬(樋口惣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총좌위문(樋口惣左衛門). 평치원(平致遠). 1746년 3월에 관백퇴휴고지차왜(關白退休告知差倭) 정관(正官) 히라타 쇼겐(平田將監, 平誠泰)이 왔는데, 이때 봉진압물(封進押物) 오우라 구로자에몬(大浦九郞左衛門), 그리고 시봉(侍奉) 2인, ...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야고자에몬(樋口弥五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미오좌위문(樋口弥五左衛門). 평순정(平順正)라고도 한다. 1721년 5월부터 1723년 6월까지 40대 관수(館守)였다. 윤석래(尹錫來)가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